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가 우리나라(조선)에서 화친을 무너뜨렸다고 해서 혁연(赫然)히 노해서~곧바로 정벌에 나서~우리나라 임금(인조)과 신하의 죄는 더욱 피할 길이 없다.”
높이가 395㎝, 너비 140㎝에 달하는 삼전도비, 즉 ‘대청황제공덕비(大淸皇帝功德碑)’에 새겨진 비문은 쓰라린 역사의 상징이다. 비문을 쓴 이는 병자호란 당시 도승지와 예문관제학을 역임한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4년)이다.
이경석이 현종 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궤장. 일흔살 이상의 명망 높은 노신에게 내리는 최고의 상급이다.
그러면 이 ‘치욕의 비문’을 쓴 이경석 역시 ‘치욕의 인물’인가. 그가 찬술한 이 삼전도비문은 그가 죽은 지 30~40년이 지난 뒤부터 벌어지는 노·소론 간 치열한 이념논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이 참에 이경석이 삼전도비문을 찬술한 경위를 살펴보자. 1637년 1월 인조가 항복하자 청나라는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등 10만이 넘는 포로를 잡아가면서 수항단 터에 ‘청태종 공덕비’를 세우라고 명한다.조정은 비문에 새겨 넣을 글을 청으로부터 받을 계획이었다. 하지만 “당신들이 쓰라”는 청의 요구 때문에 이경석 등 3명이 선택된다. 이경석 등은 마지못해 비문을 썼다.
하지만 청나라는 “내용이 매우 소략하고 포장이 되어있지 않다”면서 “다시 쓰라”고 강요한다. 다급한 인조의 부탁을 들은 이경석은 비문을 개찬, 드디어 1,009자를 완성했다. 그런 이경석은 청으로 끌려간 소현세자와 척화파 인물들에 대한 구명환국운동을 벌여 무사히 귀국시켰다. 효종의 북벌계획을 눈치 챈 청나라가 사신들을 잇달아 파견, 혐의를 집요하게 캐자 이경석은 국왕을 끝내 두둔하면서 모든 책임을 자기 탓으로 돌렸다.
이 때문에 위리안치되고, ‘영불서용(永不敍用·다시는 기용하지 않는다)’의 처분을 받는다.
그는 관직생활에서 당색을 철저히 배제하는 인사정책으로 인재들을 발탁했다. 그가 발탁한 인재 가운데 10명의 정승과 4명의 대제학이 배출된다.
그는 말년에 왕(현종)으로부터 인신의 최고영예인 궤장(궤杖)을 하사받고 모든 공경대부들을 궤장연(궤杖宴)에 초대한다.
그러나 바로 이 자리에서 자신이 발탁한 송시열의 공격을 받을 줄이야. 송시열은 이른바 ‘궤장연서(궤장받은 일을 시문으로 하례하는 것)’에서 “~하늘의 보우를 받아 ‘수이강(壽而康)’하여~성상의 대우하심을 받았으니~”하고 이경석의 행적을 기렸다. 그런데 이 ‘수이강(오래 편안히 산다는 뜻)’이 삼전도 비문 찬술을 비꼰 것이었다.
과거 송나라 흠종 때 금(金)에 잡혀가면서 그들에게 아첨하여 ‘수이강(여기서는 하는 일없이 오래 편히 산다는 뜻)’했다는 손적(孫적·1081~1169)을 이경석에 비유한 것이다.
즉 송나라(북송)가 멸망한 뒤 송나라 황제를 대신해 항복문서를 지어 금나라에 바친 손적을 빗댄 것이다. 그런데 항복 문서의 내용이 너무 송나라의 위신을 깎고 오랑캐에 아첨했다고 해서 손적은 손가락질의 대상이 됐다. 그 때 어떤 사람이 “손적 그대는 오랑캐 진영에서 너무 아첨했으니 오래 살고 편안했구나(壽而康)”라고 비웃었단다.
그랬다. 송시열은 바로 이 손적의 고사에서 어떤 이가 말했다는 ‘수이강’의 은유를 끌어 이경석을 비난한 것이다. 이경석이 불가피하게 삼전도비문을 쓴 것은 좋았지만 너무 청나라에게 아첨하는 글이었음을 강력하게 비난한 것이다. 그러니까 이경석이란 인물은 오랑캐에게 아첨한 대가로 ‘오래도록 편히 산(수이강)’ 조선판 손적이 아니냐는 것이다.
송시열의 사나운 공격은 당대 사대부 사회에서 엄청난 파장을 불렀다. 사실 당시 송시열의 지위는 대단했다. 북벌론자인 효종의 신임을 받아 산림과 정계의 영수로서 정계를 주름잡고 있었다. 때문에 누구도 쉽게 송시열을 두고 왈가왈부할 처지가 아니었다.
송시열은 이경석이 제아무리 임금의 명에 따라 할 수 없이 삼전도 비문을 지었다고 하지만 지나치게 오랑캐에 아부하는 글을 남긴 것이라 공격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그러나 대체적인 여론은 “송시열이 너무 심했다”는 것이었다. 송시열의 둘도 없는 ‘절친’인 송준길과, 송시열을 스승처럼 섬긴 이단상(1628~1669)조차도 “송시열이 왜 그렇게까지 하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송시열은 강경했다. 그는 판서 송규렴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말한다.
“온 세상이 나를 원수보듯 한다. 심지어 송준길까지 놀랍고 한탄스럽다고 하니 다른 사람이야 말해 무엇하겠느냐.”
송시열은 그러면서 이경석을 다시 한 번 후련하게 비난한다.
“대체로 그 사람(경석)은 향원(鄕愿)의 마음가짐으로 청인(淸人·청나라 사람)의 세력을 끼고서 일생을 행세한다. 경인년의 일이 아니라면 개도 그 똥을 먹지 않을 것이다.”
‘향원’이란 별 능력도 없이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관리를 뜻한다. ‘경인년’의 일이란 청나라 사신이 왔을 때 홀로 책임을 지고 백마산성에 위리안치된 효종 즉위년(1650년)의 일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능력도 없는 관리(이경석)가 외세(청나라)에 빌붙어 평생 호의호식했다는 것. 그나마 백마산성에 위리안치된 일이 없었다면 ‘개도 그의 똥을 먹지 않을 것’이라는 것. 그럼에도 이경석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경석의 사후 서인의 집권으로 송시열의 지위가 갈수록 높아질 즈음 소론의 박세당이 송시열을 겨냥, 포문을 연다. 이경석을 군자의 상징인 ‘봉황’으로, 송시열을 그 봉황을 모욕하는 ‘올빼미(악인의 상징)’로 지칭한 것이다. 노론 당인들은 박세당을 사문난적으로 규정하는 등 반격에 나선다. 그렇게 촉발된 노·소론 간 논쟁은 당파 간 정치적·이념적 논쟁으로 확대되어 갔다.
이쯤해서 질문을 던진다. 이경석은 무슨 죄를 진 것인가. 1703년(숙종 29년) 이경석의 손자 이하성이 할아버지를 변호하는 상소를 올리자 실록을 쓴 사관은 이렇게 논평했다.
“이경석이 비문을 지은 것은 마지못해 한 일이다. 그러나 뜻을 다해 포장해서 오랑캐의 공덕을 칭송하고…. 어찌 만세의 청의(請議·깨끗한 언론)에 죄를 얻지 않겠는가. 이것은 이경석에게 일생의 오점이 되었다.”(<숙종실록> 1703년 5월 21일)
나라를 위해 억지로 했지만 과공비례(過恭非禮)했다는 것이다. 좀 적당히 하지 그랬냐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엔 이경석이 아니더라도 악역이 필요했다. 그 또한 이경석처럼 오점을 남겼을 터이고…. 임금의 신신당부에 신하인 이경석이 어쩔 도리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다면 이경석을 죽일 듯 비난한 송시열은 승자인가. 아니었다. 그에게 쏠리는 시선도 그리 곱지만은 않았다.
송시열이 이경석을 비난하는 기사를 기록할 때마다 사관은 다음과 같이 논평한다.
“싫으면 쓰지 않으면 될 것을 굳이 쓰면서 손적의 고사를 인용하면서 이름도 쓰지 않고 ‘수이강’이라고만 써서 기롱 폄하했으니…. 이 또한 정인길사(正人吉士·마음이 바르고 올곶은 선비)의 마음 씀씀이겠는가.”(<현종실록> 1668년 11월 27일)
“송시열이 너무 각박하게 (이경석을) 배척하니 논자들이 병처럼 여겼다.”(<현종실록> 1669년 4월14일)
결과적으로 ‘삼전도 비문’을 둘러싼 논쟁은 모두가 패배자인 상처 뿐인 전쟁으로 끝난 것이다.
'흔적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시 여인을 만지는 오바마 (0) | 2015.07.30 |
---|---|
김무성 대표의 큰절이 왜 과공비례인가 (2) | 2015.07.28 |
황성옛터와 궁예옛터 (0) | 2015.06.08 |
정조의 침실은 '재난 콘트롤타워' (0) | 2015.06.07 |
조선에 전깃불이 처음 켜진 날 (0) | 201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