본문 바로가기

흔적의 역사

(327)
“‘일본국보’ 칠지도는 408년 백제 전지왕이 왜왕에 하사했다” 일본 나라현(奈良縣) 뎬리시(天理市)의 이소노카미 신궁(石山神宮)에는 예부터 내려오는 신비한 이야기가 있었다. 출입금지 지역인 ‘금족지(禁足地)’ 안의 남서쪽에 설치된 신고(神庫·보물창고)에 ‘육차도(六叉刀·여섯 가지의 검)’를 모신 특수상자가 있다는 것이었다. ■판도라의 상자를 연 스가 마사모토 그런데 1873년 신궁의 주지로 취임한 스가 마사토모(혹은 간 마사스케·菅政友·1824~1897)가 그 ‘판도라의 상자’를 열었다. 심하게 슬어있던 육차도의 녹을 칼로 긁어낸 스가는 녹 사이에서 반짝거리는 금빛 글자를 보았다. 예리하게 파낸 뒤 금을 밀어넣어 새긴 이른바 금상감(金象嵌) 기법의 글자들이었다. 녹을 긁어내자 앞면에 34자, 뒷면에 27자 총 61자의 글자가 보였다. 앞면에는 육차도가 만들어진 내력..
조선의 김치사발이 오사카성 한채값 '일본의 국보'가 되기까지 ‘에비!’ 예전에 부모님이 말 듣지않은 아이를 달래고 어르기 위해 쓴 말이다. \‘무서운 괴물이 나타난다’는 경고성 메시지인데, 이 말의 유래를 아는 이는 드물다. 이 말은 ‘이비야(耳鼻野)’의 줄임말인데, 임진왜란 때 조선인의 코와 귀를 베어간 야만적인 일본인이라는 소리다. 말 듣지않은 아이를 어르려고 ‘코와 귀를 베어가는 일본 야만인이 온다’고 한 것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1536~1598)가 전국시대의 오랜 전쟁에 지친 다이묘(大名)를 무마하려고 베어온 코의 숫자에 따라 조선땅을 분배하기로 약속했다는 것이다.일본의 국보가 된 조선의 막사발 기자에몬 이도(喜左衛門 井戶). 이런 막사발들은 경남 진주지방에서 제삿날 김치를 담는 그릇이었다고 한다, 소장자였던 기자에몬(喜左衛門)의 이름을 땄다...
'대자보' '투서' … 한글창제 후 생긴 일 “내가 늘그막에 할 일이 없어 글자를 만들었겠냐.”1443년(세종 25년) 12월30일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은 이듬해 2월20일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1445) 등과 논쟁을 벌인다. 최만리는 “언문(한글)은 사대주의에 어긋나는 부끄러운 문자”라며 “설총(655~?)의 이두는 비속하지만 중국 글자를 빌려 어조(語助)에 사용해서 학문을 일으키는 데는 일조했다”고 나름 평가했다. 그러면서 “언문으로 입신출세한다면 무엇 때문에 어려운 성리학을 공부하겠느냐”며 “언문은 새롭고 기이한 한 가지 기예일 뿐”이라고 깎아내렸다.(보물 제951호). 1593년(선조 26년) 임진왜란 와중에 평안도 의주로 줄행랑친 선조는 포로가 되어 왜적에 협조하는 백성들에게 한글교서를 내려 “백성들이여! 돌아오라!”고 권했다. 당시..
"누가 가야를 철의 왕국이라 했나. 철의 나라는 신라였다" 언젠가부터 ‘가야=철의 왕국’이라는 등식은 공리처럼 여겨졌다. 그 근거는 3세기 역사서인 ‘동이전·한조’의 ‘나라(國)에서 철(鐵)이 생산된다(出)’는 기사였다. 즉 “한(韓·마한)과 ‘예(濊)’, 왜(倭)가 모두 이곳의 철을 가져갔고, 또 2군(낙랑·대방군)에도 공급했다”는 것이다. 특히 “시장에서 중국의 돈을 사용하듯 모두 철을 거래수단으로 삼는다”는 내용은 ‘철의 왕국’이 아니면 쓸 수 없는 기록으로 여겨졌다.그러나 ‘동이전’의 내용을 뜯어보면 한가지 이상한 점을 느낄 수 있다. 울산박물관이 진시중인 ‘달천철광(광산)’ 코너 전시품. 기원전 1~기원후 3세기 토기들이 발굴됐고, 이중에는 왜와의 교역사실을 일러주는 야요이 토기편이 조사됐다.|이도학 교수 촬영 제공■헷갈리는 는 알려지다시피 중국 서진의..
'통일의 유전자'를고려에서 찾는다-고려건국 1100주년 특별전 “태조가 즉위하여 국호를 고려라 하고 연호를 천수(天授)라 했다. 즉위 조서에서 ‘임금과 신하는 물과 물고기처럼 즐거워하고(魚水之歡)이며 태평시대의 경사(晏淸之慶)를 도우리니 나라의 뭇 백성은 마땅히 내 뜻을 알도록 하라’고 했다.”( )은제 주전자와 그릇받침. 개성 부근의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인다. 1935년 미국 보스턴 박물관이 구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918년 6월(음력) 태조 왕건이 고려의 건국을 만천하에 알렸다. 동북아는 당나라가 멸망하고(907년) 이른바 5대10국 시대(907~960)라는 혼란기에 접어들고 있었다. 이 시기 고려는 외세의 지원없이 자력으로 후삼국을 합쳤고, 곧 멸망한(926년) 발해의 유민까지 받아들인 진정한 통일을 이뤘다. 태조 왕건이 하늘의 뜻을 받아들였다는 뜻..
'출처불명' 국보, 'k-93호' 대동여지도, 뒤바뀐 보물…박물관 수장고를 발굴하라 “좋은 유물 찾고 싶으면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를 발굴하라”는 말이 있다. 객쩍은 아니다. 현재 박물관 수장고에는 41만 여 점의 문화유산이 소장돼있다. 물론 절대 다수의 유물이 제대로 잘 보존 관리되고 있다. 한강 범람에 대비하여 한강의 수위보다 높게 조성했고, 철통 보안 속에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하고 있다. ‘한국의 보물창고’란 명성에 걸맞은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파란만장한 문화재 사연 그러나 40만점이 넘는 문화재들을 어떻게 다 일일이 간수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유물의 상당수가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소장품을 고스란히 인수받은 것이다. 일제 강점기 발굴조사가 오죽했겠는가. 전문가의 식견이 부족했던 졸속발굴이 적지않았고, 조사보고서도 제대로 작성되지 않은 예가 허다했다. 보고서에 누..
지뢰지대에서 찾아낸 고려 불상 판문점 선언에 따라 비무장지대가 평화지대로 변한다고 합니다. 이번 기회에 예전에 답사한 뒤 기록했던 비무장지대 일원에서 찾아낸 문화유산을 재조명해보겠습니다. 관할부대 주임원사가 미확인 지뢰지대에서 발견한 거대불상. 지뢰지대 속에 겨우 좁은 길을 내어 불상까지 접근했다. 「미확인 지뢰지대」라는 빨간 딱지의 표지를 스치듯 지나가노라니 왠지 꺼림칙하다. 수풀을 헤치며 다가가는 발걸음이 섬뜩하다. 6·25 전쟁 때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백학산 고지(해발 229미터ㆍ파주시 군내면 읍내리). 군사분계선에서 2킬로미터 떨어진 남방한계선에 접한 곳이다. 사방 「미확인 지뢰지대」임을 경고하는 간이철책 사이에 아슬아슬 나있는 교통호를 따라 내려가는 길이다. 2005년 2월8일, 구정 전날 아침. 당시 1사단 00연대 0..
"사관의 위에는 하늘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이 공간에서 소개한 가 2쇄를 찍었습니다 차후에 제2권 제3권이 나올 예정이니 기대해 주세요. “지난 날을 서술하여 미래를 생각하고자 한 것입니다.(述往事 思來者)”( ‘태사공자서’ ‘사마천전·보임안서’) 사마천이 불후의 역사서인 를 쓴 까닭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드워드(E) 핼릿(H) 카(1892∼1982) 역시 (1961년)에서 유명한 말을 했다. “역사란 과거와 현재와의 끊임없는 대화이다.(History is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그러고 보면 사마천이나 E H 카나, 두 사람의 뜻은 2000년의 시공을 초월했어도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즉 과거는 현재와 미래의 거울이며, 과거(역사)를 배우는 것은 바로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