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정인지 성삼문 신숙주 vs 예겸' 한 중 시문배틀의 승자는 누구였을까

“(명나라 사신) 예겸이 정인지에게 ‘그대와 나누는 하룻밤 대화가 10년 동안 글을 읽어서 얻는 소득보다 낫습니다’라 했다.”(<세종실록>)
“예겸이 두 선비(신숙주·성삼문)을 사랑하여 형제의 의를 맺고 시를 계속 주고받았다. 예겸이 귀국할 때는 눈물을 닦으며 이별했다.”(<용재총화>)
“(안평대군의) 글씨는 보통 솜씨가 아니다. 이 사람을 만나보고 싶다.”(<연려실기술)>
1450년(세종 32년) 윤 1월1일 명나라 사신 예겸(1415~1479)이 조선을 방문했다. 막 즉위한 명나라 경태제(재위 1449~1457)의 등극조서를 조선에 반포하기 위함이었다. 조선땅을 밟은 예겸은 당대 세종대왕이 직접 키운 집현전 학사들인 정인지·신숙주·성삼문 등과 치열한 ‘시문 배틀’을 벌였고, 그렇게 겨룬 시문 37편을 골라 두루마리 시권으로 엮었다. 길이 16m, 폭 33.2㎝의 대작이다. 그것이 ‘봉사조선창화시권(奉使朝鮮倡和詩卷)’이다.
‘창화’는 ‘한사람이 노래를 시작하면 다른 사람이 화답하는 것’이다. 사신이 되어(奉使) 조선의 문인과 시문을 나눈 작품을 모은 시권(詩卷)이라는 뜻이다. 시문은 예겸이 17편, 정인지(1396~1478)와 신숙주(1417~1475)가 각각 7편, 성삼문(1418~1456)이 6편을 남겼다.

1450년(세종 32년) 조선을 방문한 중국사신 예겸과 정인지·신숙주·성삼문 등이 치열한 ‘시문 배틀’을 벌였다. 예겸은 이 세사람과 시 대결을  펼친 뒤 이때 주고받은 시 37편을 뽑아 길이 16m의 두루마리 시권으로 꾸몄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한 중외교사의 스토리텔링

모두 직접 쓰고 자신들의 도장을 찍었다. 조선 전기의 문사인 정인지·신숙주·성삼문의 글씨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는 유물이다. 시권은 예겸의 후손이 가보로 전하다가 중국의 진기종·당한제·나진옥 등을 거쳐 1958년 이전에 국내로 유입돼 한학자이자 서예가인 임창순(1914~1999)이 소장했다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됐다. 1958년 김상기·이병도·김두종·이용희·전형필·원충희 등 당대 인물 6명의 감정기가 시권과 함께 보관됐다. 시권은 지난 2004년 보물 제1404호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23일 조선 전기 대명외교의 생생한 기록이며, 조선초기 서예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는 이 시권을 14년만에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예고했다, 이와함께 문화재청은 중국사신(예겸)이 극찬한 안평대군이 주도하여 당대문인 21명의 글을 모아놓은 시첩(<비해당 소상팔경시첩>) 또한 보물(제1405호)에서 국보로 승격예고했다.

 

■1450년 한양에서 벌어진 한·중 ‘시 배틀’
그렇다면 조선을 방문한 예겸은 어째서 조선이 자랑하는 최고학자들과 자존심을 건 ‘시문배틀’을 펼쳤을까. 그리고 그 승패는 어떨까. <세종실록>과 <용재총화>, 그리고 예겸이 조선을 방문하고 쓴 <요해록> 등에 자세히 나온다.

예겸과 정인지가 나눈 창화시. 예겸은 공조판서이자 접반사인 정인지와 ‘시대결’을 벌였다.  5일이 지난 후 예겸은 정인지를 두고 “그대와의 하룻밤 대화가 10년 책을 읽어 공부해서 얻은 소득보다 낫다”고 극찬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450년 윤 1월 1일 한양에 닿은 예겸은 이틀 뒤인 1월3일 성균관 선성묘(공자를 기리는 사당)을 방문하여 알묘시(사당을 참배한 뒤의 짓는 시)를 지었다. 이것이 한·중 대결의 신호탄이 될 줄이야 누가 알았으랴. 세종 임금이 접반사(사신을 맞이한 관리)로 보낸 공조판서 정인지가 예겸의 알묘시에 즉각 차운시(다른 사람이 지은 시의 운자를 따서 짓는 시)를 지은 것이다.
예겸은 순간 당황했다. ‘어! 이거봐라.’ 예겸은 정인시의 차운시 화답을 ‘도발’이라 여겼다. 예겸의 <요해편>에 적나라하게 표현돼 있다.
“내(예겸)가 알묘시를 쓴 것은 그들이 변방국가이면서 문학을 숭상하는 것을 가상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의외로 공조판서가 연석에서 화답하여 업신여기는 뜻이 있었으므로 바로 화답시를 지어 돌려주었다.”
예겸의 이야기는 곧 자기자랑으로 변한다.
“나는 정인지의 시를 보자마자 즉시 화답해주었다. 순식간에 화답시를 지으니 모두들 (내 솜씨에) 탄식했다.”

예겸과 성삼문과 나눈 창화시. 세종대왕이 직접 키운 집현전의 젊은 학사였던 성삼문은 32살의 젊은 나이에 예겸과의 시문배틀에 나섰다. 예겸은 성삼문, 신숙주와 매일같이 시문대결을 벌이다가 두 선비의 문장과 인품에 감화됐다. 셋은 형제의 연을 맺었고 이별할 때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요해편>에 명나라 문인인 노옹과 오절이 서문과 발문을 써주었는데, ‘예겸이 얼마나 조선 문인들의 코를 납작하게 해주었는지’ 잔뜩 초를 쳐서 상찬한다. 
“시강(예겸)이 조선에 이르자 조선의 날고 기는 문인 신하들을 관반사로 삼았다. 공(예겸)이 ‘겸손한 체’ 자세를 굽혀  붓을 들어 재주를 나타내니 시상이 샘솟듯 붓이 움직이는 대로 시가 씌여졌다. 생각하지 않고도 걸작품이 나왔다. 비로소 공이 주위를 무시하고 온 나라 사람이 비로소 놀라고 감탄하며 우러러보기를 마지 않았다.”(노옹의 서문)
“‘선생이 재치가 민첩하여 마치 샘 솟고 산 솟듯 붓 가는 대로 써서 잠깐 사이에 글을 쓰니 그 나라 사람들이 머리를 모아 찬탄하였다. 기가 죽어서 감히 저들의 장점도 발휘하지 못했다. 다만 정인지·신숙주·성삼문 등 세 사람만이 경책(警策)을 조금 알아서 간간이 시로 화답했다. 선생도 이들을 격려해주었다.”(오절의 발문)
남의 저작에 써주는 서문과 발문에는 되도록 저자를 떠받드는 덕담을 해주는게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당대의 인물인 서거정(1420~1488)의 <필원잡기>는 예겸의 <요해편>에 실린 노옹과 오절의 서·말문을 소개하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노옹·오절 두 사람이 예겸을 존숭하면서 동방의 현자들을 너무 심하게 무시했다. 내가 예겸의 <요해편> 전편을 읽어보았지만 그저 보통의 시문일 뿐이었다. 통달하고 호탕하고 격앙되고 기특하고 뛰어난 글은 아니었다.”
서거정의 언급에는 조선 문인의 자존심이 구구절절 배어있다. 조선문인들의 기량이 절대 예겸보다 못하지 않으며 오히려 더 뛰어나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겸과 신숙주가 나눈 창화시. 서거정은 “예겸의 시에 화답한 신숙주의 글 내용이 초나라 애국시인 굴원을 연상시키며 오히려 예겸의 수준을 능가한다”고 극찬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인지에 신숙주·성삼문까지 가세
과연 한·중간 시문배틀의 승패는 어땠을까.
예겸과 정인지의 일합 이야기는 같은 날짜(1450년 윤 1월 3일자) <세종실록>에도 팩트만 기록돼있다.
“예겸이 시 한 편을 지어 정인지에게 주니 정인지도 즉시 운을 따라 지었다. 이때부터 매일같이 정인지·성삼문·신숙주 등이 예겸과 시를 주고 받았다.” 
처음에는 예겸과 정인지의 가벼운 탐색전 정도로 치러진 ‘시문배틀’이 신숙주와 성삼문까지 ‘대표선수’로 가세한 접전으로 번졌음을 알 수 있다.
성현(1439~1504)의 <용재총화>에는 치열한 신경전의 양상으로 벌어진 예겸과 조선 문인간의 ‘시문 배틀’을 보다 구체적으로 풀어놓았다.
즉 윤 1월3일 예겸이 성균관의 공자사당을 방문해서 “많은 선비들은 좌우로 갈라섰고(濟濟靑襟分左右) 울창한 푸른 잣나무는 열을 지어 뻗어 있다(森森翠栢列成行)”는 시(알묘시)를 지었다.
그러나 이 시를 보고 집현전의 젊은 학사들과 유생들이 “저 것도 시냐”고 비웃었다.
“참으로 어둡고 썩은 교관(敎官)이 지은 것이다. 우리가 한쪽 어깨를 걷어 올리고도 예겸의 시 쯤은 누를 수 있다.”(<용재총화>)
아마 예겸이 조선 문인들을 허투루 보고 대충대충 시를 지었던 것 같다. 그랬으니 조선의 문인 관리들이 비웃었을 것이고, 정인지도 “저 정도 밖에 안되냐”면서 즉각 화답시로 예겸의 기를 놓으려 했을 것이다.
그러나 예겸은 만만치 않은 문인이었다. 예겸에 한강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지은 ‘유한강시’는 조선문인들의 감탄을 자아낼만큼 뛰어났다.
“웅걸한 누각에 겨우 올라 기관을 보며, 누선을 노저어 푸른 물에 띄웠다…강산은 천고에 그 빛을 잃지 않건만 주객은 일시에 즐거움을 다하네. 먼 훗날을 생각하니, 달은 밝고 사람은 떠난 뒤, 거울 같은 강물에 날아든 백구(白鷗)만이 차지하겠네.”
<용재총화>는 이를 두고 “예겸은 붓을 휘두를수록 더욱 좋은 글이 나와 조선의 유사들이 저도 모르게 무릎을 꿇었다”고 했다. <용재총화>는 “심지어 (당대의 이름난 문인이자 사신접대의 총책임자인) 정인지마저도 대적하지 못했다”고 표현했다. 하지만 ‘대적하지 못했다’는 표현은 적절치는 않은 것 같다. 예겸은 정인지와 시문배틀을 벌인지 5일만인 윤 1월8일 “그대와 나누는 하룻밤 대화가 10년 책을 읽어 얻은 소득보다 낫다(與君一夜話 勝讀十年書)”고 극찬할 정도였다.
다만 세종대왕은 명나라 사신인 예겸에게 “조선에 뛰어난 젊은 문사도 많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집현전 학사인 신숙주와 성삼문을 가세시킨 것이다. 당시 정인지는 54살이었지만 신숙주는 33살, 성삼문은 32살이었다.

조선사절단으로 온 중국 외교관이 조선 문사들과 시문을 주고받은 글을 기록한 두루마리라는 의미의 ‘봉사조선창화시권’제목.|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감탄사를 연발한 중국대표선수 ‘예겸’   
예겸과 정인지의 물론 뛰어났지만 정인지·신숙주·성삼문의 시문은 절대 뒤지지 않았다.
신숙주·성삼문과 거의 매일처럼 시문배틀을 벌이던 예겸은 결국 두 선비의 문장과 인품에 감화됐다.
그랬으니 “두 선비와 시를 주고받은 예겸은 그들을 사랑하여 형제의 의를 맺었고, 귀국할 때에는 눈물을 닦으며 이별했다”(<용재총화>)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단적인 예로 예겸이 윤 1월 6일 영빈관 뒷다락에 올라 ‘설제등루부(雪霽登樓賦)’라는 글을 지었다. ‘눈(雪)이 잠깐 갰을 때(霽) 빈관의 뒷다락에 올라(登樓) 지은 글(賦)’라는 뜻이다. 이때 예겸의 글을 들은 신숙주는 “예겸의 ‘설제등루부’가 필세가 웅장하고 초나라 애국시인인 굴원과 한나라 반고의 글을 능가한다”고 극찬했다.
하지만 신숙주의 언급은 겸양의 미덕을 발휘한 것이었다. 신숙주는 예겸의 곁에서 즉석에서 화답글(‘차예겸설제등루부(次倪謙雪霽登樓賦)’을 지었다. 신숙주 본인은 “감히 부(賦)라고 할 것도 없이 그저 거친 글로 예겸을 존숭하려고 화답한 것”이라 겸손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예겸의 글에 버금가거나 오히려 능가할 정도였다.
서거정은 “예겸의 ‘설제등루부’가 비록 가작이기는 하다”고 인정하면서도 “그러나 신숙주의 화답글 역시 (초나라 애국시인인) 굴원의 ‘초사’에 비견되는 음향이 있는데 어찌 업신여길 수 있다는 말이냐”고 치켜세웠다.     
<세종실록>과 <필원잡기>, <용재총화> 등 조선 측 기록과, <요해집> 등 예겸의 언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면 예겸과 정인지·신숙주·성삼문의 한·중 ‘시문 배틀’은 우월을 가릴 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서로 “우리가 이겼다”고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안평대군의 주도아래 소상팔경(중국 호남성 동정호 남쪽에 있는 소상의 8가지 아름다운 경치를 일컫는 말)을 주제로 당대의 문인 21명의 글을 모아놓은 시첩.|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안평대군의 글씨에 반한 예겸
조선을 방문한 예겸이 절로 고개를 숙인 또 한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안평대군 이용(1418~1453)이었다.
예겸은 안평대군이 쓴 현판의 두 글자를 보고 감탄사를 연발했다.
“이 글씨는 보통 솜씨가 아니다. 이 사람을 만나보고 싶다.”
이 말을 들은 세종은 셋째아들인 안평대군에게 “네가 가서 중국 사신을 한번 만나보라”고 했다.
과연 예겸 등은 안평대군의 글씨에 흠뻑 빠져 “지금 중국에서는 진학사가 글씨를 잘 써서 유명하지만 여기 이 왕자(안평대군)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했다.
예겸이 예의를 다해서 받아간 안평대군의 글씨는 중국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예컨대 조선사람들이 중국에 가서 “좋은 글씨를 구할 수 있냐”고 물으면 중국사람들이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당신네 나라에 제일 가는 사람(안평대군)이 있는데 뭐 때문에 멀리까지 와서 글씨를 사려 합니까.”
중국을 방문한 조선인들 가운데서 어찌어찌해서 중국의 유명한 글씨를 구입해서 조선으로 들어오는 일이 심심찮게 있었는데, 대부분이 안평대군의 글씨였다고 한다. 안평대군은 중국을 방문한 조선인들이 사온 글씨가 자신의 것임을 확인하고는 매우 만족스럽게 여기며 기뻐했다.(<연려실기술> ‘전고·필적’)
문화재청이 조선의 문인현사들과 중국 사신 예겸의 불꽃튀기는 ‘시문배틀’의 사연을 담은 ‘봉화조선창화시권’과 함께 그 예겸이 극찬한 안평대군의 유품이 동시에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됐다. 이 또한 예사롭지 않은 인연이라 할 수 있겠다. 경향신문 선임기자
(이 기사는 신승운의 ‘예겸의 봉사조선창화시권에 대한 연구’, <서지학연구> 28권, 한국서지학회, 2004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