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77)
뒤바뀐 보물의 원통한 사연…노서리 215번지의 수수께끼 우리나라 보물과 관련된 기막힌 이야기를 하려합니다. 1933년 마을주민이 밭을 갈다가 발견한 경주 노서리 215번지 유물입니다. 그러나 주민이 수습한 것은 반쪽이었습니다. 신고를 받고 현장을 찾은 일본인 학자 아리미쓰가 나머지 반쪽을 찾았습니다. 그러나 마을주민이 찾은 반쪽은 서울(조선총독부 박물관)에, 나머지 반쪽은 도쿄(국립제실박물관)으로 갔습니다. 졸지에 이산가족이 된거죠. 왜 그렇게 흩어진 것일까요. 1965년 한일협정이 체결되고 이듬해인 1966년 문제의 노서리 유물 반쪽이 반환됩니다. 두 유물이 합체됐겠죠. 이듬해인 1967년 문화재위원회는 그렇게 합쳐진 유물 중 팔찌(454호), 귀고리(455호), 목걸이(456호) 등을 보물로 지정합니다. 그렇다면 해피엔딩으로 끝났을까요. 아닙니다. 귀고리..
간송도 통곡할 '그을린 훈민정음' “세종이 화장실 창살을 보고 우연히 한글을 창제했대.” 일제 강점기의 어용학자들이 퍼뜨린 한글폄훼론이다. 세종이 한글창제의 원리를 설명한 해례본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갖가지 억측이 무성했다. 18세기 조선의 실학자들은 훈민정음의 원본인 해례본을 한글로 풀어쓴 언해본을 찾았다. 그러나 일제는 18세기 위작이라며 깔아뭉갰다. 해례본을 찾지 못한다면 한글은 그저 ‘세종이 화장실에서 볼일 보다가 우연히 만든 글자’로 전락할 수 있었다. 1940년 간송 전형필은 국문학자인 김태준으로부터 엄청난 이야기를 들었다. “세종이 여진 토벌에 공을 세운 제자(이용준)의 조상에게 훈민정음 해례본을 하사했다”는 소식이었다. 배씨가 공개한 상주본 훈민정음 해례본. 밑부분이 화재로 그을려 있다. 간송은 물건값 1만원에 별도의 ..
전곡리 구석기와 후지무라 조작사건 이번 주는 27만년 전의 세계로 되돌아가겠습니다.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 한탄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선사시대의 이야기입니다. 해마다 5월이면 이곳에서 구석기축제가 열립니다. 올해는 5월3일부터 7일까지 열린답니다. 27만년전 구석기 시대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이고, 선사박물관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되어 있으니 한번 참여해보시기 바랍니다. 궁금증이 생기실 겁니다. 왜 하필 27만 년 전 세계냐. 그걸 어떻게 아느냐. 뭐 이런 질문들을 하실 겁니다. 사실 한탄강 임진강은 화산활동이 빚어낸 강들입니다. 용암이 흘러 두 강을 만들었고, 고인류는 문명의 젖줄인 강을 삶의 터전으로 삼아 살았습니다. 1977년 이곳에서 수상쩍은 돌멩이 하나가 확인되면서 이곳이 구석기 시대의 터전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이 돌멩이..
목이 서늘해지는 아베의 총검술 ‘찔러-때려-비켜우로찔러-비켜우로베고때려-돌려쳐-막고차고돌려차….’ 총검술 하면 군대훈련을 연상하게 된다. 그러나 1960~70년대 고등학교를 다녔던 올드보이들에게는 학창시절 지겹도록 배워야 했던 총검술 동작을 먼저 떠올린다. 1969년부터 총검술은 고교의 공통필수로 채택된 교련교육의 과목 중 하나였다. 교련교사의 명에 따라 우렁찬 구호와 함께 목제 M1 소총을 일사분란하게 휘둘러야 했다. 제식, 분열, 사격, 심지어는 수류탄 투척 훈련까지 했으니 학교운동장을 ‘연병장’으로 일컬어도 전혀 어색하지 않았다. 총검술은 적병과 1-1로 맞서는 백병전에서 필요한 전투기술이다. 사람을 죽여야 하는 싸움의 기술을 학교 안에서 배웠다는 것 자체가 끔찍한 기억이다. 만약 무장한 적병이 아니라 비무장 민간인에게 실제 총..
박근혜의 수인번호와 이육사의 수인번호 “감방은 비좁기 그지 없었다.…다다미 3장 반 크기에 20여 명이…수인번호대로 열지어 앉아있었다.…왜놈말로 ‘기오츠케’(차렷)하면 일제히 머리를 숙였다가 자기 수인번호를 부르면 ‘하이(예)’ 하고 머리를 든다.” 1911년 안명근 군자금 모금사건으로 투옥된 백범 김구 선생의 서대문형무소 시절의 이야기다. 부모님이 지어준 이름을 빼앗기고 그저 일련번호로 호명되는 죄수의 대우를 받게 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몇 안되는 저항시인들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는 이육사 시인과 ’수인번호’의 관계는 떼려야 뗄 수 없다. 퇴계 이황 선생의 14대 손인 이육사(李陸史) 시인의 본명은 이원록이었다. 1926년부터는 ‘이활’이라는 이름도 사용했다. 그러던 1927년 장진홍 의사의 대구조선은행 폭탄 투척 사건에 연..
고종의 비밀 정보 기관과 하얼빈 의거… 고종은 망국의 임금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하기야 500년 왕조가 자기 대에서 끊겼으니 무슨 할 말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최근에는 고종이 그나마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일으켜 세우려 안간힘을 쓴 증거가 여럿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랬겠지요. 쇠락한 나라의 임금으로 사방에서 으르렁대는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그저 힘없이 나라를 바친 임금은 나이겠지요. 그렇게 믿습니다. 그런 가운데 또 하나의 증거가 하나 발견되었습니다. 고종이 1902년 비밀정보기관을 만들어 친일파와 일제의 결탁을 감시하고, 나아가 국내외 독립·애국운동을 배후 조정했다는 증거 말입니다. 1990년대 초 이태진 서울대 교수가 확인했던 자료인데요. 그 정보기관의 이름은 ‘제국익문사’였습니다. 이 교수는 이 ‘제국익문사’의 규정집을 찾아낸 것이지요. 그런데..
조공외교의 허와 실 ‘조공외교’가 시작된 것은 중국 주나라 때이다. 제후가 천자를 알현하는 것을 조(朝), 알현할 때 바치는 물품을 공(貢)이라 했다. 100개가 넘는 주변국이 조공하면 천자국인 주나라가 ‘제후임을 허한다’는 책봉 이벤트로 진행됐다. 겉으로 볼 때의 조공은 굴욕외교 그 자체다. 조선의 송시열은 “소국(조선)이 대국(명나라)를 섬기는 것은 하늘의 도리여서 군신의 의리를 정했다”고 천명했다. 명나라 사신으로 간 권근은 “산 넘고 바다 건너 중국에 들어와 늘 조공하옵고, 삼한(조선) 땅은 길이 제후국이 될 것입니다”라는 충성서약을 방불케하는 시를 중국황제에게 바쳤다. 매티스 미국 국무장관이 일본 방위상과 만나는 모습. 매티스는 중국이 '주변국들에게 조공외교를 강요하고 있다'는 요지의 발언을 했다. 세종은 ‘사대의..
사라진 일진회, 그리고 국정교과서 “4000년 역사 이래 단 하루도 완전한 독립이 없었다고? 무슨 소리냐. 단군·광개토대왕 이래 독립정신은 하루도 없어지지 않았다. 우리 힘으로는 자주독립을 못한다고? 미국의 힘을 빌어 독립하면 미국의 노예가 된다…. 송병준·이완용도 한때 영웅이라고? 2000만 인민의 생명을 끊고 어찌 무사하겠는가.”( 1908년 4월 12일) 단재 신채호 선생은 일진회(一進會)에 가입한 벗(友人)의 논리를 조목조목 비판하는 절교통보서를 쓴다. 단재는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일본과 친해야 일본을 배척할 수 있다’ ‘일본을 맹주로 진보해야 서로 보전할 수 있다’는 등의 해괴한 논리를 편 일진회의 가면을 벗기고자 했던 것이다. 1904년 송병준·이용구가 결성한 일진회는 고비 때마다 일제의 침략정책 수행에 앞잡이 노릇을 자처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