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로그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사래자 思來者

  • '소박데기' 보물의 명예회복

    '소박데기' 보물의 명예회복

    1933년 4월8일 경주 노서리 215번지에서 밭을 갈던 주민 김덕언씨가 금귀고리·금반지 각 1점과 금구슬 33알을 발견했다. 김씨의 신고를 받고 달려온 일본인 학자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4.24 0 comment

    '못난이 아닌 개성파 국보' 인증받은 은진미륵

    '못난이 아닌 개성파 국보' 인증받은 은진미륵

    ‘은진미륵’으로 알려진 충남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못생긴 불상’으로 폄훼됐다. 일본의 미술사학자인 세키노 다다시(關野貞)는 “균형미가 없고, 머리가 지나치게 크며 면..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4.22 0 comment



itle-inner">팟캐스트 182회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조선 후기 풍속도의 계보는 김홍도(1745~)-신윤복(1758~?)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민들의 일상과 애환을 진솔하면서도 해학적으로 표현한 김홍도와, 양반과 기녀들의 사랑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19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온조왕 41년(기원후 23년) 한수 동북쪽의 여러 부락 사람으로 나이 15세 이상을 징발하여 위례성(慰禮城)을 수리했다.” “진사왕 2년(386년) 15세 이상을 징발하여 국경을 방비하는 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12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2009년 중국 허난성(河南省) 안양현(安陽縣) 시가오쉐촌(西高穴村)의 가마터 일꾼들이 벽돌을 만들려고 진흙을 파다가 깜짝 놀랄만한 고분과 유물을 찾아냈다. 2009년에 이어 2016·2017..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06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

    “곰뼈인가?” “아니야. 사람뼈 같아.” “근데 사람 뼈치고는 좀 이상하지않아?” 1856년 여름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 네안더 계곡 위쪽의 펠트호프 석회암 동굴에서 채석한 돌을 고르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9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사래자思來者

  • 잘못된 임시정부 수립일…어디서부터 문제였나

    잘못된 임시정부 수립일…어디서부터 문제였나

    4월 13일자 달력을 보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1990년부터 시작된 정부 차원의 기념행사를 위해 제정한 날짜였다. 왜 4월13일이었을까. 상하이(上海)..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4.15 0 comment

    안경 아나운서의 용기

    안경 아나운서의 용기

    “다시 이렇게 밝고 통쾌한 물건을 낳아 사람들이 이용하니 노인 눈이 아니요 젊은이의 눈이로다. 털끝만큼 작은 것도 볼 수 있으니 누가 이러한 이치를 알아내었나. 바로 구라파의 사람이..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4.16 0 comment



팟캐스트 181회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온조왕 41년(기원후 23년) 한수 동북쪽의 여러 부락 사람으로 나이 15세 이상을 징발하여 위례성(慰禮城)을 수리했다.” “진사왕 2년(386년) 15세 이상을 징발하여 국경을 방비하는 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12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2009년 중국 허난성(河南省) 안양현(安陽縣) 시가오쉐촌(西高穴村)의 가마터 일꾼들이 벽돌을 만들려고 진흙을 파다가 깜짝 놀랄만한 고분과 유물을 찾아냈다. 2009년에 이어 2016·2017..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06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

    “곰뼈인가?” “아니야. 사람뼈 같아.” “근데 사람 뼈치고는 좀 이상하지않아?” 1856년 여름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 네안더 계곡 위쪽의 펠트호프 석회암 동굴에서 채석한 돌을 고르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9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너는 낮은 신분으로서 임금의 어가와 세자의 출정에 말고삐를 짊어지는 공을 이뤘고…. 험한 일을 두루 겪으면서도 시종일관 마부의 역할을 다했으니….” 최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2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사래자 思來者

  • 공시생이 읽어야 할 '지×같은' 필독서?

    공시생이 읽어야 할 '지×같은' 필독서?

    “대학 교수도 풀 수 없는 지×같은 문제를 출제하다니….” 온라인 한국사 강사인 전한길씨가 비속어를 섞어가며 지난달 24일의 서울시 지방공무원 7급 필기시험 한국사 문제를 비판한 동..

    사래자 思來者 2018.04.09

    • 공시생이 읽어야 할 '지×같은' 필독서?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503년부터 ‘귀부인(Monna) 리자(Lisa)’라는 뜻의 영어식 표현인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했다. 1516년 프랑수아 1세의 초청으로 이탈리아를 떠나 프랑스에..

    사래자 思來者 2018.04.09

    • 공시생이 읽어야 할 '지×같은' 필독서?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1995년 5월13일 영국인 앨리슨 하그리브스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다. 무산소 등반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이자, 남녀를 통틀어 남이 설치한 고정로프에 의존하지 않고 정상에 오른 두번째..

    사래자 思來者 2018.04.01

    • 공시생이 읽어야 할 '지×같은' 필독서?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중국이 자랑하는 술이라면 역시 마오타이주(茅臺酒)다. ‘기원전 135년 한무제가 파견한 당몽이 촉 지방의 소국 야랑에서 맛본 구장이라는 술’( ‘서남이열전’ 등)을 기원으로 삼..

    사래자 思來者 2018.04.01

    • 공시생이 읽어야 할 '지×같은' 필독서?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사래자思來者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503년부터 ‘귀부인(Monna) 리자(Lisa)’라는 뜻의 영어식 표현인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했다. 1516년 프랑수아 1세의 초청으로 이탈리아를 떠나 프랑스에..

    사래자 思來者 2018.04.09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 260㎜ 신석기인의 신발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1995년 5월13일 영국인 앨리슨 하그리브스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다. 무산소 등반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이자, 남녀를 통틀어 남이 설치한 고정로프에 의존하지 않고 정상에 오른 두번째..

    사래자 思來者 2018.04.01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 260㎜ 신석기인의 신발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중국이 자랑하는 술이라면 역시 마오타이주(茅臺酒)다. ‘기원전 135년 한무제가 파견한 당몽이 촉 지방의 소국 야랑에서 맛본 구장이라는 술’( ‘서남이열전’ 등)을 기원으로 삼..

    사래자 思來者 2018.04.01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 260㎜ 신석기인의 신발
  • 260㎜ 신석기인의 신발

    260㎜ 신석기인의 신발

    6세기 초중반 중국 양나라를 방문한 12개국 사신을 그린 ‘양직공도’를 살펴보면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가늠해볼 수 있다. 예컨대 가죽신을 신고 있는 백제 사신과 달리 왜국 사신은 신발..

    사래자 思來者 2018.03.28

    • '귀부인' 모나리자의 외출을 엄금한다!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 260㎜ 신석기인의 신발


팟캐스트 180회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2009년 중국 허난성(河南省) 안양현(安陽縣) 시가오쉐촌(西高穴村)의 가마터 일꾼들이 벽돌을 만들려고 진흙을 파다가 깜짝 놀랄만한 고분과 유물을 찾아냈다. 2009년에 이어 2016·2017..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06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

    “곰뼈인가?” “아니야. 사람뼈 같아.” “근데 사람 뼈치고는 좀 이상하지않아?” 1856년 여름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 네안더 계곡 위쪽의 펠트호프 석회암 동굴에서 채석한 돌을 고르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9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너는 낮은 신분으로서 임금의 어가와 세자의 출정에 말고삐를 짊어지는 공을 이뤘고…. 험한 일을 두루 겪으면서도 시종일관 마부의 역할을 다했으니….” 최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2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

    근자에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가 보물 1973호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한가지 근본적인 의문이 들었다. ‘미인도’는 과연 신윤복이 붙인 제목인가. 독자의 입장에서 각종 자료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8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사래자思來者

  •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뉴욕타임스, 98년만에 유관순 부음기사를 쓰다

    1995년 5월13일 영국인 앨리슨 하그리브스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다. 무산소 등반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이자, 남녀를 통틀어 남이 설치한 고정로프에 의존하지 않고 정상에 오른 두번째..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4.01 3 comment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닉슨, 김일성, 김정은… 2억원짜리 마오타이주

    중국이 자랑하는 술이라면 역시 마오타이주(茅臺酒)다. ‘기원전 135년 한무제가 파견한 당몽이 촉 지방의 소국 야랑에서 맛본 구장이라는 술’( ‘서남이열전’ 등)을 기원으로 삼..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4.01 1 comment



팟캐스트 179회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곰뼈인가?” “아니야. 사람뼈 같아.” “근데 사람 뼈치고는 좀 이상하지않아?” 1856년 여름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 네안더 계곡 위쪽의 펠트호프 석회암 동굴에서 채석한 돌을 고르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9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너는 낮은 신분으로서 임금의 어가와 세자의 출정에 말고삐를 짊어지는 공을 이뤘고…. 험한 일을 두루 겪으면서도 시종일관 마부의 역할을 다했으니….” 최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2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근자에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가 보물 1973호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한가지 근본적인 의문이 들었다. ‘미인도’는 과연 신윤복이 붙인 제목인가. 독자의 입장에서 각종 자료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8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단장님, 이건 꼭 남근 같습니다. 아무래도 안압지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대학원생(성균관대) 신분으로 조사에 참여하고 있던 김성태씨가 흥분해서 조유전 조사단장을 찾았다. 김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1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팟캐스트 178회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너는 낮은 신분으로서 임금의 어가와 세자의 출정에 말고삐를 짊어지는 공을 이뤘고…. 험한 일을 두루 겪으면서도 시종일관 마부의 역할을 다했으니….” 최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2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

    근자에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가 보물 1973호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한가지 근본적인 의문이 들었다. ‘미인도’는 과연 신윤복이 붙인 제목인가. 독자의 입장에서 각종 자료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8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단장님, 이건 꼭 남근 같습니다. 아무래도 안압지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대학원생(성균관대) 신분으로 조사에 참여하고 있던 김성태씨가 흥분해서 조유전 조사단장을 찾았다. 김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1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일본인 출신으로 귀화한 인물 가운데는 사야가(沙也加·김충선)이 첫손가락으로 꼽힌다. 사야가는 1592년 4월15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왜군 제2진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22

    • 선조는 왜 마부를 공신명부에 올렸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사래자 思來者

  • 중국이 한반도로 쫓아낸 ‘악귀와 재앙’, 그것은 미세먼지

    중국이 한반도로 쫓아낸 ‘악귀와 재앙’, 그것은 미세먼지

    “섣달그믐부터 정월대보름까지 폭죽의 관습에 따라 딱총(紙統·종이폭죽)으로 귀신을 쫓는다. 포탄소리보다 웅장한 굉음이 아침까지 끊이지 않는다.” 1791년(정조 16년) 연경(북경)을..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3.21 1 comment

    어느새 문화재가 된 온돌, 그 따끈한 아랫목

    어느새 문화재가 된 온돌, 그 따끈한 아랫목

    “고구려인들은 겨울에 긴 구들 아래 불을 지펴 방을 덥힌다”는 의 기록처럼 온돌은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였다. 그렇기에 세계적인 대영백과사전에도 떡하니 ‘ONDOL’이라고..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3.19 2 comment



흔적의 역사

  • 일제는 왜 낙랑과 가야 발굴에 혈안이 됐을까

    일제는 왜 낙랑과 가야 발굴에 혈안이 됐을까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는 1500~5000점 가량의 낙랑유물이 소장돼있다. 아직 유물정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숫자를 모른다. 분명한 것은 이 대량의 낙랑유물이 일제시대 때 집중..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15

    • 일제는 왜 낙랑과 가야 발굴에 혈안이 됐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

    근자에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가 보물 1973호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한가지 근본적인 의문이 들었다. ‘미인도’는 과연 신윤복이 붙인 제목인가. 독자의 입장에서 각종 자료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8

    • 일제는 왜 낙랑과 가야 발굴에 혈안이 됐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단장님, 이건 꼭 남근 같습니다. 아무래도 안압지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대학원생(성균관대) 신분으로 조사에 참여하고 있던 김성태씨가 흥분해서 조유전 조사단장을 찾았다. 김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1

    • 일제는 왜 낙랑과 가야 발굴에 혈안이 됐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일본인 출신으로 귀화한 인물 가운데는 사야가(沙也加·김충선)이 첫손가락으로 꼽힌다. 사야가는 1592년 4월15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왜군 제2진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22

    • 일제는 왜 낙랑과 가야 발굴에 혈안이 됐을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思來者 사래자

  • 시황제, 위안스카이, 시쩌둥

    시황제, 위안스카이, 시쩌둥

    황제의 원조는 진나라 시황제(始皇帝)다. 초대황제라는 뜻에서 시(始)자를 붙였고, 이후 ‘2세, 3세, 4세…’ 등의 만세까지 이어질 것이라 장담했다. 하늘의 권능을 받은 황제이니 쉽게 얼..

    사래자 思來者 2018.03.12

    • 시황제, 위안스카이, 시쩌둥
    • 단일팀 선수들의 '눈물바다' 이별
    •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 단일팀 선수들의 '눈물바다' 이별

    단일팀 선수들의 '눈물바다' 이별

    1월 중순 평창 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의 단일팀 추진 방침을 들은 세라 머리 감독은 “충격적”이라 했다. 선수들 역시 북한선수들을 ‘다된 밥상에 숟가락 하나 들고 찾아온 밉상 형..

    사래자 思來者 2018.02.26

    • 시황제, 위안스카이, 시쩌둥
    • 단일팀 선수들의 '눈물바다' 이별
    •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골품제도가 있는 스포츠라면 아이스하키를 꼽을 수 있겠다. 나라별 실력차에 따라 엄격한 신분제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축구에서는 동남아국가와 브라질이 하다못해 친선경..

    사래자 思來者 2018.02.13

    • 시황제, 위안스카이, 시쩌둥
    • 단일팀 선수들의 '눈물바다' 이별
    •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아이스하키에서 가장 불쌍한 포지션이라면 역시 ‘골리(골키퍼)’를 꼽을 수 있다. 두께 2.54cm, 지름 7.62cm의 원형압축고무를 얼려 만든 무게 150~170g의 퍽이 시속 160~180㎞의 총알..

    사래자 思來者 2018.02.12

    • 시황제, 위안스카이, 시쩌둥
    • 단일팀 선수들의 '눈물바다' 이별
    •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팟캐스트 176회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근자에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가 보물 1973호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한가지 근본적인 의문이 들었다. ‘미인도’는 과연 신윤복이 붙인 제목인가. 독자의 입장에서 각종 자료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8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단장님, 이건 꼭 남근 같습니다. 아무래도 안압지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대학원생(성균관대) 신분으로 조사에 참여하고 있던 김성태씨가 흥분해서 조유전 조사단장을 찾았다. 김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1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일본인 출신으로 귀화한 인물 가운데는 사야가(沙也加·김충선)이 첫손가락으로 꼽힌다. 사야가는 1592년 4월15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왜군 제2진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22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서예솜씨를 자랑한 이는 누구일까. 일단 초대 이승만 대통령이 가장 뛰어난 서예실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년기부터 한학을 배우고 서예를 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14

    • '기생들의 오빠' 신윤복이 연모한 '미인', 그녀는 누구인가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사래자思來者

  • 컬링을 둘러싼 한 일 딸기 전쟁·

    컬링을 둘러싼 한 일 딸기 전쟁·

    한국에 ‘영미’ 팀이 있다면 일본에는 ‘소다네(そだね)’ 팀이 있다. ‘영~미, 영미!’처럼 삿포로 지방의 억양으로 ‘소다네!(그렇지)’를 외치는 일본여자컬링선수들을 지칭하는 별명..

    여적 2018.03.05

    • 컬링을 둘러싼 한 일 딸기 전쟁·
    • '나쁜' 쇼트트랙과 '꿀잼' 쇼트트랙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나쁜' 쇼트트랙과 '꿀잼' 쇼트트랙

    '나쁜' 쇼트트랙과 '꿀잼' 쇼트트랙

    지난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3000m 계주에 출전한 한국여자팀은 무난한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하지만 잔치집이어야 할 팀 분위기가 일순 초상집으로 바뀌었다. 심판이 한..

    여적 2018.02.20

    • 컬링을 둘러싼 한 일 딸기 전쟁·
    • '나쁜' 쇼트트랙과 '꿀잼' 쇼트트랙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언니랑 밥 한번 먹고 싶어요. 꼭 둘이서만….” 현정화 렛츠런(한국마사회) 탁구단 감독(49)은 설레는 마음으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기다리고 있다. 1991년 지바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적 2018.01.23

    • 컬링을 둘러싼 한 일 딸기 전쟁·
    • '나쁜' 쇼트트랙과 '꿀잼' 쇼트트랙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나에게 사인(四寅)이라는 칼이 있어… 땅신도 두려워하고 하늘신과는 통해…내 몸을 방어하니 두려울 게 무엇인고….”()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은 장남(신익성)..

    여적 2018.01.16

    • 컬링을 둘러싼 한 일 딸기 전쟁·
    • '나쁜' 쇼트트랙과 '꿀잼' 쇼트트랙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팟캐스트 175회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단장님, 이건 꼭 남근 같습니다. 아무래도 안압지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대학원생(성균관대) 신분으로 조사에 참여하고 있던 김성태씨가 흥분해서 조유전 조사단장을 찾았다. 김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01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일본인 출신으로 귀화한 인물 가운데는 사야가(沙也加·김충선)이 첫손가락으로 꼽힌다. 사야가는 1592년 4월15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왜군 제2진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22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서예솜씨를 자랑한 이는 누구일까. 일단 초대 이승만 대통령이 가장 뛰어난 서예실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년기부터 한학을 배우고 서예를 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14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노인을 봉양하는 연회를 베풀면 어떻겠사옵니까.” 1771년(영조 47년) 20살이 된 세손(훗날 정조)이 임금(영조)에게 ‘노인봉양잔치’를 권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런데 할아버지 영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8

    • 개(犬)무덤에 왜 통일신라인의 지문이 찍혔을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팟캐스트 174회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일본인 출신으로 귀화한 인물 가운데는 사야가(沙也加·김충선)이 첫손가락으로 꼽힌다. 사야가는 1592년 4월15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왜군 제2진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22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서예솜씨를 자랑한 이는 누구일까. 일단 초대 이승만 대통령이 가장 뛰어난 서예실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년기부터 한학을 배우고 서예를 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14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

    검(劍)이란 무엇인가. ‘밑동에서부터 끝까지 고르고 순수하게 단련된 양날의 칼’이다. 신석기 유적인 함북 웅기군 굴포리의 서포항 패총 등에서 출토된 골제단검은 짐승의 다리뼈를 쪼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1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노인을 봉양하는 연회를 베풀면 어떻겠사옵니까.” 1771년(영조 47년) 20살이 된 세손(훗날 정조)이 임금(영조)에게 ‘노인봉양잔치’를 권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런데 할아버지 영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8

    • 임진왜란 중 항복한 일본인은 1만명이었다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팟캐스트 173회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서예솜씨를 자랑한 이는 누구일까. 일단 초대 이승만 대통령이 가장 뛰어난 서예실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년기부터 한학을 배우고 서예를 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14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노인을 봉양하는 연회를 베풀면 어떻겠사옵니까.” 1771년(영조 47년) 20살이 된 세손(훗날 정조)이 임금(영조)에게 ‘노인봉양잔치’를 권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런데 할아버지 영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8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

    검(劍)이란 무엇인가. ‘밑동에서부터 끝까지 고르고 순수하게 단련된 양날의 칼’이다. 신석기 유적인 함북 웅기군 굴포리의 서포항 패총 등에서 출토된 골제단검은 짐승의 다리뼈를 쪼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1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이라는 게 있다. 스포츠나 항공기, 철도 등에서 특정 번호를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의 경우엔 명예의 뜻을 지니고 있지만 항공기나 철도의 사고에 따른 영..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29

    • 광화문 현판, "아니 어떤 X의 작품이야"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사래자思來者

  •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아이스하키에도 골품제도가 있다

    골품제도가 있는 스포츠라면 아이스하키를 꼽을 수 있겠다. 나라별 실력차에 따라 엄격한 신분제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축구에서는 동남아국가와 브라질이 하다못해 친선경..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2.13 2 comment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귀화 골리 맷 달튼의 '이순신 마스크'

    아이스하키에서 가장 불쌍한 포지션이라면 역시 ‘골리(골키퍼)’를 꼽을 수 있다. 두께 2.54cm, 지름 7.62cm의 원형압축고무를 얼려 만든 무게 150~170g의 퍽이 시속 160~180㎞의 총알..

    사래자 思來者 이기환기자 2018.02.12 1 comment



팟캐스트 172회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노인을 봉양하는 연회를 베풀면 어떻겠사옵니까.” 1771년(영조 47년) 20살이 된 세손(훗날 정조)이 임금(영조)에게 ‘노인봉양잔치’를 권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런데 할아버지 영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8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

    검(劍)이란 무엇인가. ‘밑동에서부터 끝까지 고르고 순수하게 단련된 양날의 칼’이다. 신석기 유적인 함북 웅기군 굴포리의 서포항 패총 등에서 출토된 골제단검은 짐승의 다리뼈를 쪼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1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이라는 게 있다. 스포츠나 항공기, 철도 등에서 특정 번호를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의 경우엔 명예의 뜻을 지니고 있지만 항공기나 철도의 사고에 따른 영..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29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별것 없을 겁니다. 여태껏 여러 대학과 여러 학자들이 조사했지만 허탕만 쳤습니다." 1978년 1월6일. 정영호 교수가 이끄는 단국대조사단이 충북 단양을 찾았다. 온달의 유적을 찾고, 죽령..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19

    • 현충사, 꼭 박정희 현판이어야 하나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사럐자思來者

  • 아주 특별한 아이스하키 단일팀…무엇이 특별한가

    아주 특별한 아이스하키 단일팀…무엇이 특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는 여자아이스하키팀은 ‘아주 특별한 의미의 단일팀’이다. 저마다의 사연을 간직한 귀화인 3명 및 입양아 출신 1명과, 여기에 분단으로 찢긴 한국과 북한(12명..

    사래자 思來者 2018.02.05

    • 아주 특별한 아이스하키 단일팀…무엇이 특별한가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언니랑 밥 한번 먹고 싶어요. 꼭 둘이서만….” 현정화 렛츠런(한국마사회) 탁구단 감독(49)은 설레는 마음으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기다리고 있다. 1991년 지바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적 2018.01.23

    • 아주 특별한 아이스하키 단일팀…무엇이 특별한가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나에게 사인(四寅)이라는 칼이 있어… 땅신도 두려워하고 하늘신과는 통해…내 몸을 방어하니 두려울 게 무엇인고….”()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은 장남(신익성)..

    여적 2018.01.16

    • 아주 특별한 아이스하키 단일팀…무엇이 특별한가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ㅇㄷㅇ ㅈㅎㄱ’ ‘ㅇㄷㅇ ㅂㅅㄱㄷㄹㄱㅇㅇ’ ‘ㅃㄹㅇ!!’ 한 2년 전 딸과 재미삼아 나눈 카톡의 초성문자 대화다. ‘어디야 집? 학교?’ ‘연대 앞, 버스 기다리고 있어!’ ‘빨리와!!..

    여적 2018.01.08

    • 아주 특별한 아이스하키 단일팀…무엇이 특별한가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팟캐스트 171회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검(劍)이란 무엇인가. ‘밑동에서부터 끝까지 고르고 순수하게 단련된 양날의 칼’이다. 신석기 유적인 함북 웅기군 굴포리의 서포항 패총 등에서 출토된 골제단검은 짐승의 다리뼈를 쪼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2.01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이라는 게 있다. 스포츠나 항공기, 철도 등에서 특정 번호를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의 경우엔 명예의 뜻을 지니고 있지만 항공기나 철도의 사고에 따른 영..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29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별것 없을 겁니다. 여태껏 여러 대학과 여러 학자들이 조사했지만 허탕만 쳤습니다." 1978년 1월6일. 정영호 교수가 이끄는 단국대조사단이 충북 단양을 찾았다. 온달의 유적을 찾고, 죽령..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19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

    “665년 8월 문무왕은 당나라 칙사 유인원과 웅진도독 부여융과 취리산에서 회맹했다.” 가 기록한 ‘취리산 회맹’ 기사의 시작이다. 기사가 전하는 취리산 회맹의 전말을 요..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11

    • 문재인 대통령은 왜 장군들에게 양날의 칼을 내렸을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팟캐스트 170회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영구결번이라는 게 있다. 스포츠나 항공기, 철도 등에서 특정 번호를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스포츠의 경우엔 명예의 뜻을 지니고 있지만 항공기나 철도의 사고에 따른 영..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29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별것 없을 겁니다. 여태껏 여러 대학과 여러 학자들이 조사했지만 허탕만 쳤습니다." 1978년 1월6일. 정영호 교수가 이끄는 단국대조사단이 충북 단양을 찾았다. 온달의 유적을 찾고, 죽령..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19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

    “665년 8월 문무왕은 당나라 칙사 유인원과 웅진도독 부여융과 취리산에서 회맹했다.” 가 기록한 ‘취리산 회맹’ 기사의 시작이다. 기사가 전하는 취리산 회맹의 전말을 요..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11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

    “눈보라가 휘날리던 바람 찬 흥남 부두에~이 내 몸은 국제시장 장사치기다. ~영도다리 난간 위에 초생달만 외로이 떴다.” 국민가수 현인의 ‘굳세어라 금순아’는 한국전쟁으로 피란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04

    • '영구결번'된 국보 보물들, 무슨 까닭인가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사래자思來者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언니랑 밥 한번 먹고 싶어요. 꼭 둘이서만….” 현정화 렛츠런(한국마사회) 탁구단 감독(49)은 설레는 마음으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기다리고 있다. 1991년 지바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적 2018.01.23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나에게 사인(四寅)이라는 칼이 있어… 땅신도 두려워하고 하늘신과는 통해…내 몸을 방어하니 두려울 게 무엇인고….”()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은 장남(신익성)..

    여적 2018.01.16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ㅇㄷㅇ ㅈㅎㄱ’ ‘ㅇㄷㅇ ㅂㅅㄱㄷㄹㄱㅇㅇ’ ‘ㅃㄹㅇ!!’ 한 2년 전 딸과 재미삼아 나눈 카톡의 초성문자 대화다. ‘어디야 집? 학교?’ ‘연대 앞, 버스 기다리고 있어!’ ‘빨리와!!..

    여적 2018.01.08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지하철 통풍구 위에서 치마를 펄럭이던 금발미녀, 풍만한 몸매와 뇌쇄적인 입술, 게슴츠레 반쯤 감은 눈…. 메릴린(마릴린) 먼로하면 떠오르는 말이 ‘백치미 섹스심벌’이다. 그러나 ‘섹..

    여적 2018.01.07

    • 현정화가 단일팀 논란에 묻는다. '그럼 통일은 안할건가요?'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팟캐스트 169회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별것 없을 겁니다. 여태껏 여러 대학과 여러 학자들이 조사했지만 허탕만 쳤습니다." 1978년 1월6일. 정영호 교수가 이끄는 단국대조사단이 충북 단양을 찾았다. 온달의 유적을 찾고, 죽령..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19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

    “665년 8월 문무왕은 당나라 칙사 유인원과 웅진도독 부여융과 취리산에서 회맹했다.” 가 기록한 ‘취리산 회맹’ 기사의 시작이다. 기사가 전하는 취리산 회맹의 전말을 요..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11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

    “눈보라가 휘날리던 바람 찬 흥남 부두에~이 내 몸은 국제시장 장사치기다. ~영도다리 난간 위에 초생달만 외로이 떴다.” 국민가수 현인의 ‘굳세어라 금순아’는 한국전쟁으로 피란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04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지금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가 충주에만 있으니 염려스럽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대왕의 업적은 필설로 다할 수 없다. 훈민정음 창제와 해시계·물시계·측우기 등 과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28

    • 신발 흙 털다 발견한 신라 진흥왕의 포고문 “ 내 너에게…”
    • 문무왕은 왜 망국의 태자 부여융과 취리산 조약을 맺었을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사래자思來者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나에게 사인(四寅)이라는 칼이 있어… 땅신도 두려워하고 하늘신과는 통해…내 몸을 방어하니 두려울 게 무엇인고….”()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은 장남(신익성)..

    여적 2018.01.16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 돌리, 스너피, 룽룽…복제시대의 명암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ㅇㄷㅇ ㅈㅎㄱ’ ‘ㅇㄷㅇ ㅂㅅㄱㄷㄹㄱㅇㅇ’ ‘ㅃㄹㅇ!!’ 한 2년 전 딸과 재미삼아 나눈 카톡의 초성문자 대화다. ‘어디야 집? 학교?’ ‘연대 앞, 버스 기다리고 있어!’ ‘빨리와!!..

    여적 2018.01.08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 돌리, 스너피, 룽룽…복제시대의 명암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

    지하철 통풍구 위에서 치마를 펄럭이던 금발미녀, 풍만한 몸매와 뇌쇄적인 입술, 게슴츠레 반쯤 감은 눈…. 메릴린(마릴린) 먼로하면 떠오르는 말이 ‘백치미 섹스심벌’이다. 그러나 ‘섹..

    여적 2018.01.07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 돌리, 스너피, 룽룽…복제시대의 명암
  • 돌리, 스너피, 룽룽…복제시대의 명암

    돌리, 스너피, 룽룽…복제시대의 명암

    1996년 7월 영국의 이언 윌머트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복제한 새끼양에게 ‘돌리’라는 이름을 붙였다. 미국의 팝스타 돌리 파튼의 이름에서 땄다. 돌리 이전에도 동물복제는 있었다. 그러..

    여적 2018.01.03

    • 별을 단 장군은 왜 '양날의 삼정검'을 받았을까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 돌리, 스너피, 룽룽…복제시대의 명암


팟캐스트 168회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조선 후기 풍속도의 계보는 김홍도(1745~)-신윤복(1758~?)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민들의 일상과 애환을 진솔하면서도 해학적으로 표현한 김홍도와, 양반과 기녀들의 사랑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19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온조왕 41년(기원후 23년) 한수 동북쪽의 여러 부락 사람으로 나이 15세 이상을 징발하여 위례성(慰禮城)을 수리했다.” “진사왕 2년(386년) 15세 이상을 징발하여 국경을 방비하는 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12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2009년 중국 허난성(河南省) 안양현(安陽縣) 시가오쉐촌(西高穴村)의 가마터 일꾼들이 벽돌을 만들려고 진흙을 파다가 깜짝 놀랄만한 고분과 유물을 찾아냈다. 2009년에 이어 2016·2017..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4.06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곰뼈인가?” “아니야. 사람뼈 같아.” “근데 사람 뼈치고는 좀 이상하지않아?” 1856년 여름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 네안더 계곡 위쪽의 펠트호프 석회암 동굴에서 채석한 돌을 고르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3.29

    • '팀킴' 화가 김득신이 그린 '조선 최고의 짤방'
    • 15살에 신라 가야 백제인은 나라를 구했다
    • 1800년 논쟁 부추긴 조조의 '가짜무덤설'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사래자 思來者

  •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ㅈㅇㅎㄱㄷ ㄱㅈㅅㅇㅇㅇ ㅈㄱㅇㅌㅎㄹ

    ‘ㅇㄷㅇ ㅈㅎㄱ’ ‘ㅇㄷㅇ ㅂㅅㄱㄷㄹㄱㅇㅇ’ ‘ㅃㄹㅇ!!’ 한 2년 전 딸과 재미삼아 나눈 카톡의 초성문자 대화다. ‘어디야 집? 학교?’ ‘연대 앞, 버스 기다리고 있어!’ ‘빨리와!!..

    여적 이기환기자 2018.01.08 1 comment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였다

    '섹스심볼' 메릴린 먼로가 읽은 책은 '율리시스'..

    지하철 통풍구 위에서 치마를 펄럭이던 금발미녀, 풍만한 몸매와 뇌쇄적인 입술, 게슴츠레 반쯤 감은 눈…. 메릴린(마릴린) 먼로하면 떠오르는 말이 ‘백치미 섹스심벌’이다. 그러나 ‘섹..

    여적 이기환기자 2018.01.07 1 comment



팟캐스트 167회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눈보라가 휘날리던 바람 찬 흥남 부두에~이 내 몸은 국제시장 장사치기다. ~영도다리 난간 위에 초생달만 외로이 떴다.” 국민가수 현인의 ‘굳세어라 금순아’는 한국전쟁으로 피란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8.01.04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

    “지금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가 충주에만 있으니 염려스럽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대왕의 업적은 필설로 다할 수 없다. 훈민정음 창제와 해시계·물시계·측우기 등 과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28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2003년 12월 충남 공주 수촌리에서 백제 무령왕릉 이후 최대의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불과 300평 남짓한 구릉 한편에서 백제 무덤 6기가 확인됐는데 그 속에서 금동관모 2점과, 금동신발 3..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21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1995년 충남 공주에서는 금강을 따라 공주~부여를 연결하는 백제큰길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해발 67m인 야트막한 산(정지산)을 절단할 참이었다. 이미 금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백제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14

    • 무허가 판자촌 지하의 고분…임나일본부의 허구를 밝혔다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팟캐스트 166회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지금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가 충주에만 있으니 염려스럽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대왕의 업적은 필설로 다할 수 없다. 훈민정음 창제와 해시계·물시계·측우기 등 과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28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2003년 12월 충남 공주 수촌리에서 백제 무령왕릉 이후 최대의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불과 300평 남짓한 구릉 한편에서 백제 무덤 6기가 확인됐는데 그 속에서 금동관모 2점과, 금동신발 3..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21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1995년 충남 공주에서는 금강을 따라 공주~부여를 연결하는 백제큰길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해발 67m인 야트막한 산(정지산)을 절단할 참이었다. 이미 금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백제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14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천보산중(天寶山中) 회암사(檜岩寺) 보광명전(普光明殿) 사교각(四校角)~현금탁(縣琴鐸)~” 2000년 5월 어느 날 점심 무렵. 양주 회암사 6단지를 조사 중이던 경기도 박물관 발굴단원..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08

    • 아무도 눈치 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그걸 지켜낸 조선의 민초들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사래자

  • 후설, 견마지치…인공지능은 승정원일기를 어떻게 번역했나

    후설, 견마지치…인공지능은 승정원일기를 어떻게 번역했나

    2005년 네덜란드 출신의 딕 아드보카트(Advocaat​)가 한국축구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었을 때의 일이다. 네덜란드어로 된 아드보카트 관련기사를 검색해서 번역기를 돌렸더니 ‘Lawyer(..

    흔적의 역사 2017.12.26

    • 후설, 견마지치…인공지능은 승정원일기를 어떻게 번역했나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사내초(寺內草), 화방초(花房草), 금강국수나무, 미선나무, 새양버들…. 1922년 식민지 조선에서 자라는 식물을 샅샅이 조사해서 펴낸 일본어 식물서적 부록에 등장하는..

    흔적의 역사 2017.08.16

    • 후설, 견마지치…인공지능은 승정원일기를 어떻게 번역했나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개 혀?” 충청도 사투리가 웃음을 자아낸다. “보신탕(개고기) 먹을 줄 아느냐”는 질문이다. ‘개 혀?’의 복수형도 있단다. ‘개들 혀?’란다. 충북 사람들이 딴죽을 건다. ‘개 혀?’..

    흔적의 역사 2017.07.27

    • 후설, 견마지치…인공지능은 승정원일기를 어떻게 번역했나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진흥왕순수비. 한국사를 배울 때 놓칠 수 없는 역사적인 사실입니다. 삼국 가운데 약소국이던 신라가 진흥왕 때 낙동강 서쪽의 가야세력을 정복하고 북쪽으로는 나제동맹을 깨고 한강유역..

    흔적의 역사 2017.05.05

    • 후설, 견마지치…인공지능은 승정원일기를 어떻게 번역했나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팟캐스트 165회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2003년 12월 충남 공주 수촌리에서 백제 무령왕릉 이후 최대의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불과 300평 남짓한 구릉 한편에서 백제 무덤 6기가 확인됐는데 그 속에서 금동관모 2점과, 금동신발 3..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21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1995년 충남 공주에서는 금강을 따라 공주~부여를 연결하는 백제큰길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해발 67m인 야트막한 산(정지산)을 절단할 참이었다. 이미 금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백제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14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천보산중(天寶山中) 회암사(檜岩寺) 보광명전(普光明殿) 사교각(四校角)~현금탁(縣琴鐸)~” 2000년 5월 어느 날 점심 무렵. 양주 회암사 6단지를 조사 중이던 경기도 박물관 발굴단원..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08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무신년(1608년) 이후 잡채상서니 침채정승이니 하는 말들이 세상에 나돌았다. 이는 잡채나 침채를 상납해서 총애를 얻었기 때문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30

    • 뼈대있는 마한출신 가문 5대가 묻힌 백제시대 선산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사래자(思來者)

  • 똥!덩!어!리!의 역습

    똥!덩!어!리!의 역습

    “아줌마 같은 사람들을 세상에서 뭐라 그러는 줄 알아요? 구제불능, 민폐, 걸림돌, 많은 이름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이렇게 불러주고 싶어요. 똥!덩!어!리!” 2008년 드라마

    여적 이기환기자 2017.12.19 1 comment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조문'과 손편지 조문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조문'과 손편지 조..

    “상주를 알면 조문하고 죽은 사람을 알면 애도한다.” 동양의 예법서인 는 조문(弔問)과 애도(哀悼)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했다. 원나라 시대의 학자 진호는 “조문은 “조문은..

    분류없음 이기환기자 2017.12.18 1 comment



팟캐스트 164회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1995년 충남 공주에서는 금강을 따라 공주~부여를 연결하는 백제큰길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해발 67m인 야트막한 산(정지산)을 절단할 참이었다. 이미 금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백제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14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천보산중(天寶山中) 회암사(檜岩寺) 보광명전(普光明殿) 사교각(四校角)~현금탁(縣琴鐸)~” 2000년 5월 어느 날 점심 무렵. 양주 회암사 6단지를 조사 중이던 경기도 박물관 발굴단원..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08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무신년(1608년) 이후 잡채상서니 침채정승이니 하는 말들이 세상에 나돌았다. 이는 잡채나 침채를 상납해서 총애를 얻었기 때문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30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하면 우리들의 뇌리에 치욕의 산성으로 각인되어 있다. 그것은 조선 인조가 오랑캐 나라인 청 태종(太宗)의 대군에 밀려 남한산성으로 피했다가 결국 무릎을 꿇고 항복한 곳으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23

    • 무령왕비 빈전을 찾아 조문하다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팟캐스트 163회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천보산중(天寶山中) 회암사(檜岩寺) 보광명전(普光明殿) 사교각(四校角)~현금탁(縣琴鐸)~” 2000년 5월 어느 날 점심 무렵. 양주 회암사 6단지를 조사 중이던 경기도 박물관 발굴단원..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2.08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무신년(1608년) 이후 잡채상서니 침채정승이니 하는 말들이 세상에 나돌았다. 이는 잡채나 침채를 상납해서 총애를 얻었기 때문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30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하면 우리들의 뇌리에 치욕의 산성으로 각인되어 있다. 그것은 조선 인조가 오랑캐 나라인 청 태종(太宗)의 대군에 밀려 남한산성으로 피했다가 결국 무릎을 꿇고 항복한 곳으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23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

    겸재 정선(1676~1759)과 사천 이병연(1671~1751)의 브로맨스는 필설로 다할 수 없다. 그러다보니 겸재의 작품 중에서도 백미로 꼽히는 ‘인왕제색도’를 둘러싼 논쟁도 흥미진진하다. 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17

    • '또 하나의 궁궐' 회암사는 왜 폭삭 무너졌을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사래자

  • 독일 청년 페히터와 북한 병사의 탈출기

    독일 청년 페히터와 북한 병사의 탈출기

    “살려주세요!” 1962년 8월 17일 동독의 18살 청년 페테 페히터가 친구 헬무트 쿨바이크와 함께 탈출을 시도하였다. 둘은 장벽 인근의 목공소 건물 속에 숨어있다가 창문을 통해 ‘죽음의..

    여적 이기환기자 2017.12.04 0 comment

    시진핑 어록과 마오쩌둥 어록

    시진핑 어록과 마오쩌둥 어록

    “마오(毛) 주석의 책을 읽고, 마오 주석의 명령에 따르고, 마오 주석의 지시대로 행동하며, 마오 주석의 훌륭한 전사가 되자.” 1960년 9월 14일 린뱌오(林彪) 중국 군사부장은 군사위원회..

    여적 이기환기자 2017.12.04 2 comment



팟캐스트 162회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무신년(1608년) 이후 잡채상서니 침채정승이니 하는 말들이 세상에 나돌았다. 이는 잡채나 침채를 상납해서 총애를 얻었기 때문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신흠(1566~1628)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30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하면 우리들의 뇌리에 치욕의 산성으로 각인되어 있다. 그것은 조선 인조가 오랑캐 나라인 청 태종(太宗)의 대군에 밀려 남한산성으로 피했다가 결국 무릎을 꿇고 항복한 곳으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23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

    겸재 정선(1676~1759)과 사천 이병연(1671~1751)의 브로맨스는 필설로 다할 수 없다. 그러다보니 겸재의 작품 중에서도 백미로 꼽히는 ‘인왕제색도’를 둘러싼 논쟁도 흥미진진하다. 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17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너와 나는 합쳐야 왕망천이 될텐데(爾我合爲王輞天) 그림 날고 시(詩) 떨어지니 양편이 다 허둥대네.(畵飛詩墜兩翩翩) 돌아가는 나귀 벌써 멀어졌지만 아직까지는 보이는구나.(歸驢己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17

    • 공자김치, 뇌물김치, 곤쟁이김치…김치열전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팟캐스트 161회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남한산성하면 우리들의 뇌리에 치욕의 산성으로 각인되어 있다. 그것은 조선 인조가 오랑캐 나라인 청 태종(太宗)의 대군에 밀려 남한산성으로 피했다가 결국 무릎을 꿇고 항복한 곳으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23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

    겸재 정선(1676~1759)과 사천 이병연(1671~1751)의 브로맨스는 필설로 다할 수 없다. 그러다보니 겸재의 작품 중에서도 백미로 꼽히는 ‘인왕제색도’를 둘러싼 논쟁도 흥미진진하다. 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17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

    “너와 나는 합쳐야 왕망천이 될텐데(爾我合爲王輞天) 그림 날고 시(詩) 떨어지니 양편이 다 허둥대네.(畵飛詩墜兩翩翩) 돌아가는 나귀 벌써 멀어졌지만 아직까지는 보이는구나.(歸驢己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17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

    황하(황허·黃河)에는 ‘물 한 말에 진흙 여섯되(一石水六斗泥)’가 흐른다고 한다. 해마다 13억~16억t에 이르는 황톳빛 진흙이 강 하류로 운반된다. 지난 3000년 동안 이 엄청난 진흙은 1..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09

    • 남한산성은 결코 함락당하지 않았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사래자(思來者)

  • 북한 병사의 기생충. 1960~70년대의 기억

    북한 병사의 기생충. 1960~70년대의 기억

    기생충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parasite​)는 ‘다른 이의 음식상을 빼앗아먹는 사람’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됐다. 다른 사람이나 동물의 영양분을 쪽쪽 빨아먹고 산다는 얌체..

    분류없음 2017.11.21

    • 북한 병사의 기생충. 1960~70년대의 기억
    • 유네스코의 고민, '헤브론이냐 알칼릴이냐'
    • 월드컵 로맨스와 출산율
    • 카탈루냐 주민투표와 엘 클라시코
  • 유네스코의 고민, '헤브론이냐 알칼릴이냐'

    유네스코의 고민, '헤브론이냐 알칼릴이냐'

    7월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팔레스타인이 신청한 ‘헤브론(알칼릴) 구 시가지’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주 유네스코 이스라엘 대사인 카멜 샤마 하코헨은 위원회의장석까지 달..

    여적 2017.10.16

    • 북한 병사의 기생충. 1960~70년대의 기억
    • 유네스코의 고민, '헤브론이냐 알칼릴이냐'
    • 월드컵 로맨스와 출산율
    • 카탈루냐 주민투표와 엘 클라시코
  • 월드컵 로맨스와 출산율

    월드컵 로맨스와 출산율

    “25~26일 사이 병원 분만실에서 기록적인 수의 경막외 마취제가 사용됐다.” 지난 3월말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란드스피탈리 대학병원의 마취과 의사인 아스게이르 페투르 토르발드..

    여적 2017.10.11

    • 북한 병사의 기생충. 1960~70년대의 기억
    • 유네스코의 고민, '헤브론이냐 알칼릴이냐'
    • 월드컵 로맨스와 출산율
    • 카탈루냐 주민투표와 엘 클라시코
  • 카탈루냐 주민투표와 엘 클라시코

    카탈루냐 주민투표와 엘 클라시코

    ‘엘 클라시코(El Clásico ) 스페인 프로축구(라 리가) 소속 FC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의 라이벌 대결을 일컫는다. 그런데 바르셀로나의 홈 구장(캄프 누)에서 벌어지는 엘 클라시코..

    여적 2017.10.02

    • 북한 병사의 기생충. 1960~70년대의 기억
    • 유네스코의 고민, '헤브론이냐 알칼릴이냐'
    • 월드컵 로맨스와 출산율
    • 카탈루냐 주민투표와 엘 클라시코


팟캐스트 160회|조선최고의 브로맨스

  •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겸재의 인왕제색도는 임종을 앞둔 '베프'를 위한 작품인가

    겸재 정선(1676~1759)과 사천 이병연(1671~1751)의 브로맨스는 필설로 다할 수 없다. 그러다보니 겸재의 작품 중에서도 백미로 꼽히는 ‘인왕제색도’를 둘러싼 논쟁도 흥미진진하다. 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이기환기자 2017.11.17 0 comment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죽고 못산 '평생 베프'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너와 나는 합쳐야 왕망천이 될텐데(爾我合爲王輞天) 그림 날고 시(詩) 떨어지니 양편이 다 허둥대네.(畵飛詩墜兩翩翩) 돌아가는 나귀 벌써 멀어졌지만 아직까지는 보이는구나.(歸驢己遠..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이기환기자 2017.11.17 0 comment



사래자(思來者)

  • 시(習)황제와 하루 황제

    시(習)황제와 하루 황제

    명·청 시대 궁궐인 자금성(紫禁城)은 서양에서 ‘금지된 도시(Forbidde​n City)’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리 잘된 번역이 아니다. 출입금지를 뜻하는 금(禁)자와, 도시(City)로 번역된 성..

    분류없음 2017.11.13

    • 시(習)황제와 하루 황제
    • 청와대 앞길, 육영수, 김신조…
    • 2300년전 '반도체' 세형동검 거푸집
    • 천년수가 담긴 요술 황금 사리병의 정체
  • 청와대 앞길, 육영수, 김신조…

    청와대 앞길, 육영수,..

    1967년 어느 날, 코흘리개 어린이가 청와대 앞길을 지나가고 있었다. 저편에서 다가오는 까만색 승용차를 보고 손을 흔들었더니 창문이 열렸다. 어떤 아주머니가 고개를 쑥 빼더니 인자한..

    분류없음 2017.06.26

    • 시(習)황제와 하루 황제
    • 청와대 앞길, 육영수, 김신조…
    • 2300년전 '반도체' 세형동검 거푸집
    • 천년수가 담긴 요술 황금 사리병의 정체
  • 2300년전 '반도체' 세형동검 거푸집

    2300년전 '반도체' 세형..

    “아무 것도 없는데…. 왠지 찜찜해. 파보면 뭔가 있을 것 같은 감이 드는데….” 2002년 4월 어느 날, 전북 완주 이서면 반교리 야트막한 구릉(해발 26∼42m)으로 이뤄진 갈동 현장. 전주..

    분류없음 2017.04.18

    • 시(習)황제와 하루 황제
    • 청와대 앞길, 육영수, 김신조…
    • 2300년전 '반도체' 세형동검 거푸집
    • 천년수가 담긴 요술 황금 사리병의 정체
  • 천년수가 담긴 요술 황금 사리병의 정체

    천년수가 담긴 요술 황..

    왕흥사 출토 사리기 명문을 보면 한 가지 재미있는 대목을 볼 수 있다. 즉, 백제왕 창이 죽은 아들을 위해 절을 짓고, 원래 사리 2매를 봉안했는데, 나중에 신의 조화(신령스럽게)로 3매로 변..

    분류없음 2017.01.24

    • 시(習)황제와 하루 황제
    • 청와대 앞길, 육영수, 김신조…
    • 2300년전 '반도체' 세형동검 거푸집
    • 천년수가 담긴 요술 황금 사리병의 정체


팟캐스트 159회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

    황하(황허·黃河)에는 ‘물 한 말에 진흙 여섯되(一石水六斗泥)’가 흐른다고 한다. 해마다 13억~16억t에 이르는 황톳빛 진흙이 강 하류로 운반된다. 지난 3000년 동안 이 엄청난 진흙은 1..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09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호종공신이 80명이 넘는다니 과하다. 그 중에 내시가 24명이며 미천한 자들이 또 20여명이 되었다. 얼마나 외람된 일인가.”( 1604년 6월 25일) “천 것들 하고 함께 공신회맹..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02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견훤이 927년 겨울 11월에 경주에 들이닥쳤다. 견훤은 후궁에 숨어있던 경애왕을 핍박하여 자결케 하고 왕비를 강간했다. 부하들은 경애왕의 비첩들을 난통(亂通)했으며 공사의 재물을..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27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저기 무연고 무덤이 하나 있는데, 도굴된 것 같아요. 어느 분 묘인지 한번 확인하고 싶어요.” 2002년 9월 6일 경기 파주시 교하리 야산(장명산)에서 파평 윤씨 문중 묘소의 이장작업이 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8

    • '백년하청' 황하가 맑아진다. 성인이 출현할 것인가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세상만사

  • 독도새우가 잉어를 잡았다

    독도새우가 잉어를..

    ‘…독도새우, 잡채를 올린 송이 돌솥밥 반상….’ 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청와대 국빈..

    문화수첩 이기환기자 2017.11.08 3 comment

  • kg은 왜 옷에 묻은 얼룩이 되었을까

    kg은 왜 옷에 묻은..

    “질량(㎏)은 옷에 묻은 얼룩 같다.” 지금 세계 각국에서 통용되는 국제단위계는 길이(m),..

    경향의 눈 이기환기자 2017.11.07 1 comment

  • 나치의 성화, 평창의 성화

    나치의 성화, 평창..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주신(主神) 제우스가 감춰둔 불을 훔쳐 인간에게 내준 이가 프로메테우..

    경향의 눈 이기환기자 2017.11.07 1 comment



팟캐스트 158회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호종공신이 80명이 넘는다니 과하다. 그 중에 내시가 24명이며 미천한 자들이 또 20여명이 되었다. 얼마나 외람된 일인가.”( 1604년 6월 25일) “천 것들 하고 함께 공신회맹..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1.02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견훤이 927년 겨울 11월에 경주에 들이닥쳤다. 견훤은 후궁에 숨어있던 경애왕을 핍박하여 자결케 하고 왕비를 강간했다. 부하들은 경애왕의 비첩들을 난통(亂通)했으며 공사의 재물을..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27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저기 무연고 무덤이 하나 있는데, 도굴된 것 같아요. 어느 분 묘인지 한번 확인하고 싶어요.” 2002년 9월 6일 경기 파주시 교하리 야산(장명산)에서 파평 윤씨 문중 묘소의 이장작업이 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8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제주도 하면 무슨 생각이 드십니까. 뭍 사람들에게는 로망이지요. 뭔가 세파에 찌들어 살고 있는 육지 사람들은 한번쯤 평화롭고 아름다운 제주도에서의 삶을 상상해보곤 하지요. 최근에는..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2

    • '내시 마부도 올랐는데…' 의병장 곽재우는 왜 공신에서 탈락했을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팟캐스트 157회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견훤이 927년 겨울 11월에 경주에 들이닥쳤다. 견훤은 후궁에 숨어있던 경애왕을 핍박하여 자결케 하고 왕비를 강간했다. 부하들은 경애왕의 비첩들을 난통(亂通)했으며 공사의 재물을..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27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저기 무연고 무덤이 하나 있는데, 도굴된 것 같아요. 어느 분 묘인지 한번 확인하고 싶어요.” 2002년 9월 6일 경기 파주시 교하리 야산(장명산)에서 파평 윤씨 문중 묘소의 이장작업이 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8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

    제주도 하면 무슨 생각이 드십니까. 뭍 사람들에게는 로망이지요. 뭔가 세파에 찌들어 살고 있는 육지 사람들은 한번쯤 평화롭고 아름다운 제주도에서의 삶을 상상해보곤 하지요. 최근에는..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2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

    아키히토(明仁) 일왕은 1990년 일본을 방문한 노태우 대통령에게 속삭였다. “내 모계에 한국계 인물이 있는 것 같아요.” “일본 왕실에 한국계의 피가 흐른다”고 인정한 폭탄발언이었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8

    • 경애왕은 그날 술판을 벌이지 않았다.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시각

  • 우리 개는 '다' 물어요

    우리 개는 '다' 물어요

    19세기 초까지 영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불베이팅(bull baiting)’이라는 오락이 있었다. 이름하여 ‘소 골리기’인데, 경기내용은 자못 잔인하다. 먼저 기운 센 황소를 반경 30피트(9.14m..

    경향의 눈 이기환기자 2017.10.24 0 comment

    레이건의 DMZ와 트럼프의 DMZ

    레이건의 DMZ와 트럼프의 DMZ

    1952년 12월 2일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한국을 극비 방문했다. 이승만 대통령도 처음에는 방문 사실을 몰랐다. 여의도 비행장에 아이젠하워를 태운 군용기가 내렸을..

    경향의 눈 이기환기자 2017.10.24 0 comment



팟캐스트 156회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저기 무연고 무덤이 하나 있는데, 도굴된 것 같아요. 어느 분 묘인지 한번 확인하고 싶어요.” 2002년 9월 6일 경기 파주시 교하리 야산(장명산)에서 파평 윤씨 문중 묘소의 이장작업이 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8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제주도 하면 무슨 생각이 드십니까. 뭍 사람들에게는 로망이지요. 뭔가 세파에 찌들어 살고 있는 육지 사람들은 한번쯤 평화롭고 아름다운 제주도에서의 삶을 상상해보곤 하지요. 최근에는..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2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

    아키히토(明仁) 일왕은 1990년 일본을 방문한 노태우 대통령에게 속삭였다. “내 모계에 한국계 인물이 있는 것 같아요.” “일본 왕실에 한국계의 피가 흐른다”고 인정한 폭탄발언이었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8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지난주엔 고려 조선의 빼어난 천문관측 사례를 더듬어보았습니다. 1572년의 ‘티코 초신성’과 1604년의 ‘케플러 초신성’ 등 밤하늘의 우주쇼를 조선의 천문학자들도 목격했으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0

    • "미라는 출산중…" 출산직전 사망한 산모 미라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팟캐스트 155회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제주도 하면 무슨 생각이 드십니까. 뭍 사람들에게는 로망이지요. 뭔가 세파에 찌들어 살고 있는 육지 사람들은 한번쯤 평화롭고 아름다운 제주도에서의 삶을 상상해보곤 하지요. 최근에는..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12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

    아키히토(明仁) 일왕은 1990년 일본을 방문한 노태우 대통령에게 속삭였다. “내 모계에 한국계 인물이 있는 것 같아요.” “일본 왕실에 한국계의 피가 흐른다”고 인정한 폭탄발언이었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8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지난주엔 고려 조선의 빼어난 천문관측 사례를 더듬어보았습니다. 1572년의 ‘티코 초신성’과 1604년의 ‘케플러 초신성’ 등 밤하늘의 우주쇼를 조선의 천문학자들도 목격했으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0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최근 국제학술지 에 흥미로운 천문학 논문이 실렸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의 치세에 관측한 신성폭발 기록을 제대로 규명한 것입니다. 미국·영국·폴란드 등 6개국 공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14

    • 1만년전 제주도에 정착한 경계인…그들은 누구인가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팟캐스트 154회

  • 한국의 그랜드캐니언…화산이 낳은 한탄강 주상절리

    한국의 그랜드캐니언…화산이 낳은 한탄강 주상절리

    천지가 탄생한 자리에 고·현생 인류가 탄생한 시기, 즉 200만 년~1만 년 전 사이를 뜻한다. 그래서 러시아에서는 ‘인류기’라고도 한단다. 바로 그 시기였다. 한반도 중부, 그러니까 평강..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10.05

    • 한국의 그랜드캐니언…화산이 낳은 한탄강 주상절리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

    아키히토(明仁) 일왕은 1990년 일본을 방문한 노태우 대통령에게 속삭였다. “내 모계에 한국계 인물이 있는 것 같아요.” “일본 왕실에 한국계의 피가 흐른다”고 인정한 폭탄발언이었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8

    • 한국의 그랜드캐니언…화산이 낳은 한탄강 주상절리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지난주엔 고려 조선의 빼어난 천문관측 사례를 더듬어보았습니다. 1572년의 ‘티코 초신성’과 1604년의 ‘케플러 초신성’ 등 밤하늘의 우주쇼를 조선의 천문학자들도 목격했으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0

    • 한국의 그랜드캐니언…화산이 낳은 한탄강 주상절리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최근 국제학술지 에 흥미로운 천문학 논문이 실렸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의 치세에 관측한 신성폭발 기록을 제대로 규명한 것입니다. 미국·영국·폴란드 등 6개국 공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14

    • 한국의 그랜드캐니언…화산이 낳은 한탄강 주상절리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팟캐스트 153회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아키히토(明仁) 일왕은 1990년 일본을 방문한 노태우 대통령에게 속삭였다. “내 모계에 한국계 인물이 있는 것 같아요.” “일본 왕실에 한국계의 피가 흐른다”고 인정한 폭탄발언이었지..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8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지난주엔 고려 조선의 빼어난 천문관측 사례를 더듬어보았습니다. 1572년의 ‘티코 초신성’과 1604년의 ‘케플러 초신성’ 등 밤하늘의 우주쇼를 조선의 천문학자들도 목격했으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0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최근 국제학술지 에 흥미로운 천문학 논문이 실렸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의 치세에 관측한 신성폭발 기록을 제대로 규명한 것입니다. 미국·영국·폴란드 등 6개국 공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14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성인 1인당 1년에 소주 85병을 마신다는 2016년 통계가 있다. 일주일로 따지면 1.26병이요, 하루에 0.23병이다. 소줏병을 늘어놓으면 서울~부산(428킬로미터)을 1708회 왔다갔다 할 거리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07

    • 아키히토 일왕이 찾은 고려신사에 담긴 '내선일체'의 흉계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팟캐스트 152회|조선의 천문관측 ②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지난주엔 고려 조선의 빼어난 천문관측 사례를 더듬어보았습니다. 1572년의 ‘티코 초신성’과 1604년의 ‘케플러 초신성’ 등 밤하늘의 우주쇼를 조선의 천문학자들도 목격했으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20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최근 국제학술지 에 흥미로운 천문학 논문이 실렸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의 치세에 관측한 신성폭발 기록을 제대로 규명한 것입니다. 미국·영국·폴란드 등 6개국 공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14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성인 1인당 1년에 소주 85병을 마신다는 2016년 통계가 있다. 일주일로 따지면 1.26병이요, 하루에 0.23병이다. 소줏병을 늘어놓으면 서울~부산(428킬로미터)을 1708회 왔다갔다 할 거리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07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17표, 고려공화국 7표, 조선공화국 2표, 한국 1표…. 1948년 6월 7일 제헌국회 헌법기초위원회 위원 30명은 무기명 투표 끝에 자못 압도적인 표차로 ‘대한민국’을 국호로 의결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31

    • 조선은 왜 천문관측에 목숨을 걸었을까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팟캐스트 151회|조선의 천문학①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최근 국제학술지 에 흥미로운 천문학 논문이 실렸습니다. 만고의 성군이라는 세종의 치세에 관측한 신성폭발 기록을 제대로 규명한 것입니다. 미국·영국·폴란드 등 6개국 공동..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14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성인 1인당 1년에 소주 85병을 마신다는 2016년 통계가 있다. 일주일로 따지면 1.26병이요, 하루에 0.23병이다. 소줏병을 늘어놓으면 서울~부산(428킬로미터)을 1708회 왔다갔다 할 거리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07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17표, 고려공화국 7표, 조선공화국 2표, 한국 1표…. 1948년 6월 7일 제헌국회 헌법기초위원회 위원 30명은 무기명 투표 끝에 자못 압도적인 표차로 ‘대한민국’을 국호로 의결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31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위로는 벼슬아치부터 아래로는 여염에 이르기까지 한번의 혼례에 들어가는 비용은 중인(中人) 열 집의 재산보다 많습니다. 한 차례의 잔치에 드는 비용도 가난한 백성의 1년치 양식거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24

    • 케플러보다 4일 빨랐던 조선의 초신성 관측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팟캐스트 150회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성인 1인당 1년에 소주 85병을 마신다는 2016년 통계가 있다. 일주일로 따지면 1.26병이요, 하루에 0.23병이다. 소줏병을 늘어놓으면 서울~부산(428킬로미터)을 1708회 왔다갔다 할 거리라..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9.07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17표, 고려공화국 7표, 조선공화국 2표, 한국 1표…. 1948년 6월 7일 제헌국회 헌법기초위원회 위원 30명은 무기명 투표 끝에 자못 압도적인 표차로 ‘대한민국’을 국호로 의결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31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위로는 벼슬아치부터 아래로는 여염에 이르기까지 한번의 혼례에 들어가는 비용은 중인(中人) 열 집의 재산보다 많습니다. 한 차례의 잔치에 드는 비용도 가난한 백성의 1년치 양식거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24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금의 길이 석자 여섯 치 여섯 푼은 366일을 상징하는 것이고, 너비 여섯 치는 천지와 사방을 뜻하며 위가 둥글고 아래가 네모난 것은 하늘과 땅을 본받은 것이다.” ‘잡지 악..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10

    • 세종대왕도 말릴 수 없던 '소주 한잔'의 유혹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팟캐스트 149회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대한민국 17표, 고려공화국 7표, 조선공화국 2표, 한국 1표…. 1948년 6월 7일 제헌국회 헌법기초위원회 위원 30명은 무기명 투표 끝에 자못 압도적인 표차로 ‘대한민국’을 국호로 의결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31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위로는 벼슬아치부터 아래로는 여염에 이르기까지 한번의 혼례에 들어가는 비용은 중인(中人) 열 집의 재산보다 많습니다. 한 차례의 잔치에 드는 비용도 가난한 백성의 1년치 양식거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24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금의 길이 석자 여섯 치 여섯 푼은 366일을 상징하는 것이고, 너비 여섯 치는 천지와 사방을 뜻하며 위가 둥글고 아래가 네모난 것은 하늘과 땅을 본받은 것이다.” ‘잡지 악..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10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는…조선중화사상이 팽배하던 시기에 태어나 조선성리학을 전공한 사대부로…조선고유색을 현양한 진경문화를 주도한…진경산수화법의 창시자요 대성자였다.” 겸재 정선(1676~1..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03

    • '대한민국' 국호엔 제국주의 냄새가 풍긴다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팟캐스트 148회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위로는 벼슬아치부터 아래로는 여염에 이르기까지 한번의 혼례에 들어가는 비용은 중인(中人) 열 집의 재산보다 많습니다. 한 차례의 잔치에 드는 비용도 가난한 백성의 1년치 양식거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24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금의 길이 석자 여섯 치 여섯 푼은 366일을 상징하는 것이고, 너비 여섯 치는 천지와 사방을 뜻하며 위가 둥글고 아래가 네모난 것은 하늘과 땅을 본받은 것이다.” ‘잡지 악..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10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는…조선중화사상이 팽배하던 시기에 태어나 조선성리학을 전공한 사대부로…조선고유색을 현양한 진경문화를 주도한…진경산수화법의 창시자요 대성자였다.” 겸재 정선(1676~1..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03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

    “일본의 특사 다나카 자작(궁내대신)의 흉계로…무기를 가진 일본인들이 경천사탑을 급습해서 탑을 해체하여 실어갔다고 한다.…” 1907년 3월7일 가 해괴망측한 단독보..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20

    • 허황옥, 평강공주…호화혼수의 원조들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경향의 눈

  • 실미도 부대원의 절규…"높은 사람 만나고 싶다"

    실미도 부대원의 절규…"높은 사람 만나고 싶다"

    한국전쟁 이후 가장 살벌했던 해가 바로 1968년일 것이다. 1월21일 북한 124군 소속 특수부대가 청와대를 습격했고, 이틀 뒤인 23일엔 원산항 앞 공해상에서 미 해군 정보수집함 푸에블로..

    경향의 눈 2017.08.25

    • 실미도 부대원의 절규…"높은 사람 만나고 싶다"
    • 몰락한 '우생순 신화'...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 4등은 없다. 그대는 세계 4강이다.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 몰락한 '우생순 신화'...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몰락한 '우생순 신화'...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2008년 8월 어느 날이었다. 헝가리와 치른 베이징 올림픽 여자핸드볼 3~4위 결정전을, 그것도 녹화중계로 보던 필자는 그만 울컥하고 말았다. 마침 곁에 아무도 없었으니까 망정이지 남우..

    경향의 눈 2016.09.07

    • 실미도 부대원의 절규…"높은 사람 만나고 싶다"
    • 몰락한 '우생순 신화'...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 4등은 없다. 그대는 세계 4강이다.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 4등은 없다. 그대는 세계 4강이다.

    4등은 없다. 그대는 세계 4강이다.

    이규혁·남수일·김해남·유인호·이종섭(이상 역도), 최윤칠·이창훈(이상 마라톤), 이상균·원봉욱(이상 레슬링)…. 1948년 런던 올림픽부터 64년 도쿄 올림픽까지 뛰었던 선수들이다...

    경향의 눈 2016.08.10

    • 실미도 부대원의 절규…"높은 사람 만나고 싶다"
    • 몰락한 '우생순 신화'...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 4등은 없다. 그대는 세계 4강이다.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하늘에 더 있는 해와 달을 보면 크기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해보인다. 간단하지만 오묘한 우주의 조화가 숨어있다. 즉 해의 지름이 달의 지름보다 400배나 크지만 거리는 달보다 약 400배 떨..

    여적 2017.08.22

    • 실미도 부대원의 절규…"높은 사람 만나고 싶다"
    • 몰락한 '우생순 신화'...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 4등은 없다. 그대는 세계 4강이다.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여적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하늘에 더 있는 해와 달을 보면 크기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해보인다. 간단하지만 오묘한 우주의 조화가 숨어있다. 즉 해의 지름이 달의 지름보다 400배나 크지만 거리는 달보다 약 400배 떨..

    여적 2017.08.22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경북 안동 낙동강 상류에 자리잡고 있는 임청각은 1515년(중종 10년) 지어진 가장 오래된 민가이다. 어느 방에서나 아침 저녁으로 햇빛이 들도록 채광효과를 높인 배산임수의 99칸 저택이..

    여적 2017.08.20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우리는 즐거운 야동 어린이…어디서나 떳떳한 야동 어린이…” 충북 충주에 있는 야동 초등학교의 교가이다. 아동문학가 윤석중의 작사곡이니 남부러울게 없는 교가다. 이 지역에 솥을..

    여적 2017.08.20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이탈리아 피렌체 브랑카치 예배당에 마사치오(1401~1428)의 ‘성전세(聖殿稅)’ 벽화가 있다. ‘세금내는 예수’(마태복음 17장)를 그린 작품이다. 성전세는 성전을 관리하는 자들이 받..

    여적 2017.08.14

    • '트럼프에 대한 하늘의 견책?' 99년만의 개기일식
    •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흔적의 역사

  •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임청각, 이상룡, 그리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경북 안동 낙동강 상류에 자리잡고 있는 임청각은 1515년(중종 10년) 지어진 가장 오래된 민가이다. 어느 방에서나 아침 저녁으로 햇빛이 들도록 채광효과를 높인 배산임수의 99칸 저택이..

    여적 이기환기자 2017.08.20 6 comment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대변초, 야동초, 물건중… 학교이름 어떠십니까

    “우리는 즐거운 야동 어린이…어디서나 떳떳한 야동 어린이…” 충북 충주에 있는 야동 초등학교의 교가이다. 아동문학가 윤석중의 작사곡이니 남부러울게 없는 교가다. 이 지역에 솥을..

    여적 이기환기자 2017.08.20 1 comment



팟캐스트 147회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사내초(寺內草), 화방초(花房草), 금강국수나무, 미선나무, 새양버들…. 1922년 식민지 조선에서 자라는 식물을 샅샅이 조사해서 펴낸 일본어 식물서적 부록에 등장하는..

    흔적의 역사 2017.08.16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 한반도 최대의 국제전쟁터는 어디?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개 혀?” 충청도 사투리가 웃음을 자아낸다. “보신탕(개고기) 먹을 줄 아느냐”는 질문이다. ‘개 혀?’의 복수형도 있단다. ‘개들 혀?’란다. 충북 사람들이 딴죽을 건다. ‘개 혀?’..

    흔적의 역사 2017.07.27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 한반도 최대의 국제전쟁터는 어디?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진흥왕순수비. 한국사를 배울 때 놓칠 수 없는 역사적인 사실입니다. 삼국 가운데 약소국이던 신라가 진흥왕 때 낙동강 서쪽의 가야세력을 정복하고 북쪽으로는 나제동맹을 깨고 한강유역..

    흔적의 역사 2017.05.05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 한반도 최대의 국제전쟁터는 어디?
  • 한반도 최대의 국제전쟁터는 어디?

    한반도 최대의 국제전쟁터는 어디?

    삼국시대 사람들은 이 중성산을 칠중성(七重城)이라 했다. 그 후 1300년 가까이 흐른 1951년 4월, 한국전에 참전한 영국군은 캐슬고지(일명 148고지)라 했다. 경기 파주 적성 구읍리에 자리..

    흔적의 역사 2017.04.25

    • 데라우치꽃과 청와대 미남석불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감악산비'는 제5의 진흥왕순수비다?
    • 한반도 최대의 국제전쟁터는 어디?


여적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이탈리아 피렌체 브랑카치 예배당에 마사치오(1401~1428)의 ‘성전세(聖殿稅)’ 벽화가 있다. ‘세금내는 예수’(마태복음 17장)를 그린 작품이다. 성전세는 성전을 관리하는 자들이 받..

    여적 2017.08.14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여적] ‘검은개 증후군’ 영국의 정치가 윈스턴 처칠(1874~1965)은 평생 우울증과 싸웠다. 1965년 91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도 “정말 지루했다”는 말을 남겼다. 그런 처칠이 자신..

    여적 2017.08.07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2004년 10월 30살에 불과한 브라질 축구선수 세르지뉴가 경기 중 갑자기 쓰러져 사망했다. 부검 결과 심장이 정상인의 2배 이상 컸고, 심장벽도 매우 두꺼웠다. 시쳇말로 ‘강심장’이란 얘..

    여적 2017.08.06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일본 나가사키에서 남서로 20여㎞ 떨어진 곳에 섬이라고도 할 수 없는 무인도가 있었다. 하시마(端島)였다. 1810년 무렵 부근의 어민이 이 섬의 표면에 노출된 석탄층을 발견했다. 이후 어..

    여적 2017.07.30

    • '모범납세자' 예수와 로마 교황 가이사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팟캐스트 146회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금의 길이 석자 여섯 치 여섯 푼은 366일을 상징하는 것이고, 너비 여섯 치는 천지와 사방을 뜻하며 위가 둥글고 아래가 네모난 것은 하늘과 땅을 본받은 것이다.” ‘잡지 악..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10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는…조선중화사상이 팽배하던 시기에 태어나 조선성리학을 전공한 사대부로…조선고유색을 현양한 진경문화를 주도한…진경산수화법의 창시자요 대성자였다.” 겸재 정선(1676~1..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03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

    “일본의 특사 다나카 자작(궁내대신)의 흉계로…무기를 가진 일본인들이 경천사탑을 급습해서 탑을 해체하여 실어갔다고 한다.…” 1907년 3월7일 가 해괴망측한 단독보..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20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반정 세력이 광해군을 쫓아낸 명분은 크게 3가지였습니다. 하나는 폐모살제였습니다.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하고 10년간이나 유폐시킨 죄와 8살짜리 이복동생(영창대군)을 죽인 죄 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13

    • 신라 연습생 키운 연예기획자 '우륵'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여적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여적] ‘검은개 증후군’ 영국의 정치가 윈스턴 처칠(1874~1965)은 평생 우울증과 싸웠다. 1965년 91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도 “정말 지루했다”는 말을 남겼다. 그런 처칠이 자신..

    여적 2017.08.07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 '주개총' 고고학, '쓰레기' 특별전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2004년 10월 30살에 불과한 브라질 축구선수 세르지뉴가 경기 중 갑자기 쓰러져 사망했다. 부검 결과 심장이 정상인의 2배 이상 컸고, 심장벽도 매우 두꺼웠다. 시쳇말로 ‘강심장’이란 얘..

    여적 2017.08.06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 '주개총' 고고학, '쓰레기' 특별전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일본 나가사키에서 남서로 20여㎞ 떨어진 곳에 섬이라고도 할 수 없는 무인도가 있었다. 하시마(端島)였다. 1810년 무렵 부근의 어민이 이 섬의 표면에 노출된 석탄층을 발견했다. 이후 어..

    여적 2017.07.30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 '주개총' 고고학, '쓰레기' 특별전
  • '주개총' 고고학, '쓰레기' 특별전

    '주개총' 고고학, '쓰레기' 특별전

    1971년 미국의 고고학자 윌리엄 랏제가 애리조나주 투손의 쓰레기 매립지를 발굴했다. 랏제는 출토된 기저귀·신문·플라스틱 등을 분석해서 이 지역의 생활상을 복원했다. ‘쓰레기 고고..

    여적 2017.07.24

    • '검은개 증후군'과 청와대 퍼스트도그
    • 유전자 가위, 선한 가위일까 악한 가위일끼
    • '군함도', 영화가 실화를 능가할 수 없는 이유
    • '주개총' 고고학, '쓰레기' 특별전


팟캐스트 145회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겸재는…조선중화사상이 팽배하던 시기에 태어나 조선성리학을 전공한 사대부로…조선고유색을 현양한 진경문화를 주도한…진경산수화법의 창시자요 대성자였다.” 겸재 정선(1676~1..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8.03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

    “일본의 특사 다나카 자작(궁내대신)의 흉계로…무기를 가진 일본인들이 경천사탑을 급습해서 탑을 해체하여 실어갔다고 한다.…” 1907년 3월7일 가 해괴망측한 단독보..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20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반정 세력이 광해군을 쫓아낸 명분은 크게 3가지였습니다. 하나는 폐모살제였습니다.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하고 10년간이나 유폐시킨 죄와 8살짜리 이복동생(영창대군)을 죽인 죄 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13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폐위된 광해군이 이틀 동안이나 대궐안에 있다는 게 말이 되는가. 속히 대궐 밖으로 끌어내 안치하라.” 인조반정이 일어난지 이틀 뒤인 1623년 3월 14일 인목대비가 앙앙불락했다. 철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05

    • 겸재 정선 답지 않은 졸작, 왜 그렸을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팟캐스트 144회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개 혀?” 충청도 사투리가 웃음을 자아낸다. “보신탕(개고기) 먹을 줄 아느냐”는 질문이다. ‘개 혀?’의 복수형도 있단다. ‘개들 혀?’란다. 충북 사람들이 딴죽을 건다. ‘개 혀?’..

    흔적의 역사 2017.07.27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

    “일본의 특사 다나카 자작(궁내대신)의 흉계로…무기를 가진 일본인들이 경천사탑을 급습해서 탑을 해체하여 실어갔다고 한다.…” 1907년 3월7일 가 해괴망측한 단독보..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20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반정 세력이 광해군을 쫓아낸 명분은 크게 3가지였습니다. 하나는 폐모살제였습니다.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하고 10년간이나 유폐시킨 죄와 8살짜리 이복동생(영창대군)을 죽인 죄 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13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폐위된 광해군이 이틀 동안이나 대궐안에 있다는 게 말이 되는가. 속히 대궐 밖으로 끌어내 안치하라.” 인조반정이 일어난지 이틀 뒤인 1623년 3월 14일 인목대비가 앙앙불락했다. 철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05

    • "개 혀?" 다산 정약용의 개고기 사랑법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팟캐스트 143회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일본의 특사 다나카 자작(궁내대신)의 흉계로…무기를 가진 일본인들이 경천사탑을 급습해서 탑을 해체하여 실어갔다고 한다.…” 1907년 3월7일 가 해괴망측한 단독보..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20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반정 세력이 광해군을 쫓아낸 명분은 크게 3가지였습니다. 하나는 폐모살제였습니다.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하고 10년간이나 유폐시킨 죄와 8살짜리 이복동생(영창대군)을 죽인 죄 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13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폐위된 광해군이 이틀 동안이나 대궐안에 있다는 게 말이 되는가. 속히 대궐 밖으로 끌어내 안치하라.” 인조반정이 일어난지 이틀 뒤인 1623년 3월 14일 인목대비가 앙앙불락했다. 철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05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지난 주에 1577년 8~11월 사이 발행된 선조시대 민간인쇄신문인 조보에 대해 알아봤다. 이 당시의 조보는 딱 100여일간 민간업자가 인쇄·발행·유료배포했다고 해서 유독 관심을 끌만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9

    • 파문 일으킨 일본장관 다나카의 경천사탑 약탈사건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여적

  • 노벨의 질투심과 '수학상'

    노벨의 질투심과 '수학상'

    다이나마이트를 발명한 알프레드 노벨의 기부로 1901년 시작된 노벨상을 둘러싼 해묵은 논쟁이 하나 있다. 물리학과 화학, 생물학 같은 기초 분야에 상을 주면서 왜 수학상은 없을까. ‘노..

    여적 이기환기자 2017.07.17 0 comment

    트럼프의 골프와 카터의 집짓기

    트럼프의 골프와 카터의 집짓기

    [여적] 트럼프의 골프와 카터의 집 짓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골프 대회를 즐기는 동안 92살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가난한 이들을 위해 집을 짓고 있다.’ 영국의 인디펜던트는 지..

    여적 이기환기자 2017.07.16 0 comment



팟캐스트 142회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인조반정 세력이 광해군을 쫓아낸 명분은 크게 3가지였습니다. 하나는 폐모살제였습니다.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하고 10년간이나 유폐시킨 죄와 8살짜리 이복동생(영창대군)을 죽인 죄 등..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13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폐위된 광해군이 이틀 동안이나 대궐안에 있다는 게 말이 되는가. 속히 대궐 밖으로 끌어내 안치하라.” 인조반정이 일어난지 이틀 뒤인 1623년 3월 14일 인목대비가 앙앙불락했다. 철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05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지난 주에 1577년 8~11월 사이 발행된 선조시대 민간인쇄신문인 조보에 대해 알아봤다. 이 당시의 조보는 딱 100여일간 민간업자가 인쇄·발행·유료배포했다고 해서 유독 관심을 끌만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9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11월28일 선조가 분기탱천합니다. “어떤 자가 내 허락 없이 조보(조선시대 관보)를 발행했는가. 인쇄·배포한 자와 그것을 허가해준 자 모두를 색출하라”는 명이었습니다. 서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2

    • 인조, 죄가 없다면 광해군에게 돌을 던져라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팟캐스트 141회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폐위된 광해군이 이틀 동안이나 대궐안에 있다는 게 말이 되는가. 속히 대궐 밖으로 끌어내 안치하라.” 인조반정이 일어난지 이틀 뒤인 1623년 3월 14일 인목대비가 앙앙불락했다. 철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7.05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지난 주에 1577년 8~11월 사이 발행된 선조시대 민간인쇄신문인 조보에 대해 알아봤다. 이 당시의 조보는 딱 100여일간 민간업자가 인쇄·발행·유료배포했다고 해서 유독 관심을 끌만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9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11월28일 선조가 분기탱천합니다. “어떤 자가 내 허락 없이 조보(조선시대 관보)를 발행했는가. 인쇄·배포한 자와 그것을 허가해준 자 모두를 색출하라”는 명이었습니다. 서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2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중구삭금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 사람의 말은 쇠(金)를 녹인다는 사자성어입니다. 유언비어의 무서움을 알려주는 말이고, 여론의 무서움을 시사하는 성어입니다. 어쨌든 말(言)의 위력..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15

    • 조선판 쇼생크탈출…광해군 일가의 비극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팟캐스트 140회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지난 주에 1577년 8~11월 사이 발행된 선조시대 민간인쇄신문인 조보에 대해 알아봤다. 이 당시의 조보는 딱 100여일간 민간업자가 인쇄·발행·유료배포했다고 해서 유독 관심을 끌만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9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11월28일 선조가 분기탱천합니다. “어떤 자가 내 허락 없이 조보(조선시대 관보)를 발행했는가. 인쇄·배포한 자와 그것을 허가해준 자 모두를 색출하라”는 명이었습니다. 서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2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중구삭금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 사람의 말은 쇠(金)를 녹인다는 사자성어입니다. 유언비어의 무서움을 알려주는 말이고, 여론의 무서움을 시사하는 성어입니다. 어쨌든 말(言)의 위력..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15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197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아주 싼값에 구입한 청동유물의 녹을 닦았더니 흥미로운 문양이 나타났습니다. 한면에는 나뭇가지에 새가 앉아있었고, 다른 면에는 사람 3명이 각기 다른 일을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07

    • '오프더레코드'까지 보도한 조선의 신문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여적

  • 흥부는 연흥부도 박흥부도 아닌 장흥부였다?

    흥부는 연흥부도 박흥부도 아닌 장흥부였다?

    은 판소리 ‘흥부가’에서 비롯된 판소리계 고전소설이다. 정·순조 시대의 명창인 권삼득(1771~1841)이 이 판소리 ‘흥부가’를 장기로 삼았다는 것으로 볼 때 18세기 이전부..

    여적 이기환기자 2017.06.27 0 comment

    청와대 앞길, 육영수, 김신조…

    청와대 앞길, 육영수, 김신조…

    1967년 어느 날, 코흘리개 어린이가 청와대 앞길을 지나가고 있었다. 저편에서 다가오는 까만색 승용차를 보고 손을 흔들었더니 창문이 열렸다. 어떤 아주머니가 고개를 쑥 빼더니 인자한..

    분류없음 이기환기자 2017.06.26 1 comment



팟캐스트 139회 흔적의 역사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1577년 11월28일 선조가 분기탱천합니다. “어떤 자가 내 허락 없이 조보(조선시대 관보)를 발행했는가. 인쇄·배포한 자와 그것을 허가해준 자 모두를 색출하라”는 명이었습니다. 서슬..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22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중구삭금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 사람의 말은 쇠(金)를 녹인다는 사자성어입니다. 유언비어의 무서움을 알려주는 말이고, 여론의 무서움을 시사하는 성어입니다. 어쨌든 말(言)의 위력..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15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197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아주 싼값에 구입한 청동유물의 녹을 닦았더니 흥미로운 문양이 나타났습니다. 한면에는 나뭇가지에 새가 앉아있었고, 다른 면에는 사람 3명이 각기 다른 일을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07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얼마전 경주 월성의 성벽 기단부에서 인골 2기가 발견됐습니다. 그저 휩쓸려 들어가 묻힌 것일까요.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은 사람제사의 희생물로 그곳에 묻힌 것입니다. 성벽을 튼튼하게..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5

    • 1577년 선조는 왜 신문폐간을 명했을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팟캐스트 138회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중구삭금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 사람의 말은 쇠(金)를 녹인다는 사자성어입니다. 유언비어의 무서움을 알려주는 말이고, 여론의 무서움을 시사하는 성어입니다. 어쨌든 말(言)의 위력..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15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197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아주 싼값에 구입한 청동유물의 녹을 닦았더니 흥미로운 문양이 나타났습니다. 한면에는 나뭇가지에 새가 앉아있었고, 다른 면에는 사람 3명이 각기 다른 일을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07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얼마전 경주 월성의 성벽 기단부에서 인골 2기가 발견됐습니다. 그저 휩쓸려 들어가 묻힌 것일까요.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은 사람제사의 희생물로 그곳에 묻힌 것입니다. 성벽을 튼튼하게..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5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승률이요? 0%에 가깝죠.” 23~27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우전(烏鎭)에서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 ‘알파고’와 중국의 커제(柯潔·20) 9단이 3차례 대결을 펼친다. 그러나 커제가 이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2

    • 한마디 농담으로 세워진 나라가 있다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팟캐스트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1970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아주 싼값에 구입한 청동유물의 녹을 닦았더니 흥미로운 문양이 나타났습니다. 한면에는 나뭇가지에 새가 앉아있었고, 다른 면에는 사람 3명이 각기 다른 일을 하..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07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얼마전 경주 월성의 성벽 기단부에서 인골 2기가 발견됐습니다. 그저 휩쓸려 들어가 묻힌 것일까요.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은 사람제사의 희생물로 그곳에 묻힌 것입니다. 성벽을 튼튼하게..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5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승률이요? 0%에 가깝죠.” 23~27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우전(烏鎭)에서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 ‘알파고’와 중국의 커제(柯潔·20) 9단이 3차례 대결을 펼친다. 그러나 커제가 이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2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물 박물관이 있습니다. 기원전 6000~기원전 2000년 사이 무려 4000년간 신석기인들의 삶을 복원해볼 수 있는 부산 동삼동 패총유적입니다. 패총이란 조개무지, 즉..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18

    • 청동기 '노출남', 왜 알몸으로 밭을 갈고 있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팟캐스트 136회

  • 지긋지긋한 학교, 그리고 체벌… 언제 생겼을까

    지긋지긋한 학교, 그리고 체벌… 언제 생겼을까

    '아! 지겨운 학교, 언제나 쉬려나.' 기원전 2000년 무렵 어느 수메르 학생이 설형문자로 점토판에 새긴 넉두리입니다. 학교생활, 얼마나 지긋지긋했으면 그랬을까요. 수메르인이 새겨둔 점..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6.01

    • 지긋지긋한 학교, 그리고 체벌… 언제 생겼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얼마전 경주 월성의 성벽 기단부에서 인골 2기가 발견됐습니다. 그저 휩쓸려 들어가 묻힌 것일까요.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은 사람제사의 희생물로 그곳에 묻힌 것입니다. 성벽을 튼튼하게..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5

    • 지긋지긋한 학교, 그리고 체벌… 언제 생겼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물 박물관이 있습니다. 기원전 6000~기원전 2000년 사이 무려 4000년간 신석기인들의 삶을 복원해볼 수 있는 부산 동삼동 패총유적입니다. 패총이란 조개무지, 즉..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18

    • 지긋지긋한 학교, 그리고 체벌… 언제 생겼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승률이요? 0%에 가깝죠.” 23~27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우전(烏鎭)에서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 ‘알파고’와 중국의 커제(柯潔·20) 9단이 3차례 대결을 펼친다. 그러나 커제가 이길..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2

    • 지긋지긋한 학교, 그리고 체벌… 언제 생겼을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커제를 응원하는 이유


팟캐스트 135회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얼마전 경주 월성의 성벽 기단부에서 인골 2기가 발견됐습니다. 그저 휩쓸려 들어가 묻힌 것일까요.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은 사람제사의 희생물로 그곳에 묻힌 것입니다. 성벽을 튼튼하게..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25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물 박물관이 있습니다. 기원전 6000~기원전 2000년 사이 무려 4000년간 신석기인들의 삶을 복원해볼 수 있는 부산 동삼동 패총유적입니다. 패총이란 조개무지, 즉..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18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김천택의 가곡집 하면 어떤 노래가 생각나십니까. 태종 이방원의 '하여가'와 고려 충신 정몽주의 '단심가' 같은 고고한 노래가 떠올리겠지요. 뭐 국어책에서 배웠으니 당연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11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최근 일제강점기 고미술 무역상인 '야마나카 상회'를 다룬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이 야마나카 상회를 거쳐 판매된 석조 및 도자 문화재의 도록 사진과 관련 기록을 정리한 논문입니다. 야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4.28

    • 사람제사와 성종의 '흑역사', 그리고 태종우(雨)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흔적의 역사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물 박물관이 있습니다. 기원전 6000~기원전 2000년 사이 무려 4000년간 신석기인들의 삶을 복원해볼 수 있는 부산 동삼동 패총유적입니다. 패총이란 조개무지, 즉..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18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김천택의 가곡집 하면 어떤 노래가 생각나십니까. 태종 이방원의 '하여가'와 고려 충신 정몽주의 '단심가' 같은 고고한 노래가 떠올리겠지요. 뭐 국어책에서 배웠으니 당연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11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최근 일제강점기 고미술 무역상인 '야마나카 상회'를 다룬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이 야마나카 상회를 거쳐 판매된 석조 및 도자 문화재의 도록 사진과 관련 기록을 정리한 논문입니다. 야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4.28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이야기를 아십니까. 1979년 충북의 어느 향토연구회 답사모임 사람들이 발견한 고구려비입니다. 이름하여 중원 고구려비입니다. 처음에는 신라 진흥왕이 영토를 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4.21

    •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명품팔찌공장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팟캐스트 133회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김천택의 가곡집 하면 어떤 노래가 생각나십니까. 태종 이방원의 '하여가'와 고려 충신 정몽주의 '단심가' 같은 고고한 노래가 떠올리겠지요. 뭐 국어책에서 배웠으니 당연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5.11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 뒤바뀐 보물의 원통한 사연…노서리 215번지의 수수께끼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최근 일제강점기 고미술 무역상인 '야마나카 상회'를 다룬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이 야마나카 상회를 거쳐 판매된 석조 및 도자 문화재의 도록 사진과 관련 기록을 정리한 논문입니다. 야마..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4.28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 뒤바뀐 보물의 원통한 사연…노서리 215번지의 수수께끼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이야기를 아십니까. 1979년 충북의 어느 향토연구회 답사모임 사람들이 발견한 고구려비입니다. 이름하여 중원 고구려비입니다. 처음에는 신라 진흥왕이 영토를 개..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2017.04.21

    • 김천택의 19금 노래, '들입다 바드득 안으니…'
    • 간송 전형필과 야마나카의 문화재 전쟁
    • 향토 모임이 찾아낸 '충청판 광개토대왕비'
    • 뒤바뀐 보물의 원통한 사연…노서리 215번지의 수수께끼
  • 뒤바뀐 보물의 원통한 사연…노서리 215번지의 수수께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