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향의 눈

(12)
윤동주의 서시, 어디서 썼을까 필자가 태어난 곳은 서울 종로 청운동 산1번지 13통 7반이다. 어디냐 하면 지금 청운동~부암동 사이를 뚫은 청운터널 바로 위쪽이다. 1974년 산동네가 철거된 뒤 그 상태로 놔뒀으니 지금은 수풀만 무성하다. 지금도 발굴해보면 60년대 동네의 흔적이 남아있을 것이다. 회사가 가까운 필자는 틈나면 청운동~옥인동과 인왕 스카이웨이 등을 거닌다. 자연스레 발길이 그리 간다. 옛 추억에 대한 향수라 할까. 타마구(아스팔트 찌꺼기를 코팅한 종이)를 지붕에 올려 겨우 비만 피하고 살았던 청운동 산동네 하꼬방의 추억은 늘 가슴 속을 후벼 판다. 필자의 코흘리개 시절의 기억이 선명한 청운·옥인 아파트는 최근 10년 사이 철거됐다. 북아현동 산비탈에서 바라본 서울 하늘. 윤동주 시인은 1941년 11월 북아현동 하숙집에..
국보 1호 숭례문 과연 바꿔야 할까 10년마다 재연되는 논쟁이 있습니다. 국보 1호 논쟁입니다. 1995·2005년 광복 50·60주년을 맞아 10년 주기로 불거졌지요. 광복 70주년을 맞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도 해묵은 논쟁이 재현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인 문화재제자리찾기, 우리문화지킴이, 국어문화실천협의회가 5월31일 노회찬 정의당 의원과 함께 ‘훈민정음 해례본 국보 1호 지정에 관한 청원’을 국회에 제출했답니다. 문화재청은 이미 올 2월 문화재에 부여되는 관리번호지정제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했습니다. ‘국보 1호(숭례문)’의 지위를 둘러싼 가열찬 논쟁이 재연되고 있습니다. 1934년 조선총독부 관보에 고시된 보물지정목록. 남대문과 동대문이 1,2호로 등재돼있다. 사실 논쟁의 레퍼토리는 뻔합니다. 국보 1호 변경을 주장..
박태환은 약물파동의 피해자가 아니다 약물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있다. 1980년대 구 동독 여자투포환 선수인 하이디 크리거이다. 하이디는 소속클럽에서 지도자들이 주는 영양제를 정기적으로 복용했다. 그런데 하이디의 몸에서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근육이 늘어나고 온몸에 털이 나는 등 남자로 변해갔다. 1986년 유럽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땄지만 24살(1990년)에 은퇴했다. 결국 성전환 수술을 받고, 남자(안드레아스 크리거)가 됐다. 하이디가 먹은 영양제는 실은 스테로이드제 계통의 금지약물이었다. 구 동독은 정권 차원에서 하이디와 같은 1만 여 명의 선수들에게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스포츠강국이 됐다. 그러나 선수들의 몸은 만신창이가 되고 말았다. 여자 ‘하이디 크리거’와 남자 ‘안드레아스 크리거’의 일화는 약물복용이 전하는 서프라이즈 이야기다...
치명적인 설탕, 그 속엔 인간의 살이 들어있다 탄수화물 중독 하면 첫손가락으로 꼽히는 유명인이 바로 로큰롤의 제왕 엘비스 프레슬리일 것이다. 매일 땅콩버터와 바나나, 버터, 꿀, 베이컨을 얹은 샌드위치 4개를 한끼 식사로 먹었다. 이 땅콩크림버터바나나 샌드위치에 ‘엘비스 샌드위치’란 이름이 붙을 정도였다. 도넛에 꽂혀 한번에 10개 이상 먹어댔고, 마시멜로, 초콜릿, 문파이, 사탕, 아이스크림, 햄버거 등에 집착했다고 한다. 혹자는 정크푸드에 빠진 엘비스가 가난했던 청소년기를 떠올리며 먹었던 일종의 ‘솔푸드(soul food)’였을 것이라고 한수 접어주기도 한다. 하지만 애교로 봐주기에는 너무 치명적이었다. 당뇨와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에 약물 과다까지 겹쳐 42살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으니 말이다. 엘비스의 사례가 극단적이어서 그렇지 절대 남의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