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철원 평화전망대에 오를 때마다 필자는 왠지 ‘센티멘탈’해진다.
나즈막한 전망대 앞으로 펼쳐진 드넓은 평원의 이름은 풍천원이다. 그렇다. 저곳은 1100년 전인 905년 풍운아 궁예가 ‘대동방국’의 기치를 높이 들었던 태봉국의 도성터이다. 고구려의 후예를 자처하면서 영원한 평화가 깃든 평등세계를 꿈꿨던 궁예였다. 그렇지만 궁예의 꿈은 불과 13년 만에 물거품이 된다.(918년)
“사졸들과 고락을 함께 해 인심을 얻었지만…나중엔 가혹한 정치로…궁궐만 크게 지어 원망과 비난을 자초했다”(<삼국사기> <고려사> 등)는 것이다. 왕건세력에 의해 축출된 궁예는 굶주림에 보리이삭을 몰래 끓여먹다가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임금과 신하를 짐승 죽이듯 풀베듯 했으니 실로 극악한 사람”이라며 몰아붙였다. 자신을 비난한 석총 스님을 철퇴로 때려죽이고, 부인인 강씨에게 간통죄를 뒤집어씌어 불에 달군 방망이를 음부에 쳐넣어 죽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감상(感傷)이 든다. 과연 그랬을까.
역사의 패배자인 궁예에게 너무 심한 패륜아의 딱지를 붙여 매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조선 전기 문인 서거정(1420~1480) 역시 풍천원에 남겨진 궁예의 흔적을 보고는 센티멘탈한 시심(詩心)을 드러냈다.
“나라가 깨져 한 고을이 되었네.(國破山河作一州) 태봉의 남긴 자취가 사람을 시름겹게 하네(泰封遺跡使人愁) 지금은 미록(고라니와 사슴)이 와서 노니는 땅이 되었네.(至今미鹿來遊地)”(<동국여지승람>)
500년이 훨씬 지났는 데도 서거정의 시에 감정이 고스란히 이입되는 것은 어쩐 일일까. 하기야 그럴 수밖에 없다. 우선 서거정이 봤던 태봉국 도성의 흔적은 지금 이 순간과 큰 차이가 없었을 테니까. 왜냐. 궁예 이후 망국의 폐허로서 터부시됐던 도성터는 지금 비무장지대 안쪽에 자리잡고 있다. 알다시피 정전협상상 비무장지대 출입 자체가 금지돼있지 않은가. 그러니 예나 지금이나 저곳은 금단의 땅인 것이다. 게다가 한국전쟁 당시 평강-김화-철원을 잇는 이른바 ‘철의 삼각지대’의 한 꼭지점이어서 피아간 엄청난 화력이 집중됐던 곳이다. 주변 산과 구릉의 별명을 보면 심상찮다. 피아간 1만8000여 젊은이들이 희생된 백마고지와, 그 백마고지를 획득하지 못한 김일성이 통곡했다는 김일성고지(고암산), 그리고 젊은이들의 피를 적셨다는 ‘피의 500능선’ 등….
필자의 감상을 더욱 자극하는 것은 태봉국 도성터의 딱한 신세이다. 즉 휴전선(군사분계선)이 태봉국 도성을 거의 정확히 반으로 가르고 있는 것이다. 그 뿐인가. 서울~원산 간 경원선 철도가 남북으로 갈라진 도성을 동서로 찢어놓았다. 1100년 전 궁예의 야망과 좌절이 묻힌 태봉국 도성터는 이제 분단과 전쟁·냉전이 갈라놓은 비극의 상징터가 된 것이다. 일제 때 조사를 보면 태봉국 도성터의 외곽성은 12.5㎞, 내곽성은 7.7㎞에 이른다. 조선의 한양도성(17~18㎞)에 견줘도 손색없는 엄청난 규모이다. 궁예는 조선보다 500년 정도 앞서 한양에 버금가는 도성을 짓고 고구려의 후예로서 대동방국의 웅지를 펼치려 했던 것이다. 지금도 흙으로 쌓은 도성의 흔적은 무성한 수풀 사이로 잘 남아있다고 한다. 일제가 만든 <조선보물고적도보>는 왕궁성 부근의 석등과 남대문터의 귀부 등을 사진으로 담아놓았다.
필자는 최근 남북한이 개성 만월대(고려 궁성터)의 공동발굴 재개 소식을 듣고 다시 한 번 ‘센티’ 해졌다. 고려 태조 왕건이 919년(태조 2년) 세운 만월대는 440년 고려 역사를 상징하는 ‘황성옛터’가 아닌가.
‘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린 회포를 말하여 주노라…성은 허물어져 빈터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이 허무한 것을 말하여 주노라.’
폐허로 남은 만월대를 밟고 지었다는 ‘황성옛터’(왕평 작사·전수린 작곡)를 불러보라. 500년 전 서거정의 시가 절로 떠오른다. 이런 생각이 든다. 남북이 힘을 모아 왕건의 옛터(만월대)를 공동발굴한다는데…. 그렇다면 궁예의 옛터(태봉국 도성터)는 어떨까. 휴전선을 딱 반으로 가른채 분단과 전쟁, 냉전의 상징으로 남아있는 궁예의 흔적을 남북이 손잡고 발굴한다면….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남북한 전문가들이 오손도손 의견을 나누며 공동조사하는 모습…. 그것이 바로 궁예가 이루지 못한 세계, 즉 영원한 평화가 깃든 세상의 모습이 아닐까. 경향신문 논설위원
'흔적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무성 대표의 큰절이 왜 과공비례인가 (2) | 2015.07.28 |
---|---|
소인배와 군자 사이, 삼전도 비문 논쟁 (0) | 2015.07.27 |
정조의 침실은 '재난 콘트롤타워' (0) | 2015.06.07 |
조선에 전깃불이 처음 켜진 날 (0) | 2015.06.02 |
못말리는 동이족의 술사랑 (0) | 201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