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통선 문화유산 기행

(14) 임진진(上)

-임진왜란… 임금은 백성버리고, 신하는 임금 버리고-
 

임진진 군부대에 바라본 임진강과 그 북안. 임진왜란때 선조 일행이 억수같은 빗속에 칠흑의 어둠을 뚫고 건넜던 곳이다. 지금은 어로허가를 받은 어부들의 배가 떠있다. 파주 임진진/이상훈기자

 

민간인 통제선을 지나 포장 및 비포장도로를 거치자 확 트인 임진강 북안에 닿았다.

꽤나 고운 드넓은 모래사장이다. 때마침 썰물때다 보니 강폭이 제법 넓어보였다.

“저 맞은 편이 임진진(파주시 문산읍 운천리)입니다.”

# 비는 내리고…

다시 민통선 이남으로 건너가 맞은 편 임진진으로 달려갔더니 군 부대다. 민통선 이남이지만 군 시설이니 역시 민간인은 들어갈 수 없다. 헌헌장부(軒軒丈夫) 군 장교의 안내로 임진진, 즉 임진 나루터에 닿았다. 고깃배 몇 척이 동양화폭처럼 고즈넉이 떠있다.

고기잡이가 허락된 몇 몇 어부의 것이라고 한다. 홍수에다 만조가 겹치는 날이면 이곳 임진강 나루는 완전히 물에 잠긴다.

지금은 건널 수 없는 곳이 되었지만 임진나루는 파주~개성~평양~의주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1번 국도의 효시인 셈.

그런데 이 임진진은 200년 태평성대, 전쟁을 모르고 살았던 조선의 수치스러운 패배 사연을 담고 있는 곳이다. 그리고 누란의 위기에 빠진 상황을 접한 온갖 군상(群像)들의 행태를 낱낱이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바야흐로 1592년 4월30일 새벽. 선조가 피란길에 오른다. 왜군이 파죽지세로 한양 근처까지 밀고 올라오자 조정은 패닉 상태에 빠진다. 조정은 피란을 결정한다. 조선왕조실록(수정)과 유성룡의 징비록 등 사료를 보면 그야말로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한 편의 드라마다.

“나랏님이 백성을 버리시면 누굴 믿고 살란 말입니까?”

비는 억수같이 내리고…. 밭을 매던 백성들이 통곡했으나 소나기에 파묻혀버릴 뿐이었다. 임진나루를 건널 때는 이미 밤이 되었다. 날은 어두운 데다 비까지 내리자 앞길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였다. 왕 일행은 임진강 남쪽 언덕에 있는 승정(丞亭·화석정) 건물을 헐어 불을 피웠다. 동파역(파주 진동면 동파리)에 닿은 것은 밤 8시였다.

파주 목사 허진과 장단 부사 구효연이 왕을 위해 음식 준비에 여념이 없었다. 하지만 위기가 닥치자 왕이고 뭐고 없었다.

하루종일 굶었던 호위병들이 주방에 들어가 음식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운 것이다. 급기야 임금이 먹을 음식마저 없어지자 문책이 두려워진 허진과 구효연의 선택은? 삼십육계 줄행랑이었다.

# 꼬리 무는 도주 행렬

하기야 임금이 백성을 버리고 도망가는데 무슨 할 말이 있겠는가. 선조수정실록의 피눈물 나는 후회.

“태평을 누린 이래로 내병(內兵) 없애기에 힘썼다. 때문에 위태로운 시기에 임하여 흩어지는 것이 적을 본 군사들보다 심했다.”

목에 칼이 들어와도 이 눈물 나는 치욕사의 역사를 서술해야 할 사관(史官)들도 도망쳤다.

“사관 조존세, 김선여, 임취정, 박정현 등은… 상(임금)이 자식처럼 대우했다. 그런데 왕이 요동으로 건너갈 것을 결정하자 도망칠 것을 몰래 도모했다. 먼저 사초책(史草冊)을 불구덩이에 넣고 불을 지른 뒤….”

명망 대신들은 또 어떻고.

“임금이 경성을 떠날 때 국가가 틀림없이 망할 것이라는 요사스러운 말이 퍼져~명망 진신(縉臣)들이 보신책을 품었다. 경성~의주에 이르기까지 문·무관은 겨우 17인이었으며….”

시골 백성들은 도리어 백성을 버리고 도망가는 임금이 때때로 굶는 상황이 연출되자 ‘껍질만 벗긴 현미로 밥을 지어 바치기도’ 했다. 언제 봐도 착하디 착한 우리 백성들이다. 이제 ‘한심사건 Ⅱ’편을 보자. 무주공산인 한양을 점령한 왜군의 가토 기요마사가 5월10일 파주~임진진에 도달한다.

하지만 배는 이미 임진강 북쪽으로 모두 끌어다 놓은 상태였다. 왜군은 물살이 세서 쉽게 건널 수 없었다. 선조도 경기도와 황해도 군사들을 모아 임진강 사수에 전력을 기울이라고 명령해놓은 상태였다. 10일이 넘도록 임진진을 두고 대치하는 상황에 이르자 적이 꾀를 낸다. 우선 강화를 권하는 사신을 우리 측에 보낸다.

“우리가 물러나게(退) 하게 된 것은 강화를 위한 것이다. …전하(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귀국에 길을 빌려(假道), 명나라에 원한을 갚은 의향뿐이온데….”

# 두 명의 지휘관

그러면서 왜군은 임진진 남쪽 강가에 세운 막사를 불태운다. 소수의 척후부대만을 남긴 채 나머지 병력을 파주까지 후퇴시키는 등 술수를 부린다. 하지만 평양의 임시조정은 엄청난 오판을 내린다.

가뜩이나 적이 임진강을 쉽게 건너오지 못하자 낙관론에 젖어있던 터였다. 그런 상황에서 왜군이 강화를 요청하고, 군대를 임진강에서 철수하자 잔뜩 고무된 것이다. 13일 경기감사 권징이 장계를 올린다.

“적군의 세가 고립무원입니다. …기운이 피로하여 급격히 꺾여 막사를 불태우고 도망치려는 징조가 있으니 추격하게 해주십시오.”

그런데 임진강 전투의 책임자는 도원수 김명원이었다. 조정은 “왜 빨리 진격하지 않느냐”고 교지를 내렸지만 김명원은 우물쭈물했다. 그러자 평양의 조정은 ‘전세가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는 데도 반격하지 않는다’고 의심한다. 그러면서 문신인 한응인(도순찰사)을 불러 이해 못할 지시를 내린다.

“경은 이명원의 절제(지시)를 받지 말고 기회를 놓치지 마라.”

세상에! 전투 현장에 가서 야전사령관의 지휘를 받지 말라는 명령을 내리다니….

# 애꿎은 죽음

선조는 한응인에게 정예병 3000명을 준다. 이들은 모두 강변 출신 사병들로 오랑캐와의 싸움에서 잔뼈가 굵은 최정예병이었다.

한응인은 쏜살같이 임진진으로 달려간다. 그런데…. 제 아무리 정예병인들 얼마간의 짬이 필요했다. 하지만 한응인의 마음은 급했다.

“빨리 강을 건너 진격하라!”

전쟁터에서 잔뼈가 굵은 병사들 가운데 반론의 목소리가 터졌다.

“멀리 오느라 피곤한데 내일 적정(敵情)을 제대로 살핀 뒤에 진격하는 게 옳을 줄 압니다.”

백번 옳은 말이었다. 하지만 문신인 한응인은 “빨리 진격하라”는 왕명을 받았던 터라 마음이 급했다. 불평 불만자 몇 명을 끌어내 목을 베어버린다. 하늘처럼 여기라는 백성들의 목숨을 개·돼지 취급한 것이다.

야전사령관 김명원은 그 모습을 보고는 눈과 귀를 닫을 수밖에 없었다. 한응인이 전략 전술을 모르는 문신이지만 임금이 친히 “김명원의 지시를 받지 말라”는 특명을 내렸으니 참견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서슬 퍼런 한응인의 명에 따라 임진강을 건너 적 몇 명을 죽이자 우리 측 진영에서는 이긴 줄 알고 환호성을 터뜨렸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후방의 적 7~8명이 윗옷을 벗은 채 대검을 휘두르면서 뛰쳐나오자 아군은 추풍낙엽처럼 무너졌다.

강안까지 밀린 군사들은 강물에 투신하지 않으면 적의 칼에 찔려죽었다. 단 한 명도 왜군에게 대항하지 못했다. 그야말로 눈 뜨고는 볼 수 없는 참상이었다.

〈이기환 선임기자|파주 임진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