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흔적의 역사

'신라-당나라' 연승 바둑 최강전

 바둑을 일컫는 말은 여러가지다.
 ‘난가(爛柯)의 전설’(“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지 모른다”)에 등장하는 ‘신선놀음’이 바로 바둑을 지칭힌다.
 또 ‘손으로 나누는 대화’라 해서 ‘수담(手談)’, ‘앉아서 은둔한다’는 뜻의 ‘좌은(坐隱)’, 흑돌과 백돌을 의미하는 ‘오로(烏鷺·까마귀와 해오라기)’ 등…. 땅은 모나고 하늘은 둥글다는 지방천원(地方天圓)에서 유래된 ‘방원(方圓)’, 근심을 잊게 한다는 것에서 ‘망우(忘憂)’ 등의 이름도 있다.    

경주 분황사 출토 통일신라시대 바둑판 모양 전돌. 가로 세로 각각 15줄을 넣었다. 길이 42cm, 너비 43cm.

■바둑의 기원
 그런 바둑의 기원은 43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 요임금의 고사이다.
 요 임금에게는 단주(丹朱)라는 아들이 있었다. 이변이 없는 한 요임금의 뒤를 이을 이는 단주였다. 하지만 요 임금은 “아들 단주는 덕이 없고, 싸움을 좋아한다”고 걱정했다. <박물지>와 <증흥서>, <테평어람> 등 중국문헌은 “요 임금이 (어리석은 아들) 단주를 가르치려고 바둑을 만들었다.(堯造圍棋 丹朱善之)”고 했다.
 만고의 성인이신 공자님은 어떤가. <논어> ‘양화’를 보자.
 “온종일 배불리 먹고 마음 쓸 곳이 없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박혁(바둑과 장기)이라는 게 있지 않느냐. 그래도 그걸 하는 게 현명한 일이다.(不有博奕者乎 爲之猶賢乎已)”
 빈둥빈둥 노느니 ‘바둑과 장기’(박혁·博奕)로 마음을 다잡으라는 얘기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개로왕의 비극
 이른바 동이계는 유난히 바둑을 사랑했다. 
 예컨대 <북사>와 <주서>, <수서> 등은 일제히 “고구려와 백제인들이 바둑을 좋아한다”고 기록했다.
 오죽했으면 바둑 때문에 한성백제 500년 사직이 멸망의 길로 접어 들었을까. 무슨 말인가.
 장수왕이 즉위한 뒤 고구려는 백제에 대한 처절한 복수전을 꾀한다. 371년 고국원왕이 백제군에 의해 전사한 이후 별러왔던 복수전이었다.
 장수왕은 스파이전을 선택한다. 극비리에 백제를 도모할 첩자를 구한 것이다. 이 때 승려 도림이 손들고 나섰다.
 도림은 당시 국수(國手)라 일컬어질만큼 바둑의 고수였다. 백제 개로왕은 바둑과 장기를 매우 좋아했다.
 도림은 거짓 죄를 짓고 백제에 투항했다. 도림은 “왕(개로왕)에게 바둑을 한 수 지도하고 싶다”고 접근했다. 개로왕이 도림을 불러들여 시험해보니 과연 국수(國手)였다. 개로왕은 도림을 상객으로 모셨다.
 “우리가 이렇게 늦게 만나다니….”
 바둑으로 개로왕을 홀린 도림은 서서히 마각을 드러냈다.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백제는 천혜의 요새입니다. 그런데 지금 보니 성곽과 궁실이 수축·수리 되지 않았습니다. 백성들의 가옥은 자주 강물에 허물어지니….” 
 도림의 바둑 실력에 빠진 개로왕은 “알겠다”고 적극 찬성했다.
 개로왕은 도림의 말대로 백성들을 모조리 징발하여, 흙을 쪄서 성을 쌓고, 그 안에 궁실, 누각, 사대를 지으니 웅장하고 화려했다. 이 때문에 국고가 텅 비고 백성들이 곤궁해져 나라가 누란의 위기를 맞았다. 도림은 고구려로 달려가 장수왕에게 고했다.
 “이제 됐습니다.”
 도림의 보고를 들은 장수왕은 백제 정벌에 나섰다.(475년)
 475년 9월, 고구려군이 대대적인 공격에 나서자 개로왕은 땅이 꺼지도록 후회한다.
 “내가 어리석었다. 간사한 자의 말을 믿다니…. 백성들은 쇠잔하고 군대는 약하다. 위급해도 누가 기꺼이 나를 위하여 힘써 싸우려 하겠는가.”
 개로왕은 결국 참담한 최후를 맞고 말았다. 백제의 한성시대(기원전 18~기원후 475)는 종막을 고한다.
 임금의 빗나간 바둑 사랑이 결국 망국의 나락으로 빠뜨린 것이다.  

 

 ■당나라-신라 바둑 연승최강전
 신라의 바둑사랑도 어지간했다.
 효성왕(재위 737~742)을 보자. 효성왕은 태자시절, 궁정(宮庭)의 잣나무 밑에서 어진 선비 신충(信忠)과 바둑을 두며 약속했다.
 “내 잊지 않겠다. 혹여 나중에 그대를 잊는다면 저 잣나무가 증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왕위에 오른 효성왕은 신충을 까맣게 잊었다. 신충이 원망하면서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다.
 그러자 나무가 갑자기 말라버렸다. 신충이 부른 노래가 삽시간에 퍼졌다. 그때서야 왕은 신충을 기억해냈다. 왕은 그제서야 무릎을 치고 신충에게 벼슬을 내렸다. 그러자 잣나무가 다시 살아났다.
 738년, 역시 효성왕 때의 일이다. 당나라 현종이 신라에 사신을 파견하면서 두 가지를 당부한다.
 “신라는 군자의 나라란다. 중국과 비길만 하다는구나. 그들에게 대국의 유교가 융성함을 자랑해라.”
 그러면서 신신당부한 한마디.
 “신라 사람들이 바둑을 잘 둔다는구나. 당나라의 바둑실력을 유감없이 뽐내고 오너라.”
 <삼국사기>를 보라.    
 “당 현종은 (바둑을 잘 두는) 양계응(楊季膺)을 부사(副使)로 삼아 보냈다. 신라의 고수들이 모두 그의 아래에서 나왔다.(國高奕 皆出其下) 이때 왕(효성왕)이 당나라 사절단에게 금·보물·약품 등을 하사했다.”(<삼국사기> ‘신라본기·효성왕조’)
 물론 신라의 바둑실력은 당나라를 넘지 못했다. 당나라는 바둑을 국가차원에서 육성했으니 말이다.
 즉 궁정에 ‘기대소(棋待詔)’라 하는 전문기사제도를 둘 정도였다. 그랬으니 현종은 바둑을 잘 둔다는 신라 사람들에게 선진바둑의 실력을 뽐내고 싶었을 것이다. <삼국사기>는 자세한 승패의 상황을 기록하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 당나라 국수(國手) 양계응에 맞서 신라 고수들이 돌아가며 도전하는 흥미진진한 반상대결을 벌였을 것이다. 어떻든 반상의 나·당 전쟁으로 서라벌이 들썩거렸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싸움에서 신라고수들은 연전연패했다. 효성왕은 신라 기사(棋士)들을 ‘지도’한 당나라 사절에게 상을 내렸다.
 꼭 똑같지는 않지만 아마도 요즘의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의 스타일이 아닐까. 양계응을 대표로 하는 중국팀과 신라팀이 연승제로 대결을 벌인….
 그 단체전에서 중국이 전승을 벌였다는 것이다. 1270여 년이 지난 요즘 세계최강전에서는 한국(11회 우승)이 중국(3회 우승)을 앞서고 있지만…. 
 최근, 또하나의 흥미로운 바둑 이벤트가 열리고 있다. 한국의 이세돌 9단과 중국의 구리(古力) 9단 간 펼치는 10번기다.
 양국 최정상 간 끝장 대결…. 과연 누가 이길까. 경향신문 사회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