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삶

서울 사람들 닮은 ‘개경 사람들’- 한국역사연구회 <고려 500년 서울 개경의 생활사>

▲고려 500년 서울 개경의 생활사…휴머니스트|한국역사연구회

한국전쟁과 남북분단으로 갈 수 없는 도시 개성. 그러나 이제 남북화해와 통일의 시대를 맞아 개성은 반나절 코스로 훌쩍 다닐 수 있는 옆동네가 될 날도 머지 않았다. 개성, 즉 개경은 알다시피 한민족과 한민족 문화를 세계에 알린 고려왕국의 수도이자 국제도시였다.
 
이 책은 다소 밋밋한 제목이 불만스러울 만큼 당대 개성인의 생생한 삶, 그리고 애환을 담고 있다. 마치 지금 이 시대의 서울을 보는 것 같다. 요지경 그 자체다.

결혼을 말할 때 아주 상반된 표현으로 ‘시집간다’ 혹은 ‘장가간다’고 한다. 고려시대에는 장가간다는 표현이 맞았던 것 같다. “혼인 하면 필요한 것은 모두 처가에 의존하니 장모·장인의 은혜는 부모와 같다”(이규보)느니, “부모공양은 딸이 맡아서 주관한다”(이곡)는 말을 보면 단박에 알 수 있다.

열녀? 고려에는 전통적 의미에서의 ‘열녀’란 거의 없다. 특히나 간통을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은 상당히 진보적이었다. 예 하나. 공민왕 때 판밀직사였던 신귀의 처가 여러 대신들과 간통해서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재상 경복흥은 “절개를 잃은 것은 남편의 유배 때문에 한적함을 이길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변호했다. 왕은 도리어 독수공방을 하던 여인들을 불쌍히 여겨 다른 유배 남편들까지 대거 풀어주었다.

외국어 조기교육 열풍이 불기도 했는데, 이색이 대표적이었다. 이색은 10살부터 한인으로부터 중국어를 배웠다. 그런 뒤 4년간 원나라에서 유학했다. 하지만 ‘네이티브 스피커’ 수준은 아니었던 것 같다. 1388년 명나라 태조를 만났는데, 태조의 질문에 엉뚱한 대답을 한 것이다. 명태조는 “네 말은 꼭 나하추(원나라 장수로 명나라로 투항한 인물) 같다”고 했는데, 이는 이색의 발음이 신통치 않았음을 알려주는 말이다.

이 책은 고려시대 개경에 살았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그 도시의 일상풍경, 그리고 여가와 풍속, 불교 및 민간 신앙을 1차 사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했다. 10년의 준비 끝에 나온 책이라 하지 않은가. 이름값을 내세워 날림으로 쑥쑥 책을 뽑아내는 경우와는 대비되는 대목이다. 대중서로서 손색이 없다. 2만2000원 

〈이기환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