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래자 思來者

화려한 색채의 공주 대통사…백제 장인이 묻힌 '아차' 실수 단청 흔적

백제 최고(最古)의 사찰인 대통사터로 지목된 충남 공주 반죽동 한옥부지에서 사찰을 화려한 단청으로 칠한 흔적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지난 3~4월 이곳에서 ‘대통(大通)’이라는 명문기와 등 2만 여 편의 유물을 발굴한 조원창 한얼문화유산연구원장은 “수습된 지두문(손가락으로 그린 무늬) 암막새의 뒷면에서 가로 방향의 붉은 칠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대통사터에서 확인된 암막새. 뒷면에 백제의 단청기술자가 실수로 묻힌 붉은 칠의 흔적이 역력하게 보인다.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조 원장은 오는 7일 열리는 ‘공주 대통사지 성격규명과 향후 조사 및 활용방안’ 학술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발굴조사 성과를 발표한다.
조 원장은 이것이 “암막새가 시설되는 연함(連含)을 단청하는 과정에서 묻은 흔적으로 추정된다”고 해석했다. 연함은 건물 지붕의 끝단 기와와 암막새를 지붕에 붙게 만들려고 기와골에 맞춰 파도모양으로 깎은 나무 부재를 일컫는다.

조 원장은 6세기 백제 단청 기술자가 이 연함을 붉게 칠하다가 그만 암막새에 실수로 묻혔다고 해석한다. 이런 단청의 흔적은 신라의 전 흥륜사터(경주공고 부지)와 사천왕사터, 동궁과 월지(안압지), 울산 율리 영축사터 등 신라 유적에서는 발견된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성기, 웅진기. 사비기 백제의 그 어떤 백제 유적에서도 확인된 바 없다. 이런 단청 자국은 웅진기 도성인 공산성과 그 주변 지역, 무령왕비의 빈전으로 알려진 정지산 유적 등에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화려한 건물의 흔적이다.

조 원장은 “이것은 흔히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게(儉而不陋)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게(華而不侈)’의 원칙을 지킨 왕궁보다 대통사를 훨씬 화려하게 치장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해석했다.
성왕은 왜 유독 ‘검이불루, 화이불치’의 원칙을 깨고 유독 대통사만을 화려한 단청으로 꾸몄을까. 
<삼국유사> ‘흥법’에 그 단서가 나온다. “대통 원년인 정미년(527년)에 양나라 황제를 위해 웅천주(공주)에 사찰을 건립하고 그 이름을 대통사라 했다”는 기록이다. ‘대통’은 중국 양나라 무제(재위 502~549)가 527~529년 사이 사용한 연호이다. 당시 백제의 군주는 성왕(재위 523~554)이다.

목조건물 처마의 각 부재. 암막새를 받치고 있는 부재가 연함이다. 백제 단청기술자가 바로 연함을 칠하다가 실수로 암막새에 묻혔을 것이다. |조원창 한얼문화유산연구원장 제공 

그럼 성왕은 왜 양나라 무제를 위해 절을 지었다는 것인가.

백제 성왕은 불가의 ‘전륜성왕(轉輪聖王)’을 롤모델로 삼은 군주다. 이름을 성왕(聖王)이라 지은 것도 그 때문이다. 전륜성왕은 진리의 수레를 굴리면서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세계를 평정한다는 이상적인 제왕이다. 그런데 양나라 무제 역시 전륜성왕을 자처한 통치자이다.
조원창 원장은 “백제 성왕은 ‘황제보살’의 별명까지 얻은 양 무제의 불국토사상을 본받기 위해 대통사를 건설했을 것”이라 보았다. 그래서 그 어느 곳보다 화려한 단청으로 장식했고, 양나라도 사찰 기술자들을 대통사 공사에 파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통일신라시대 건물터에서 확인되는 단청의 흔적들. 경주 동궁과 월지(맨 왼쪽과 가운데), 울산 율리 영축사터 출토 암막새에도 보인다. 그러나 백제 건물터에서는 이번에 확인된 대통사 암막새가 처음이다.|조원창 원장 제공  

백제 대통사는 <삼국유사>에 신라 흥법사(544년)과 함께 백제 최고(最古)의 사찰로 기록되어 있다. 문헌에만 등장했다가 일제강점기 공주고보 교사였던 일본인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여학교 기숙사 욕실을 만드는 과정에서 ‘대통’명 기와를 수습함으로써 그 실재가 확실해졌다.
그러다 이번 발굴에서 ‘대통’명 기와와 단청 흔적의 ‘지두문 암막새’ 등을 포함해서 흙으로 빚은 불상의 얼굴과 무릎, 귀신 얼굴 모양의 기와(鬼面瓦), 치미, 연화문 수막새, 전돌 등 2만여편이 쏟아져 나왔다.
무령왕릉 벽돌과 무늬가 거의 같은 유물도 나왔다. 고고학계는 “기록으로만 존재했고, 그 터가 어디인지 몰랐던 대통사가 바로 이곳이 아니냐”고 흥분했다.

신라의 경주 황룡사지, 백제 사비기의 부여 정림사지에 비견되는 삼국시대 사찰이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결국 백제학회와 한국고대사학회 등 12개 학회가 “1500년만에 현현한 백제 대통사지의 온존한 조사와 보존을 촉구한다”는 성명서까지 발표했다.
급기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는 지난 5월16일 대통사터가 유력해진 반죽동 한옥 부지를 보존하기로 결정했다. 조원창 원장은 “204㎡ 의 매우 좁은 곳에서 엄청난 유물이 쏟아졌지만 향후 발굴범위를 넓혀 차근차근 조사해서 유적의 성격을 제대로 규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