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흔적의 역사

2000년 전 백제인의 발자국

 “응? 이거 뭐야?”
 1999년 8월 어느 날. 풍납토성 성벽을 잘라 조사하던 국립문화재연구소 발굴단은 뜻밖의 흔적을 발견했다.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누군가 뻘층에 남긴 발자국이었다. 
 “지금으로 치면 양생 중인 콘크리트에 실수로 발자국을 찍은 것이죠. 백제는 최소한 2차례 이상에 걸쳐 풍납토성을 완성했는데요. 발자국이 찍힌 곳의 연대측정 결과 늦어도 AD 200년 쯤으로 측정됩니다.”(당시 신종국 학예사)  
 그러니까 적어도 1800년 전 한성백제인의 발자국인 것이다. 발자국은 폭 12㎝, 길이 36㎝ 정도됐다. 뻘을 밟으면서 밀려 실제의 발 크기보다 크게 나온 것이리라. 그렇다면 이 발자국의 주인공은 대체 누구였을까.
 풍납토성은 한성백제(BC 18~AD 475년)의 왕성으로 지목된 곳이다. 백제 시조 온조왕은 BC 6년 이곳 풍납동에 도읍을 정했다. 그런 뒤 궁궐을 짓고 성을 쌓았다.
 최소한 2차례에 걸쳐 쌓은 성의 규모(길이 3.5㎞, 폭 43m, 높이 11m)는 엄청났다. 고고학자들은 흙을 운반하고 성을 쌓은 인원이 연 446만명이나 됐을 것이라고 추산한다.
 흙의 양(226만t), <통전(通典)>‘수거법(守拒法)’ 등에 나온 척(尺) 등을 종합해서 계산한 것이다. 흙으로 쌓았지만 송곳으로 찔러도 끄떡없는 판축토성이었다.
 하나하나 나무판을 세워 틀을 만든 뒤 그 안에 진흙과 모래를 다져 쌓았다. 기술자들은 목봉으로 일일이 흙을 다져댔다. 10겹 이상 나뭇잎과 나뭇껍질을 뻘흙과 함께 다진 곳도 보였다. 바로 이곳이 발자국이 확인된 뻘흙층이다. 이 부엽공법(敷葉工法)은 김제 벽골제와 부여 나성 축조에도 활용된 선진공법이었다. 이 공법은 또 400년 뒤 쌓은 일본 규수와 오사카의 제방에서도 확인됐다. 그렇다면 최신 기술을 가진 당대 최고의 토목기술자가 남긴 발자국이었을까.
 아니 이 분은 그저 나라의 명에 끌려온 힘없는 노역자일 수도 있다. 어줍잖은 지도자가 왕위에 오르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있다. ‘폼’ 잡는 것이다.
 진(秦)시황에 이어 황위에 오른 진2세는 70만명을 동원, 아방궁과 만리장성을 쌓았다.  신하들이 “제발 그만하라”고 상주하자 진2세는 이렇게 말한다.
 “내가 천하를 얻은 까닭은 내 맘대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 맘대로 하겠다는 데 무슨 헛소리냐.”(<사기> ‘진시황본기’)
 사마천(司馬遷)은 진2세를 두고 “사람의 머리를 하고 짐승의 소리를 내뱉는다”고 장탄식 한다. 결국 진나라는 천하를 통일한 지 불과 15년만에 몰락하고 만다.
 고구려 봉상왕(재위 )도 진2세를 쏙 빼닮았다. 국상 창조리가 “백성이 심한 노역에 시달린다”고 간언하자 임금은 이렇게 말한다.
 “임금은 백성이 우러러보는 존재다. 궁실이 화려하지 않으면 위엄을 보일 수 없다. 그렇게 백성을 위한다면 국상은 백성을 위해 죽어볼텐가.”(<삼국사기> ‘열전’ 창조리조)
 이렇듯 대형 토목공사는 백성들을 도탄에 빠뜨리기 일쑤다. 신라 문무왕도 도성을 새롭게 쌓으려는 유혹에 시달렸다. 하지만 의상대사의 한마디에 뜻을 접었다.
 “들판의 띠집에 살아도 바른 도를 행하면 복된 왕업이 영원히 계속됩
니다.”
 조선시대 때도 성의 축조를 두고 상소가 잇달았다. 
 “양계(兩界)에 성을 쌓으면~고아와 과부가 울면서 변방의 성을 바라볼 터이니 그 원통함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세종실록) “비록 성의 높이가 백척이나 되고 철벽 같다 한들 여러 사람의 마음으로 이룬 성보다 못할 것입니다.”(영조실록)
 숙종 때 북한산성의 축조를 반대한 이인엽의 상소를 보자.
 “비록 높은 성벽이 솟아있다 한들 백성이 진심으로 좇지 않으면 누가 지키겠습니까. 나라를 튼튼하게 하는 방법은 군주의 덕에 있지, 지세의 험준함에 있지 않습니다.”
 백제의 창업주 온조왕에게는 도성을 건설하는 단 하나의 원칙이 있었다. 즉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게(儉而不陋 華而不侈)”(<삼국사기>)였다.
 하지만 간단없는 노역에 시달려온 백성은 상관없다. 검소했든 화려했든 어떻든 간에 고단한 노역이었을테니까. 게다가 성을 쌓은 지 28년 만에(AD 23년) 15살 이상인 한강의 동북 쪽 백성들이 징발됐다. 농사철을 앞둔 2월(음력)에 성을 고쳐 쌓기 위해 나서야 했던 것이다. 이 분들 가운데 한 분이 풍납토성 성벽에서 발견된 발자국의 주인공일 지 모른다. 혹여 뻘흙을 다지다가 아차 실수로 발도장을 찍어놓고는 남이 볼세라 화들짝 덮어버린….
 
 

'흔적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군의 짬밥  (0) 2011.09.22
성애의 나라 신라?  (0) 2011.09.21
공자는 가수다  (0) 2011.09.08
군자불사의 나라  (0) 2011.08.31
못말리는 동이족의 술사랑  (0) 201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