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철의 왕국'이 가야가 아니다. 신라였다"

이번주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223회의 주제는 ‘철의 왕국은 어디었나’입니다.

이미 새해 초에 지면 기사로는 소개했는데요. 이번에 팟캐스트 용으로 재정리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지금까지는 ‘가야=철의 왕국’의 지위가 확고했는데요. 그 근거는 3세기 역사서인 <삼국지> ‘동이전·한조’의 ‘나라(國)에서 철(鐵)이 생산된다(出)’는 기사였습니다.

“그렇게 생산된 철을 한(韓·마한)과 ‘예(濊)’, 왜(倭)가 수입해갔고, 또 2군(낙랑·대방군)에도 공급했다”는 내용도 들어있습니다. 특히 “시장에서 중국의 돈을 사용하듯 모두 철을 거래수단으로 삼는다”는 내용은 ‘철의 왕국’이 아니면 쓸 수 없는 기록으로 여겨졌죠

3세기 중국 역사가 진수가 편찬한 <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조'. '철이 생산되는 나라'를 헷갈리게 서술했다., 

하지만 아니라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최근 한국전통문화대의 이도학 교수가 발표한 논문이 있는데요. <삼국지>에 기록된 철생산국은 변진(훗날 가야)이 아니라 진한(훗날 신라)이라는 내용의 논문입니다. 아닌게 아니라 <삼국지> ‘동이전·한전조’의 기술은 헷갈립니다.그런데 <삼국지>에서 철생산국으로 지목된 곳은 변진(훗날 가야)이 맞을까요. 지금까지의 정설은 변진이 맞다는 것이었습니다. 

진한과 변진을 ‘섞어찌개’ 식으로 기술해버렸으니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철이 생산되는 나라가 진한인지 변진(한)인지 구별하기 어렵다는 거죠. 그럼에도 왜 ‘가야(변진의 후예)=철의 왕국’으로 굳어졌을까요. 

이도학 교수는 1933년 조선총독부가 간행한 <조선사>를 지목합니다. 이 <조선사>가 중국 사서에 등장하는 한국 관련 기사를 연대기순으로 정리했는데 거기서 ‘철 생산국의 주체를 변진으로 단정했다’는 거죠. 이후 이병도 같은 사학자가 “<삼국지>에 의하면 변진 제국에서 철을 산출해서…변진의 철은…” 운운함으로써 ‘철생산국=변진’ 못박았는데요. 이 ‘철생산국=변진(한)’ 견해가 각종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그대로 실림으로써 정설로 굳어졌다는 거죠. 

<삼국지> 보다 140여년 늦게 남북조시대 송나라 범엽이 편찬한 <후한서> '동이전'. 철이 생산되는 나라를 진한(훗날 신라)라 기술했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요. <삼국지> 보다 140여년 뒤에 편찬된 <후한서> ‘동이전·한조’는 “나라에서 철을 생산한다(국출철·國出鐵)”는 기사를 진한에 배치하고 변진은 따로 서술합니다. 

“진한에서 철이 나오는데, 예(濊)·왜(倭)·마한(馬韓)이 철을 사들인다. 모든 무역과 교역에 모두 철을 화폐로 삼는다…변진은 진한과 섞여 살며, 성곽과 의복이 모두 같으나, 언어와 풍속은 다른 점이 있다…”고 한 거죠. 당나라 재상 두우(735∼812)가 편찬한 <통전>과 <책부원구> <한원> <태평어람> 등에서도 ‘철을 생산한 나라=진한’으로 서술했답니다. 조선 후기의 역사가인 순암 안정복(1712~1791)도 마찬가지로 “경주는 진한의 옛터인데…이 나라에는 철이 나고 한·예·왜가 여기서 가져간다…”(<동사강목>)고 서술했어요. 심지어 1892년 간행된 일본 최초의 한국사 개설서인 임태보(林泰輔·하야시 다이호)의 <조선사>에서도 ‘철생산국을 진한’으로 지목했대요.

그런데 일제감점기 조선총독부가 1933년 펴낸 <조선사> 이후 변진으로 바뀌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문제는 ‘철생산국=변진설’이 굳어지자 뭔가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갔다는 겁니다. 왜가 철생산국인 가야에서 철을 확보하려고 임나일본부를 설치했다는 등의 해괴한 논리가 형성됐다는거죠. 2001년에 파문을 일으킨 일본 우익성향인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후소샤·扶桑社)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는데요.

“백제가 야마토 조정에 도움을 구했다. 일본 열도 사람들은 철자원을 구하려고 반도 남부와 깊은 교류를 갖고 있었으므로 바다를 건너 출병했다. 그 때 야마토 정권은 반도 남부의 임라라는 곳에 거점을….”

그런데 만약 <삼국지>에 나오는 철생산국이 변진(가야)이 아니라 진한(신라)이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게 될 경우 역사서술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훗날 신라와 왜의 부단한 투쟁의 원인이 바로 ‘철 확보’ 때문일 수도 있다는거죠. ‘광개토대왕비문’에 등장하는 왜군의 신라 침공도 이런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번 팟캐스트는 이도학 교수가 새삼 제기한 문제를 계기로 해서 ‘변진-가야=철생산국’ 설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는데요. 고고학적인 증거로 미루어 변진-가야보다는 진한-신라쪽이 더 가깝지 않을까 하는 측면에서 일단 문제를 제기했답니다.  

그렇다면 가야 고분에서 쏟아지는 철제유물을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하지만 진한-신라 지역에서도 그에 못지않은, 아니 그보다 더 많은 철제유물들이 나온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가야는 철의 소비국, 유통국이지 생산국은 아니라는 이야기죠. 하지만 생산을 했든, 소비·유통을 했든 가야 역시 철을 사랑한 것은 맞지 말입니다. 물론 어떤 경우든 단정은 금물입니다. 이번주 팟캐스트 내용을 들어보시고 판단해주십시요. 경향신문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