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흔적의 역사

후견인 장성택의 선택은?

“조상님들! 형(무왕)의 병을 대신해서 나를 죽여주십시요.”
 
기원전 1046년. 무왕이 은(상)을 멸하고 주나라를 세웠다. 불과 2년 뒤, 무왕은 깊은 병에 걸렸다. 신하들은 크게 두려워했다. 멸망했다지만 은(상) 유민들의 반발이 거셌기 때문이었다. 이 때였다. 무왕의 동생인 주공(周公) 단(旦)이 목욕재계하고 제단에 올랐다.

 

시안(西安) 진시황릉에서 발굴된 온량거. 진시황제의 시신은 이곳에 담긴채 비밀리에 운반됐다. 시체 썩는 냄새가 진동했으며 수행원들은 생선에 소금을 뿌려 시신의 냄새를 가렸다.

■금등지사(金등之祠)에 얽힌 사연

 
그리곤 “형님 대신 저를 데려가 달라”고 조상신에게 간절히 빌었다. 주공은 이 ‘축문’을 금으로 밀봉해서 금색 실로 묶은 나무궤짝에 감춰두었다. 축문을 지키는 자에게 “절대 발설하지 마라”는 추상같은 명령을 내렸다.

이것을 ‘금등지사(金등之祠)’, 혹은 ‘금등서(金등書)’라고 한다. 어쨌든 이 기도로 형(무왕)의 병세가 호전됐다. 하지만 무왕은 ‘창업 스트레스’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죽고 만다. 

결국 포대기에 싸인 어린 성왕(기원전 1042~ 1021)이 뒤를 잇는다. 이 때부터 삼촌인 주공이 어린 왕을 대신하여 섭정에 나선다. 이때 주공의 동생인 관숙과 채숙이 유언비어를 퍼뜨린다.

“형님(주공)이 결국 나라를 움켜쥘 것이다.”
 
둘은 은(상)유민들을 규합, 반란을 일으킨다. 주공은 3년 만에 반란을 평정시킨다. 사실 주공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어린 조카 성왕은 감히 삼촌을 훈계하지 못했다. 신하로 여기지도 못했다.

주공은 섭정에 임할 때는 늘 ‘남면(南面)’, 즉 남쪽을 향하고 앉았다.(천자는 남쪽을 향해 앉았다.) 또 주공의 뒤에는 천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도끼가 그려진 병풍이 있었다. 이 모두 ‘천자’의 상징이었다. 
 
                                                                                         
■공자가 한탄한 까닭은
 
하지만 주공은 “천하가 왕실을 모반할까봐 이처럼 오해를 받으면서도 섭정하는 것”이라고 누누이 강조했다.

주공을 비난하는 참소가 빗발치자 성왕도 의심을 품었을 때도 있었다. 견디다 못한 주공은 초나라로 망명하기도 했다. 그런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주공은 어린 조카를 위해 나라의 기틀을 다졌다. 
 

온량거의 세부모습

왕실의 일족과 공신들에게 그들이 다스릴 땅을 내줬다. 심지어는 은(상)의 후예들에게도…. 유명한 ‘봉건제’를 채택한 것이다. 그 뿐이 아니었다. 관직과 행정의 순서를 정한 <주관(周官)>을 지었다. 이때부터 예의와 음악이 바로 잡히고, 법제가 바르게 개혁됐다. 백성들은 비로소 화목해졌다. 조정을 칭송하는 노래가 중원에 퍼졌다. 그는 특히 어린 조카를 훈계하려고 <다사(多士)>와 <무일(毋逸)>을 지었다.
“자식이 교만하고 사치를 부려 부모의 창업을 잊으면 집안과 나라를 망친다.(<다사>) 문왕(성왕의 할아버지)은 새벽부터 정오까지 밥먹을 겨를도 없었다네.(<무일>)” 
 
주공은 섭정한 지 7년이 지나자 미련없이 정권을 조카에게 돌려주었다. 그리곤 ‘북면(北面)’, 즉 북쪽(천자)를 향해 앉았다. 신하의 자리로 돌아간 것이다.

주공이 죽은 뒤 성왕은 주공이 예전에 “절대 열지 말라”고 신신당부한 ‘금등서’를 꺼내 보았다. 그리곤 “형(무왕)을 위해 대신 죽겠다”는 내용을 담은 축문을 확인했다. 성왕은 닭똥같은 눈물을 흘렸다.
“삼촌(주공)이 이렇게 왕조를 위해 애쓰셨는데…. 내가 어려서 미처 알지 못했소.”
 
후대의 학자들은 이런 주공을 ‘성인’으로 추앙했다. 요컨대 유교는 ‘요(堯)·순(舜)·우(禹)·탕(湯)·문(文)·무(武)·주공(周公)의 도를 대성한 공자의 교학(敎學)’이라는 것이다.

오죽했으면 공자는 말년에 “주공이 꿈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탄하지 않았던가.
“심하구나, 내가 너무 늙었구나. 오래됐구나, 내가 다시 꿈에서 주공을 뵙지 못한 것이….(甚矣 吾衰也 久矣 吾不復夢見周公)”(<논어> ‘술이·述而’)
 
고려말 충신 정몽주(鄭夢周·1337~1392)의 이야기도 재미있다. 아버지가 꿈에서 주공을 만난 뒤 낳았다고 해서 ‘몽주’라는 이름을 얻었다는 것이다. 그만큼 ‘주공 단’은 대를 이어 ‘왕의 날개’(旦常輔翼王)가 된, 올곶은 후견인이었다.
 

■진시황, ‘현장지도’ 중에 객사하다
 

진시황릉에서 발굴된 병마용

그로부터 830여 년이 지난 기원전 210년. 진나라 시황제가 세상을 떠났다. 사상 처음으로 통일제국을 이룬 지 11년만의 일이었다. 사실 시황제는 전형적인 ‘일중독증’ 환자였다.
매일 밤 산더미처럼 쌓인 공문서(목간과 죽간)을 혼자 처리했다. 황제가 결재하는 죽·목간의 무게를 저울로 달 정도였다.
황제의 또다른 특기는 요즘 표현대로 하면, ‘현장지도’였다. 천하통일 후 10년 동안 무려 5번의 전국 순행(巡行)에 나선 것이다. 그야말로 불철주야, 일에 매달린 것이다.

 
그에게 20여 명의 자식이 있었다. 그 가운데 입바른 소리를 잘했던 맏아들 부소(夫蘇)는 변경으로 쫓겨간 상태였다. 460명의 선비를 생매장한 악명높은 갱유사건 때 “아니되옵니다”를 연발하자 추방된 것이었다. 

반면 막내아들 호해(胡亥)는 시황제의 귀여움을 독차지했다. 시황제는 5번째 순행 때 호해만 혼자 데려간다.
이 ‘현장지도’가 제국의 운명을 갈랐다. 황제가 순행 도중에 중병에 걸린 것이다. 죽음을 예감한 황제는 최측근인 환관 조고(趙高)를 불러 밀서를 꾸미게 한다.
“맏아들 부소(夫蘇)는 어서 함양(咸陽·진나라 수도)으로 돌아와 장례를 받들라.”
황위를 부소에게 넘겨주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시황제는 조서를 작성하자 마자 숨을 거두고 만다. 한마디로 객사(客死)한 것이었다.
조서는 물론 부소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시신이 함양으로 운구될 때까지 황제의 죽음은 철저하게 비밀로 부쳐진다. 시신은 온량거(온梁車) 속에서 썩은 냄새가 진동했다. 황제의 죽음을 아는 이는 아들 호해와 환관 조고, 승상 이사 등 5~6명에 불과했다. 이들은 시신 썩는 냄새와 구별하지 못하도록 소금에 절인 생선을 온량거에 가득 넣었다.
 

■‘지록위마(指鹿爲馬)’로 황제를 농락한 후견인
 
조고는 음모를 꾸민다. “정권이 부소에게 가면 모두 죽는다”면서 호해와 이사 등을 설득한다. 셋은 맏아들 부소에게 전달될 밀봉편지를 뜯어 내용을 조작한다.

“참소를 일삼는 부소는 어서 자결하라.”
아무 것도 모르는 부소는 피눈물을 흘리면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호해는 21살의 나이에 2세 황제가 된다.
포대기에 싸여 왕위에 오른 주나라 성왕과 비교할 수 없는 나이였다. 하지만 실권을 잡은 조고는 주공(周公)이 아니었다. 조고는 “황족을 모두 죽이라”고 건의했다. 이로써 공자와 공주 24명이 시장바닥에서 도륙 당했다.
또 50만 명을 투입, 아방궁 공사를 재개했다. 신하들이 ‘공사중단’을 요청했다. 그러자 황제는 “내가 천하를 얻은 까닭은 하고 싶은 것을 내 마음대로 하는 것인데 무슨 잔소리냐”고 호통쳤다.
이를 두고 후한의 명제는 “이는 사람의 머리로 짐승 울음을 내는 것(人頭畜鳴)”이라면서 혀를 끌끌 찼다.
 
또 변방의 부역에 징발이 끊이지 않았다. 연좌제로 처벌이 강화됐다. 길 가던 백성의 절반이 전과자였다. 형벌을 받은 자의 절반이 죽어 시장바닥에 쌓였다. 세금을 많이 걷고, 사람을 많이 죽이는 자가 ‘현명한 충신’이 됐다. 조고는 한술 더 떴다.

“폐하는 아직 어립니다. 신하들에게 얼굴을 드러내면 단점만 보입니다. 그러니 구중궁궐 깊숙한 곳에서 팔짱만 끼고 계십시요. 일은 제가 다 처리하겠습니다.”
그래놓고는 사슴을 데려다 황제에게 바치면서 “이것은 말”이라 우겼다. 황제가 “무슨 소리냐”고 하자 조고는 대신들에게 물었다. 상당수의 신하들이 “말입니다”라고 했다. 모반을 앞둔 조고의 시험이었다. 조고는 “사슴”이라고 곧이곧대로 말한 신하들을 중상모략했다. 이것이 그 악명높은 ‘지록위마(指鹿爲馬)’의 고사이다.
 
황제는 결국 조고의 겁박에 못이겨 자결하고 말았다. 조고는 스스로 황위에 오르려고 했다. 하지만 2세 황제 형의 아들인 자영에게 죽임을 당한다. 진시황이 죽은 지 불과 4년만에 진나라는 멸망하고 만다.

 
역사는 돌고 돈다. 지금 이 순간, 북한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이후 강성택 등이 29살 어린 지도자 김정은의 후견인으로 등장했단다. 그런가. 그렇다면 궁금하다. 후견인은 과연 누구를 따를 것인가. 주공인가, 조고인가.

 

/이기환 문화·체육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