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3) 파주 서곡리 벽화묘

-한씨자손이 권준선생을 600년 모신 사연-

파주 서곡리 벽화묘.


“민통선 안에서 누가(도굴범) 물건을 꺼내왔다는데…. 무덤에 뭔가 그림 같은 게 있다고 하네요.”

1989년 어느 날, 당시 정양모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실장에게 한 통의 제보가 들어왔다. 도굴된 벽화묘? 우리나라에서, 특히 한반도 남부에 벽화묘는 극히 드문 것이어서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대단한 ‘사건’이었다.

그로부터 1년 뒤 제보자는 무덤의 위치를 파악한 뒤 정실장에게 전했다.

“파주 서곡리 야산이랍니다. 비석도 있다네요. 청주한씨, 문열공 한상질의 묘라고 하네요.”

한상질(1350?~1400년)이라. 여말선초의 문신이자, 세조 때의 권신인 한명회의 할아버지.

“벽화묘라니까 발굴조사가 필요했어. 당시 국립중앙박물관장이던 한병삼씨(작고)도 청주한씨거든. 내 대학 동기이기도 하고….”

한병삼 관장은 비명을 질렀다.

“확실하냐. 골치 아프네.”(한관장)

“도굴됐고, 벽화를 봤다는데 어쩌냐. (발굴) 해야지.”(정실장)

묘 주인공으로 추정되는 벽화와 별자리.

조상묘를 파헤친다는 것은 정서상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도굴당한 무덤이고, 더욱이 벽화묘이므로 발굴조사는 불가피했다. 정실장은 겨우 청주 한씨 종중의 양해를 얻었다.

91년 4월6일. 발굴이 시작되었다. 당시 조사원이던 최맹식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실장의 말.

“무덤을 찾는 데 4시간이나 걸렸어요. 길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노출된 지뢰가 보이기도 하고…. 군인 3~4명이 호위하는 속에서 조사를 시작했죠. 대남방송은 귓전을 때리고….”

민통선 밖 여인숙에 숙소를 잡아놓고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묘 안에는 과연 고려시대 벽화가 보였습니다. 사방 벽면에 12명의 인물상을 배치했고, 천장에는 별자리를 그린 성신도가 있었어요. 그런데 북벽과 별자리 그림은 확연했고, 동서남벽 쪽은 많이 훼손됐어요. 전형적인 고려말 무덤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런데…. 뒤집어질 일이 벌어졌다.

4월12일, 묘 주변의 구조를 조사하다가 무덤 바로 앞의 흙에서 묘지석(誌石·죽은 사람의 인적사항이나 묘소의 소재를 기록하여 무덤에 묻는 돌)이 4편이나 확인됐다.

“묘 주인공의 행적을 알 수 있는 결정적인 자료잖아요. 얼마나 놀랐는지….”

최맹식 조사원은 저녁에 이 지석을 숙소인 충남여인숙으로 가져가 글자를 판독한다.

“전서체(篆書體)로 써있었지만, 그냥 보아도 ‘증시창화권공묘명(贈諡昌和權公墓銘)’이라는 글자가 눈에 띄었어요. 그러니까 묘 주인공이 권씨라는 말이잖아요.”

골치아픈 일이었다. 무덤 앞에 서있는 비석은 엄연히 청주한씨, 즉 한상질의 묘라고 해놓았는데 그 무덤의 주인공이 권씨라니.

“정양모 실장(조사단장)에게 유선상으로 연락하고, 탁본을 떠서 전문가에게 보이고 했죠.”

 

무덤앞에 서있는 묘비엔 지금도 ‘한상질’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박재찬기자


정확한 판독결과 묘지명의 주인공은 고려 충렬왕~충목왕 때의 문신 창화공 권준(1280~1352)이었다. 권준이 죽은 1352년 사위 홍언박의 간청으로 당대 문인인 이인복이 지은 것이었다.

그렇다면 ‘한상질’이라고 쓴 비석은 왜 서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청주한씨는 무려 600년 가까이 엉뚱한 분의 제사를 지냈다는 말인가. 지석의 파편 일부가 무덤내 석실에서도 발견됨에 따라 발굴단은 무덤 밖에서 확인된 지석이 원래는 무덤 안에 있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더욱 기막힌 것은 묘지석의 주인공인 권준과 비석의 주인공인 한상질이 내외손 간이었다는 사실이었다.

권준의 둘째 아들인 권적의 사위가 한상질의 아버지인 한수(1333~1384)였던 것이다.

안동권씨 창화공파 종회장인 권병선씨는 이것을 ‘공민왕시역사건(1374)’을 통해 설명한다.

고려사 등을 보면 공민왕은 사랑하는 노국공주가 죽고, 신돈을 통한 개혁정치가 물거품이 되자 엽기적인 성행각을 벌인다. 바로 남색(男色)이었다. 왕은 김흥경이라는 총신(寵臣)을 사랑했고, 김흥경을 통해 자제위라는 기관을 두어 미남의 귀족자제들을 선발했다. 공민왕은 자제위 홍륜 등과 난삽한 관계를 맺는 장면을 문틈으로 엿보기도 하고, 익비와의 성행위를 독려했다.

그런데 1374년 9월1일, 왕은 내시 최만생으로부터 익비의 임신사실을 보고받는다. 그러자 왕은 최만생에게 “후사가 없는 터에 잘 된 일”이라면서 은밀하게 물었다.

“누구의 씨인고?”(왕)

“홍륜이라 합니다.”(최만생)

“내일 홍륜의 무리를 죽여 입을 닫게 할 것이다. 너도 이 계획을 아니 마땅히 죽을 줄 알라.”(왕)

밀고했는데 도리어 죽을 운명이라니. 두려움에 떨던 최만생은 홍륜 등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홍륜 일파는 그날 밤 술에 만취한 공민왕을 살해한다.
그런데 다음날 ‘전세’가 역전된다. 친원파인 이인임 등이 홍륜과 이 사건에 연루된 자제위 권진과 한안 등을 죽인다. 물론 공민왕의 비참한 최후와 관련, 배후세력이 있다는 주장도 많다. 자객이 침입해 왕을 시해한 뒤 자제위에게 죄를 뒤집어씌웠다는 설과, 이른바 친원파의 음모라는 설 등이 그것이다. 역사적 진실이야 어떻든 이때 죽은 권진이라는 인물은 권준의 증손자이다.

“그 사건으로 멸문지화의 위기에서 권씨 집안이 뿔뿔이 흩어질 때 권준 할아버지의 제사를 내외손 간인 청주한씨 집안(한수)에게 부탁했을 겁니다.”(권병선씨)

추정컨대 청주한씨 가문이 내외손 간인 권준의 제사를 지내주다가 한수의 아들 한상질(1400년 사망)의 무덤으로 오인했다는 것이다. 무덤 앞에 서있는 한상질의 비석은 1700년대에 세운 것이다.

하지만 철석같이 조상묘로 여기고 제사를 모셔왔으며, 어렵사리 발굴까지 허락해준 청주한씨로서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다. “우리 가문인 한안(자제위)이라는 분도 공민왕 시해사건 때 피살되었는데,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권씨 제사를 지낼수 있었겠습니까.”(한명철 청주한씨 문열공파 종친회장)

결국 이 사건은 대법원까지 가는 법정싸움으로 번졌다. 법원은 조사단의 발굴보고서를 토대로 이 무덤의 주인공은 ‘권준’이라는 ‘역사판결’을 내렸다. 권준의 묘지석이 발견되고, 유물상황이나 고려풍 벽화의 형태 등을 보아 틀림없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청주한씨 측은 다시 발굴조사 보고서(국립문화재연구소 펴냄)가 잘못됐다면서 다시 소송에 들어갔다. ‘역사재판’에서 이번에는 ‘고고학재판’으로 번진 것이다. 재판은 2심까지 모두 기각됐지만 청주한씨 측은 대법원에 상고해놓은 상태다.

겨우 승용차 한 대가 덤불을 손으로 헤쳐가며 지날 수 있는 길.

엉덩이를 있는 대로 찧어가며 곡예하듯 달려간 끝에 맞이한 서곡리 벽화묘. 지금도 ‘한상질’이라는 이름의 비석이 무덤 앞에 턱하니 서 있었다. 600년의 기구한 사연을 담은채….

무덤의 주인공인 권준 선생은 어떻든 복받은 분이지 않은가. 비록 남의 집안이 차려준 제사상이지만 그동안 극진한 보살핌을 받았으니까. 그렇다면 한상질 선생은….

〈이기환 선임기자|파주 진동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