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겸재 정선(1676~1759)과 사천 이병연(1671~1751)의 브로맨스는 필설로 다할 수 없다.   

그러다보니 겸재의 작품 중에서도 백미로 꼽히는 ‘인왕제색도’를 둘러싼 논쟁도 흥미진진하다.
겸재의 75살 작품인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는 한여름 소나기가 내린 뒤의 인왕산 풍경을 그린 것이다. ‘금강전도’와 함께 겸재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국보(제216호)로 지정되었다.

그런데 미술사학자 최완수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등은 이 그림을 겸재가 위독한 지경에 빠진 절친 사천의 임박한 죽음을 애도하려고 그린 작품이라고 해석했다.

 

겸재의 대표작인 ‘인왕제색도’. 몇몇 미술사학자들은 겸재가 임종을 앞둔 평생지기 사천(이병연)을 위해 그린 작품이라고 해석한다. 이 그림은 소나기 내린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것인데, 1751년 윤 5월 29일 이병연이 세상을 떠나기 4일전에 그렸다고 주장한다.|리움 미술관 소장

■인왕제색도는 우정의 산물?

물론 ‘인왕제색도’에는 사천 이병연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그렇다면 무슨 근거로 이 그림을 이병연과 결부시키는 것인가. 최완수는 사천 이병연이 사망한 날짜(1751년 5월 29일)와 겸재가 ‘인왕제색도’에 써놓은 제발(신미윤월하완·辛未閏月下浣)’을 주목한다.
신미년 간지에 해당되는 해는 1751년이었고, 윤달은 5월이었다는 것이다. 하완은 하순을 일컫는다. 그러니까 겸재가 ‘인왕제색도’를 그린 것은 ‘1751년 윤 5월 하순’(신미윤월하완)이었다는 얘기다. 그런데 <영조실록>에는 “이병연이 1751년(영조 27년) 윤 5월 29일 사망했다”는 부음기사가 실린다.
‘윤 5월 하순과 윤 5월 29일’이라면 어떤가 무슨 연관성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1751년 윤 5월 25일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오늘의 날씨’.  <승정원일기>를 보면 19일부터 24일까지 매일 비가 내렸다고 했다. 장마철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25일은 ‘조우석청’, 즉 아침까지 비가 내렸다가(雨) 오후에 개었다(晴)고 되어있다. 사천 이병연이 사망한 날짜는 4일 뒤인 29일이었다. 일부 미술사학자들은 겸재가 ‘인왕제색(仁王霽色)’, 즉 비 온 뒤(霽)의  인왕산 풍경을 그린 점에 착안했다. 즉 6일간 지루하게 내리던 비가 그친 5월25일 오후에 겸재가 특유의 일필휘쇄법으로 인왕제색도를 그렸다는 것이다.  사경을 헤매고 있는 평생지기 사천을 위해 그렸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확증은 없다.

■<승정원일기> '오늘의 날씨'에서 찾은 단서
미술사학자인 오주석은 더 나아갔다. 그 무렵의 <승정원일기>를 들춰보았다.

국왕 비서실이 임금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한 <승정원일기>에는 매일 매일의 날씨가 실려있다. 당연하다. 지금도 일기를 쓸 때 맨먼저 기록하는 것이 ‘오늘의 날씨’ 아닌가. 오주석은 그걸 주목한 것이다.
과연 흥미로운 대목이 보였다. <승정원일기> 1751년 윤 5월19일부터 24일까지 ‘날씨란’에는 하루종일 비가 내렸다는 뜻인 ‘우(雨)’라 적혀있었다.
윤5월 하순이면 양력 6월 하순이므로 장마철이었음이 분명했다. 그랬으니 6일 동안이나 지루한 장맛비가 내렸던 것이리라.
그런데 25일자 <승정원일기>를 보면 달라진다. ‘조우석청(朝雨夕晴)’이라 적혀있다. 지금도 익숙한 날씨정보, 즉 ‘아침까치 비가 내린 뒤 오후에 갰다’는 뜻이다.
오주석은 무릎을 쳤을 것이다.
겸재는 6일간이나 장맛비가 내린 뒤 맑게 갠 1751년 윤 5월 25일 오후에 이 인왕제색도를 그린 것이 아닐까. 오주석은 <인왕제색도>의 오른쪽에 그려진 기와집을 육상궁(지금의 청와대 옆 칠궁) 뒷담쪽에 있던 이병연의 집이라 추정했다.
그렇다면 맑게 개어가는 인왕산의 모습이 병이 위중했던 절친의 쾌차를 기원하는 겸재의 안타까운 심정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겸재의 특기가 무엇인가.
붓을 들어 한번에 휘몰아치며 그리는 일필휘쇄법으로 유명하지 않은가. 그렇게 한번의 붓질로 완성한 그림을 죽음을 앞둔 평생지기에게 보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병연은 끝내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한채 4일만에 세상을 떠났다.

<인왕제색도>가 겸재가 죽음을 앞둔 친구 이병연을 위해 그린 것이라 주장하는 이들은 그림의 오른쪽 밑 부분의 집을 이병연의 집이라 해석한다. 그러나 이병연의 집은 육상궁(현재 칠궁) 곁에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기와집 뒤편의 언덕을 인왕산 자락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인왕산과 육상궁의 거리는 그림에서 표현된 것보다 멀다. 따라서 이병연의 집을 그렸다는 해석은 다소 억측일 수 있다.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친구를 위한 그림인가
물론 최완수·오주석 등의 추론은 ‘억측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다. 지나치게 겸재를 존경하는 일부 미술사학자들의 집착에 빚은 치명적인 오류라는 것이다.
즉 겸재가 죽어가던 친구를 위해 그린 매우 특별한 작품이라면 ‘인왕제색도’의 제발에 당연히 이병연을 언급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장진성 서울대 교수는 “그러나 ‘인왕제색도’에는 이병연의 ‘이’자도 없다. 또 오주석 등이 주장한 그림 오른쪽의 기와집도 이병연의 집을 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림 구도상 육상궁(칠궁) 옆에 있었다는 이병연의 집과, ‘인왕제색도’의 그림 구도와는 너무도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또한 일리있는 해석이다.
사실이든, 혹은 지나친 애정이 빚어낸 오류이든 사천과 겸재의 지독한 브로맨스가 아니었다면 나올 수 없는 스토리텔링이다. 경향신문 논설위원 

 

<참고자료>
장진성,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방식’. <동악미술사학> 제11호, 2011년
         ‘애정의 오류-정선에 대한 평가와 서술의 문제’, <미술사논단> 제33호, 한국미술연구소, 2011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소명출판사, 2005
윤진영, ‘조선후기 서촌의 명소와 진경산수화의 재조명’, <서울학 연구> 50권 50호, 서울학연구소, 2013
최완수, <겸재 정선>, 현암사 2009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솔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