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임진진(하)

1592년 5월17일 이곳 임진진에서 펼쳐진 임진강 전투는 ‘한심 스토리’의 전형이다. 무기력한 조선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것이다.

“군대 다루기를 봄날 놀이하듯 하니 어찌 패하지 않겠는가?”

임진왜란 반성의 기록(‘징비록’)을 남긴 서애 유성룡의 한탄이다. 그랬다. 서애의 반성을 더 들어보자.

“순찰사들은 모두 문인 출신이었다. 병무에 익숙하지 않았고, …요지(要地)를 지키지도 못했으며….”

한때는 철옹성(산성)을 쌓고, 필살의 청야전법을 쓰면서 수와 당나라 같은 제국을 망하게 하거나 번번이 골탕먹인 게 우리 민족인데…. 농업국가이자 유교국가인 조선의 방어체제는 어설펐다.

선조가 피란길에 머물렀던 파주 진동면 동파역. 북행에 나섰던 외교관이나 장수들이 말을 갈아탔던 곳으로 지금은 훈련장에 서 있다.


# 태평성대의 그늘

세조(1417~1468) 때부터 조선의 방위개념은 진관(鎭管) 체제와 그 뒤를 이은 제승방략(制勝方略) 체제였다. 진관 체제는 평상시에는 생업에 종사하고, 유사시에는 군사 체제로 전환하는 향토단위의 방어전략이었다. 강성문 육사 명예교수의 말을 들어보자.

“농업사회였으니 예전처럼 청야전술을 펴고, 산성에 틀어박혀 적군을 막는 일이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래서 평지에 읍성을 쌓고 농민들은 농사를 지으면서 정기적으로 군사훈련을 받는 식으로 운영되었습니다.”

하지만 군사에는 문외한인 수령이나, 백성들의 입장에서 정기적인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었다.

“천재지변을 이유로 정기적인 군사훈련을 기피하는 일이 다반사였습니다. 농사일이 바쁜데 무슨 군사훈련? 뭐 이런 식이었죠.”

개국(1392년) 이후 200년간이나 평화를 유지했으니 그럴 만도 했다. 하지만 양반관료층의 토지 집적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자영농이 소작농으로 전락함에 따라 병농일치, 양인개병의 원칙이 무너졌다. 그래서 도입한 것이 제승방략체제였다.

제승방략은 유사시에 여러 지역의 군사들을 특정장소에 집결시켜 대처하는 체제. 이때 조정은 제승방략의 군사지도자를 파견하게 된다. 이런 방어체제는 신속하지만, 대규모의 침공을 받으면 무용지물로 전락한다.

“(제승방략 체제 아래서는) 전쟁이 나면 모든 군사가 모여 (조정이 보내는) 지휘관만을 기다리는 형편입니다. 장수가 오지 않고 적의 공격을 받으면 군대는 흩어지고 결국 패하게 됩니다.”

# 장수는 오지않고 왜군은 턱밑까지 쫓아오고…

역시 ‘징비록’의 고발이다. 임진왜란 때도 문경의 수령들이 제승방략에 따라 한 곳에 모여 조정이 파견하는 지휘관을 기다렸다. 하지만 며칠이 지나도록 지휘관(순변사)은 도착하지 않았고, 도리어 왜군의 진격이 더 빠르자 모두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다.

순변사 이일이 문경에 도착했을 때는 고을에 개미 새끼 한마리 보이지 않았다. 다시 그런 맥락에서 임진강 전투의 ‘한심 스토리’를 더듬어보자. 임진강 전투는 도원수(야전사령관)의 지휘 아래 진행됐다. 하지만 임진강 도하에 어려움을 겪은 왜군이 화해를 청하는 서신을 보내면서 짐짓 군대를 후퇴시키는 등 술수를 부리자 그만 속아 넘어가고 만다.

평양의 망명정부는 “적군이 고립무원하여 피곤하니 쳐야 한다”는 경기감사의 낙관론에 빠진다. 그러면서 임진강 도강에 소극적인 야전사령관(김명원)을 의심하여 또 다른 지휘관, 그것도 문신(한응인)을 파견한다. 그러면서 “너는 도원수(야전사령관)의 지시에 따르지 마라”고 명령을 내린다. 몸은 하나인데 머리가 둘인 말이 앞으로 나갈 수 있겠는가.

나폴레옹은 “작전을 펼 때에는 현명한 장수 두 사람보다 용렬한 장수 한 사람이 더 낫다”고 했다. 정 야전사령관의 작전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바꾸면 될 일 아닌가. 임진강 전투에 투입된 인원은 1만5000명이었고, 왜군은 1만2000명이었다. 병력, 숫자나 지형지물의 측면에서 유리했음에도, 한심한 위 아래가 연출한 엇나간 이중주로 참패의 고배를 든 것이다.

‘징비록’을 비롯한 각종 사료는 임진강 패전 이후 인간 군상들의 행태를 소설처럼 묘사한다.

“임진강 도강공격은 절대 안된다”고 섣부른 공격을 극구 반대했던 노병 유극량. 그는 막상 전투가 시작되자 “비록 뜻은 같지 않지만 어찌 가만있으리오” 하면서 끝까지 싸우다가 전사한다.

이때 ‘쌍두마차’ 김명원(도원수)과 한응인(도순찰사), 그리고 박충간(검찰사) 등은 모두 청단의(파란 색의 비단 옷)를 입고 있었다. 그런데 박충간이 말머리를 돌려 달아나기 시작했다. 그러자 그를 도원수(김명원)라고 오해한 병사들이 “원수가 도망간다”고 소리쳤다. 그러자 강을 지키던 병사들이 모두 “걸음아 나 살려라!”하고 뿔뿔이 흩어졌다.

대패한 김명원과 한응인은 평양으로 돌아왔지만 특별한 문책은 없었다. 김명원은 훗날 좌의정을 지냈다.

패전의 책임을 진 한응인에게는 공을 세워 보답하라는 뜻에서 강동지구 방수직이 내려졌다. 한응인은 나중에 우의정에 올랐다. “왜군은 고립무원이니 빨리 쳐야한다”고 잘못된 정보를 올렸던 경기감사 권징은 가평으로 피했다.

# 전쟁은 죄없는 이의 목숨만 가져간다

왜군은 임진강 전투에서 크게 이겼음에도 쉽게 임진강을 건너지 못했다. 열흘 후에야 임진강 상류로 올라가 조그만 배를 타고 몰래 아군의 상황을 살폈다. 그런데 이게 웬일.

이곳을 지키던 부원수 이빈이 화살 하나 쏘지 않고 도망친 게 아닌가. 모든 군사가 흩어졌다. 이로써 임진강·한탄강 방어선이 무너져 조선은 누란의 위기에 빠지게 되었다.

산 사람들은 어떻게든 살았으나 억울하게 죽은 이도 많았다. 이전에 김명원과 함께 한강 사수에 나섰던 부원수 신각은 김명원의 곁을 떠나 양주 산골짜기에 들어가 적 60명의 머리를 베었다. 하지만 김명원은 신각이 주장(主將)을 버리고 도망쳤다고 보고했다. 조정은 5월18일 선전관을 시켜 전투에 참전하러 연천(한탄강)에 와 있던 신각의 사형을 집행하게 했다.

그런데 선전관이 연천을 떠난 지 얼마 안되어 신각이 양주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는 사실이 평양조정에 알려졌다.

이에 조정은 사형집행을 중지시키기 위해 급히 다른 선전관을 보냈다. 하지만 이 선전관이 도착했을 때는 이미 신각의 목이 나뭇가지에 효수된 뒤였다. 억울한 신각에게는 구십살의 노모가 홀로 계셨으니 얼마나 비극적인 일인가.

“조금만 쉰 후에 적정을 살핀 뒤 공격하자”고 건의한 죄로 한응인에게 죽임을 당한 이름 모를 장병들의 넋은 누가 달래줄 것인가.

그리고 이름 없이 빛도 없이 스러져간 백성들은 어떻고…. 역사를 읽으면 역시 전쟁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교훈을 얻게 된다. 전쟁의 결과가 어떻든 관계 없다. 전쟁은 무고한 백성들의 억울한 떼죽음만을 낳는다. 반면 살 수 있는 지위의 사람들은 언제 어느 순간에도 살아남아 떵떵거린다.

〈이기환|임진진에서〉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오리산 (下)  (0) 2007.07.13
(18) 한반도의 배꼽 ‘오리산’(上)  (1) 2007.07.06
(14) 임진진(上)  (0) 2007.06.08
(13)매소성 대첩 현장에서(하)  (1) 2007.06.01
(12)매소성 대첩 현장에서(상)  (0) 2007.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