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충청인의 여유 물씬 풍기는 백제 가요 목간

 목간은 당대의 생생한 기록입니다. 목간에 쓰여진 기록을 읽으면 그 시대 사람들의 체취를 흠뻑 맡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확인된 목간은 500여점에 달합니다. 그 가운데 백제시대 목간은 70여점 정도랍니다. 많지않은 숫자지요. 대부분이 사비백제 시기의 것들입니다. 그런데 그리 많지않은 백제 목간 가운데는 유독 흥미로운 목간들이 눈에 띕니다. 이번 주는 그래서 백제 시대 ‘빅 3’ 목간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우선 구구단을 정교하게 써놓은 쌍북리 구구단 목간이 눈에 띕니다. 과연 어떤 패턴으로 만들어진 목간일까요. 옛 사람들은 왜 이이단이라 하지 않고 구구단이라 했을까요. 과연 구구단을 ‘9×9’부터 시작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두번째 흥미로운 목간이 바로 ‘남근형 목간’입니다. 능산리에서 발견된 이 야릇한 목간의 쓰임새는 무엇일까요. 백제인들은 왜 이 남근 형태의 목간을 지금으로 치면 세종로 사거리에 내걸었을까요. 그것도 모자라 목간에 ‘설 立’자를 3번이나 기록했습니다. ‘섰다~! 섰다! 섰다!’를 세번이나 외친 까닭은 무엇일까요. ‘빅3’ 가운데 남은 하나는 역시 능산리에서 수습한 ‘백제 가요 목간’입니다. 가장 오래된 백제시대의 가요라 합니다. 이름 또한 ‘숙세가’라 붙였습니다. 내용을 보면 지금의 충청도 사람을 뺨치 듯 너무도 여유롭습니다. 재미있지 않습니까. 백제인의 여유가 지금의 충청인의 여유로 이어졌다는 것이…. 이 시간 백제시대 빅3 목간이 들려주는 역사이야기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117회는 ‘구구단, 남근, 가요… 백제의 빅3 목간이 들려주는 역사’입니다.

 

부여 능산리에서는 또하나 흥미로운 목간이 발견됐다.

길이 12.7㎝에 붓으로 쓴 소박한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있는 목간이다.

“숙세결업(宿世結業) 동생일처(同生一處) 시비상문(是非相問) 상배백래(上拜白來).”

국립부여박물관이 2008년 펴낸 소장품 조사자료집인 <백제목간>에 나온 해석문은 이렇다.

“숙세(전세)에 업을 맺었기에 (현세에) 함께 같은 곳에 태어났습니다. 잘잘못을 서로 물어(논하여) 우러러 절 올리며 사뢰옵니다.”

박물관측은 ‘숙세’ ‘결업’ ‘동생일처’ 등 불경의 요소가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문장은 모두 4-4구인데 천자문이나 유교 경전인 <시경>, <서경> 등에 자주 보이는 문체라고도 했다.

 

그런데 국어학자인 김영욱 교수(서울 시립대)는 이 목간의 해석문을 단순하게 보지 않았다.

김교수는 일단 이렇게 해석했다. “전생의 인연으로/ 현세에 함께 하니/ 시비를 서로 물어/ 상배하고 사뢰져.”

 

이렇게 배열하니 백제인의 마음을 담은 소박한 가요로 읽혔다는 것이다.

 

“노랫말의 내용은 물론이려니와 목간의 외양이 서민적인 냄새를 물씬 풍기면서 그것도 찌그러지고 울퉁불퉁한 판목 위에 새겨진 정겨운 글씨라는 점에서 필자의 마음을 더욱 사로잡았다.”

김교수에 따르면 ‘숙세’는 과거사. ‘동’은 현세를 뜻한다. ‘동생(同生)’은 도반이나 부부, 형제, 이웃을 일컬으며 ‘시비’는 ‘시비지심’으로 진리 혹은 사실을 밝힌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상배(上拜)의 상(上)은 불타나 상제 혹은 존경의 대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백래(白來)’는 ‘사뢰러 오다’는 뜻도 되지만 ‘내세를 사뢴다’는 식의 불교적 해석도 가능하다.

김교수는 이 목간의 내용이 불교의 윤회사상이 짙게 베어있고 사언사구의 일정한 형식으로 구성된 것을 주목했다.

또 한국어 어순과 한문이 혼재한 백제 고유의 문체가 확인되고 백제인의 정서가 그대로 묻어내기까지 했다. 여기에 불교적 내세관까지….

 

김교수는 이 목간의 내용을 ‘숙세가’라 이름붙이고 가장 오래된 ‘백제시가’로 판정했다. 백제인의 민요라는 것이다.

 

김교수는 논문의 각주에서 ‘텍스트가 지닌 언술을 더듬어보면 이런 뉘앙스로 읽을 수 있다’고 해놓고 다음과 같이 풀었다.

‘부처님이 맺어준 인연으로 우리 함께 한평생 살아가는데 세속의 시비 쯤이야 가려서 무엇하겠소.’

이렇게 해석하니 백제인의 화해정신과 깊은 신앙심을 읽을 수 있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진 백제인 특유의 여유까지 느낄 수 있다.

 

영락없는 충청도 사람의 가요가 아닌가. 김영욱 교수의 해석대로라면 ‘숙세가’는 당대 백제인이 창작한 백제 시가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백제 시가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기도 하다.

“정읍사가 전해지지만 그것은 구비전승된 후대의 문헌에 정착된 것이다. 숙세가는 공무도하가에서 느낄 수 있는 세속적인 인연의 애절함과 달리 세속에서 벗어난 듯한 초탈함을 느낄 수 있다. 넉넉함과 여유도 느낄 수 있지 않은가.” 경향신문 논설위원

 

<참고자료>

윤선태,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2007년
윤선태, ‘백제 구구단 목간과 술수학’, 제3회 국제학술대회 고대세계의 문자자료와 문자문화, 경북대, 2016년
정훈진, ‘부여 쌍북리 백제유적 출토 목간의 성격’, <목간과 문자> 제16호, 한국목간학회, 2016년
정훈진, ‘사비도성에서 발견된 구구단 백제 구구표 목간’, <한국의 고고학> 통권 32호, 2016년 6월
손환일, ‘백제 구구단의 기록체계와 서체-부여 쌍북리 출토 구구단목간과 전 대전월평동 산성 구구단 개와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33집, 한국사학사회, 2016
김영욱, ‘백제 이두에 대하여’, <구결연구> 제11집, 태학사, 2003년
국립부여박물관, <백제목간>, 소장품조사자료집, 국립부여박물관, 2008년
도미야 이타루,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고대문화사>, 임병덕 옮김, 사계절,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