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 중에 뉘에 ‘군자의 기개’가 담겼느냐”(경향신문) “‘백자’쟁명 청화-철화-동화…조선백자 대표 다 모인 챔피언스리그”(동아일보) “불멍·물멍 이어 자기멍…눈 뗄 수 없는 조선백자”(서울신문) “어둠을 몰아내는 ‘조선백자의 스펙터클’”(조선일보)….
요 며칠 사이 각 언론이 편집자의 감각을 마음껏 뽐낸 온갖 수식어와 함께 앞다퉈 소개한 특별전 하나가 눈에 띄었습니다.
리움 미술관의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특별전(2월28~5월28일)입니다. 국가지정문화재 59점(국보18점, 보물 41점) 중 절반이 넘는 31점(국보 10점·보물 21점)과 일본 소재 34점 등 총 185점의 백자가 총출동한 특별전이랍니다.
■군자와 백자
특별전이 조선 백자의 매력을 ‘군자’의 덕목과 연결시켜 해석한 것이 눈에 띄더군요. 조선백자에서 군자의 모습이 떠오른다는 겁니다. 백자에 그린 산수화와 식물, 시를 통해 유교의 품격과 의식을 발현해냈다는 겁니다.
그것이 “군자는…자기를 수양하고 남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는 <논어> ‘헌문편’의 가르침이라는 겁니다.
또 양란(임진왜란·병자호란) 후 곤궁해진 조선의 실정이 백자에도 영향을 끼치는데요. 이때부터 페르시아산 코발트(CO) 성분의 값비싼 청화안료를 국내에서도 구할 수 있는 철 안료가 대신합니다.
%3C/p|CDM|1.3|{"originWidth":0,"originHeight":0,"style":"alignCenter","caption":"Array"}_##]
특히 흠결이 있는 두 점의 달항아리에 눈길이 머뭅니다. 그 중 국보 한 점은 바탕은 새하얀데 몸통의 전체에 커다란 누런 얼룩이 져 있습니다. 순백색의 아름다움을 최고의 가치로 친다면 흠결이 이만저만한 백자 항아리가 아니죠.
리움 미술관 구입 당시 미술관 관계자가 이건희 회장(1942~2020)의 출근길을 막아서서 결제 처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당시 아파트 한 채 값을 치렀답니다.(이종선의 <리컬렉션>, 김영사, 2016에서)
그렇다면 이 흠결있는 달항아리가 어떻게 해서 국보가 되었고, 어떻게 해서 이번 특별전의 대표선수로 선발되었을까요.
우선 약간은 비대칭이지만 거의 풍만한 정원을 그린 완벽한 달항아리라는 것에서 점수를 얻었답니다.
%3C/p|CDM|1.3|{"originWidth":0,"originHeight":0,"style":"\"Array_##]</p"}_##]
고미술상이었던 홍기대(1921~2019)는 “김환기 화백은 찌그러진 백자 항아리를 좋아했는데, 특히 일제 때 마루츠보(圓壺)라 일컬어졌던 항아리를 특별히 ‘달항아리’라 했다”고 전했습니다.
김환기 화백은 1949년 <신천지>에 실린 시 ‘이조 항아리’에서 “지평선 위에 항아리가 둥그렇게 앉아있다. 굽이 좁다못해 둥실 떠있다. 둥근 하늘과 둥근 항아리와…”라고 읊을만큼 ‘달항아리’에 매료된 분이죠.
김 화백과 평생 교유했던 미술사학자 최순우도 1963년 4월 17일 동아일보에 기고한 글에서 ‘달항아리 예찬론’을 펼칩니다.
“오늘 어떤 백발이 성성한 노감상가 한분이 찾아와 시원하고 부드럽게 생긴 큰 유백색 ‘달항아리’를 어루만져보고는 혼잣말처럼 ‘잘 생긴 며느리 같구나!’하고 자못 즐거운 눈치였다…”
최순우는 그러면서 일찌기 “그 잘생긴 애인 감이나 며느리 감의 진가를 채 알아보지 못하고 천대했던 이전 세대가 저지를 우리네의 불찰이 지금 회한만 하게 된 것”이라고 안타까워 합니다.
어쨌거나 달항아리를 일컬어 ‘잘 생긴 며느리’라 표현한 것이 ‘이때부터’ 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저 느껴야 하오.”
생각해보면 얼마나 절묘한 표현입니까. 원형을 이루다가 곧 이지러지는 달이 백자 항아리를 쏙 빼닮지 않았습니까.
게다가 같은 달이지만 달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달을 보죠. 달항아리를 보면서 저마다 다른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저마다 다른 상상의 나래를 펴게 되는 것처럼…. 그래서 달항아리는 새로운 영감과 창조의 세계로 이끄는 또 다른 문이라는 그럴듯한 해석이 나옵니다.
그러나 그렇게 멋들어진 ‘달항아리’ 이름은 2000년대 초까지는 학술적이 아니라는 이유로 터부시되었습니다.
그저 문화인들끼리 흥취를 나누는 수준이었죠. 그러나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의 개관 첫 전시제목을 ‘백자 달항아리’ 특별전으로 붙일만큼 인식이 바뀌었구요. 마침내 2011년 국보 명칭을 ‘백자대호’에서 ‘백자 달항아리’로 바꾸었습니다.
만약 그릇의 크기와 형태, 기종만 문자 그대로, 그것도 어려운 한자로 표현한 ‘백자대호’니 ‘백자대항’이니 했다면 어찌되었겠습니까. 달항아리는 지금처럼 대중에게 사랑받는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 하지 못했을 것 같습니다.
참 사족 하나 달아야겠습니다. 시대가 바뀌면 표현도 바뀌는 법인데요.
혜곡 최순우의 언급이 그런 것 같아요. 최순우는 달항아리를 두고 ‘욕심 없이 어질고 순종적이며 의젓해 잘생긴 며느리 같다’(최순우의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서서>, 학고재, 1993)이라 했는데요. 둥글고 온화한 순백의 멋을 표현한 말이었을텐데요. 그러나 이런 표현이 요즘 시대에는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 되었습니다. 이젠 다른 좋은 수식어를 붙여야 할 것 같아요.
고고미술사학자 김원룡(1922~19930)의 한마디가 백미인 것 같습니다. 이겁니다.
“조선백자의 미는 이론을 초월한 백의의 미…. 이것은 그저 느껴야 하오. 느껴서 모르면 아예 말을 마시오…여기에 무엇 새삼스러이 이론을 캐고 미를 따지오….” 그래서 저도 조용히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특별전을 ‘그저 느끼고’ 왔습니다.
이기환 히스토리텔러
<참고자료>
강태춘, ‘백자달항아리의 제작기법 연구’, 전통문화대 석사논문, 2019
김규림, ‘조선 17~18세기 백자원호(白磁圓壺)의 조형과 성격’, <한국문화연구> 36권 36호,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2019
윤용이·이토 이쿠타로(伊藤郁太郞)·마이클 R 커닝햄, <백자달항아리>(특별전 도록), 국립고궁박물관, 2005
이광표, ‘컬렉터와 명품의 탄생-백자 컬렉터 김환기와 달항아리’, <미술세계> 40, 2016
이종선, <리컬렉션>, 김영사, 2016
이준광·전승창·방병선·최경화·가타야마 마비,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특별전 도록), 리움미술관, 2023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때 항복한 일본인 1만명이었다…"우리 조선!" 외쳤다 (0) | 2023.03.28 |
---|---|
사명대사는 "가토 기요마사, 그대의 목이 조선의 보배"라 했다 (0) | 2023.03.23 |
측우기는 장영실 아닌 문종의 작품…3단 조립에 담긴 임금의 노심초사 (0) | 2023.03.11 |
춤을 사랑한 '국왕대리' 효명세자는 궁중예술의 총감독이었다 (0) | 2023.03.01 |
이토 히로부미 괴롭히고, 항일의병 사진 남긴 '영국신사'들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