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래자 思來者

신문배달소년이 발견한 함안 말갑옷이 보물로 지정된 사연

“저게 뭘까. 웬 철조각일까.” 현충일이던 1992년 6월6일 아침 7시, 경남 함안 도항리 아파트 신축공사장을 지나던 고교생 신문배달소년 이병춘(함안종고)의 눈에 심상치않은 물건이 들어왔다. 

공사는 아파트 뼈대가 다 들어선 뒤 정화조 공사를 위해 땅을 파놓은 상태였다. 막 포크레인으로 퍼낸 흙더미 속에서 철조각이 보인 것이다. 다른 이 같았으면 허투루 넘길만한 쇠조각에 불과했지만 배달소년은 허투루 넘기지 않았다. 

함안 마갑총에서 출토된 말갑옷과 고리자루큰칼. 4~5세기 전쟁터에서는 말에게도 갑옷을 입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아파트 공사장에서 발견된 철조각의 비밀

평소 사학과(창원대) 출신 신문지국장(안삼모씨)가 “함안은 아라가야의 중심지이니, 어떤 유물이 발견될 지 모른다”는 말을 누누이 했던 터였다,

철조각을 본 순간 지국장의 말이 떠올랐다, 소년은 철조각을 들고 지국으로 달려갔다. 소년이 들고온 철조각, 즉 생선비늘처럼 생긴 조각을 본 안삼모 지국장은 깜짝 놀라 소년과 함께 현장으로 뛰었다. 과연 현장에는 철조각이 흩어져 있었다. 

그 때가 8시였다. 안삼모 지국장은 마음이 급했다. 정화조 설치 공사였으므로 시간을 지체하면 돌이킬 수 없었다. 공사 담당자들은 아무 것도 모르고 있었다. 안삼모 지국장은 곧바로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에 전화를 걸었다. 마침 연구소엔 대학 사학과 동기생들이 근무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급보를 받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는 마침 인근 성산산성(가야시대 산성) 조사를 벌이고 있던 박종익 창연구사를 파견했다. 8시30분 쯤, 박종익 연구사가 현장으로 달려갔다. 

과연 놀라운 장면을 목격했다. 포크레인이 파 헤쳐 놓은 흙더미 속에 미늘(비늘 모양의 갑옷 쇳조각)들이 보였다. 함안 가야고분에서 이같은 철제갑옷이 출토된 예가 없었다.

아침 9시가 되었고, 공사 현장의 포크레인 기사가 막 공사를 재개하려던 순간이었다. 위기일발이었다. 

“공사 중단하세요.”

박종익 연구사는 당장 공사중단을 요청했다. 그 찬란한 가야시대 말 갑옷이 환생하는 순간이었다.

만약 배달소년이 눈여겨보지 않았던들, 지국장이 역사학도 출신이 아니었던들, 공사가 재개되기 전인 아침 일찍 발견하지 않았던들 이 깜짝 놀랄만한 유물은 포크레인의 삽날에 무참히 깨져 흩어졌을 것이다. 

신문 배달 소년이 발견한 함안 마갑총의 말갑옷 출토장면.  아파트 공사가 거의 마무리되고 정화조 공사 도중 발견됐다.|문화재청 제공 

■말까지 갑옷을 입힌 4~5세기 전쟁터

10분만 늦었어도…. 지금 생각해도 아찔한 순간이 아닌가. 아라가야의 역사 편린은 이렇게 한편의 드라마처럼 1,500년 만에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함안 마갑총에서 발견된 말갑옷은 이렇게 아파트 공사중 기적적으로 발견됐다. 

이 ‘철제 말갑 옷’은 말머리를 가리는 투구, 목과 가슴을 가리는 경흉갑(頸胸甲·목가슴드리개), 말의 몸을 가리는 신갑(身甲)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엇보다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됐다는 것이 중요하다. 말갑 옷은 그동안 여러 가야 고분에서 발견된 적이 있으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보존된 사례는 거의 없었다. 국내에서 마갑이 보급·실용화한 것은 3국이 치열한 전쟁을 벌이던 4~5세기 무렵이다. 

동수묘(冬壽墓)와 삼실총, 쌍영총 등의 고구려 벽화에는 말에 마갑과 마주를 착용시킨 중무장 전사의 모습이 실감나게 그려져 있다. 가야지역에서 출토된 마갑·마주 등은 기원후 400년 고구려의 남정(南征)때 수입된 게 아니냐는 분석도 할 수 있다. 어쨌든 말갑옷이 확인된 도항리 무덤은 대형의 나무곽무덤(大型木槨墓)으로 나무곽의 크기가 길이 6m, 너비 2m30㎝, 깊이 1m 규모이다.

중앙에 시신을 안치하고 오른쪽 가슴부위에 길이 83㎝의 금판을 장식한 ‘고리자루 큰 칼(환두대도)을 놓았다. ‘고리자루 큰 칼’은 철을 단조(鍛造·금속을 두들기거나 눌러서 모양을 만듦)하거나 철제 위에 상감(象嵌·무늬 새김)과 타출(打出·철판 밑에 모형을 대고 두드려 겉으로 모양을 나오게 함) 기법이 고루 적용됐다. 여기서 가야인들의 철 조련 기술, 공예기법 수준, 조형 감각을 동시에 엿볼 수 있다. 말갑옷은 ‘고리자루 큰 칼’의 양 곁으로 펼쳐 놓았다. 발치 쪽에는 ‘목긴 항아리(長莖壺)’ 등 토기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들을 종합하면 이 무덤의 조성연대는 5세기 무렵으로, 주인공은 최소한 수장급(首長級)으로 추정되고 있다. 말 갑옷의 크기는 총길이 2m26㎝~2m30㎝, 너비 43㎝~48㎝이다. 이 마갑총의 발굴조사는 가야 중에서도 함안을 중심으로 한 고대왕국 아라가야의 정치적 실체와 고구려·일본과의 교류를 구명하는데 필요한 획기적인 자료를 학계에 제공했다. 그러나 한쪽의 상태가 워낙 좋지 않았기에 그나마 상태가 좋은 한 쪽만을 복원했다. 얼마나 복원이 어려웠는지 한쪽만 보존처리하는 데에도 무려 5년이 걸릴 정도였다.

철갑을 두른 말갑옷으로 무장해서 보병과 싸우는 기마병의 모습. 중국 둔황 막고굴에 새겨진 그림이다. 

■말갑옷 무덤 발견의 후일담

사족을 달자면 마갑총을 발굴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 배달소년(이병춘)과 신문지국장(안삼모)은 함안군수로부터 표창장을 받았다. 이들은 언론의 대서특필로 함안을 전국적으로 알린 일등공신이기도 했다. 이 소식은 바다건너 일본에까지 전해져 일본의 유력 신문이 크게 보도하기도 했다. 지난해 5월에는 경상남도 도지사상을 받기도 했다. 다만 아파트 공사도중 뜻밖에 출토된 말 갑옷 때문에 공사기간이 늦어져 영세한 아파트 건설업체가 문을 닫고 만 것은 너무도 가슴 아픈 사연이다.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속죄양이 된 것이다.

기자는 문화재청이 6일 ‘함안 마갑총 출토 말갑옷 및 고리자루 큰 칼’을 보물(제2041호)로 지정했다는 보도자료를 받고는 16년 전의 기사가 불현듯 떠올랐다. 당시 기자가 ‘한국사 미스터리’ 시리즈를 연재하면서 바로 이 ‘아라가야의 비밀, 함안 마갑총’을 다루면서 신문 배달 소년이 발견한 말갑옷 무덤, 즉 ‘마갑총’ 이야기를 쓴 바 있다. 

기자는 옛 기억을 떠올리며 마갑총을 처음 발견한 배달소년과 신문지국장 등과 통화해보고 싶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와 함안군청 등을 통해 받은 연락처는 발견 당시 배달소년이 속했던 함안 신문지국장 안삼모씨의 것이었다. 통화가 된 안삼모씨는 “고향 함안에서 작은 업체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마갑총 발견은) 이병춘씨나 나나 그냥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사학과 졸업한 인연 덕분인지 답사를 다니다보면 땅만 바라보게 되잖아요. 뭔가 유물이 있나하고…. 저도 답사를 다닌 경험을 토대로 ‘함안은 아라가야의 핵심지역이니 관련 유물이 있을 거니까 늘 관심있게 보라’고 배달소년들에게 말을 했죠.”(안삼모씨)

“‘발견’에서 ‘공사중단’까지 2시간도 채 걸리지 않았는데 엄청 신속하게 처리했네요.”(기자)

“그땐 급했어요. 정화조 공사 때문에 포크레인으로 땅을 파놓은 상태였으니까 정화조를 묻고 덮어버리면 끝장이었죠. 그래서 서둘렀던 거죠.”(안삼모씨)

배달소년이 7시에 발견하고 그 소식을 8시에 신문지국장에 전하고,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는 신문지국장의 보고를 받고 8시30분에 현장에 달려가고, 9시로 예정된 공사재개를 서둘러 막고…. 발견에서 공사중단까지 그야말로 단 2시간 걸린 셈이다.        

“말갑옷을 1차로 발견한 이병춘씨와 연락 좀 하고 싶은데요?”(기자)

“아마 그 친구는 연락이 잘 안될 지도 몰라요. 저도 그렇지만 뭐 대단한 일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 같더라구요.”(안삼모씨)

당시 신문배달 소년이었던 이병춘씨는 창원에서 평범한 회사원으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 이병춘씨는 말갑옷 발견을 무승 자랑거리로 여기지도 않고, 지난해 5월 경남도지사상 시상식에도 불참했다고 한다.  

“그 분(이춘천씨)이 시상식에 불참하는 바람에 상장 등을 우편으로 보내주었어요.”(조신규 함안군 가야사복원팀 직원) 

기자가 어렵게 통화를 시도했고, ‘여차저차’ 문자도 남겼지만 이병춘씨는 끝내 연락해오지 않았다. 고향의 뿌리인 아라가야에 대한 이들의 가없는 애정, 그리고 문화유산을 지키려는 투철한 사명감은 영원히 고고학사에 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