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꽃병과 청자 대접…. 지금으로부터 132년 전 조선의 고종(재위 1863~1907)과 프랑스의 사디 카르디 대통령(재임 1876~1894년)이 한·프랑스 우호를 위해 주고받은 선물이 바로 백자 꽃병과 청자 대접이다. 양국 정상이 ‘도자기 외교’를 펼친 셈이다.
1888년 프랑스 사디 카르노 대통령이 수교 2주년을 맞아 조선의 고종에게 선물한 백자꽃병. 입지름이 53.2㎝, 높이가 62.1㎝의 대형 도자기다.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1886년(고종 23년) 조선과 수교를 맺은 프랑스가 조선의 문화재에 관심이 많은 빅토르 콜랑 드 플랑시(1863~1922)를 초대 주조공사로 임명한 것이 계기가 됐다. 프랑스 등 유럽사회에서는 당시만 해도 중국 도자에 열광했지만 조선 도자에 대한 관심은 전무했다. 그러나 플랑시 공사는 조선에 부임하자 마자 시대별·주제별로 조선 도자기를 수집했다. 플랑시 덕분에 프랑스에서 미술관(세브르 박물관)과 골동 중개인, 여행자들 사이에서 조선 도자기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급기야 프랑스 카르디 대통령은 1888년(고종 43년) 조선과의 수교 2주년을 맞아 프랑스산 도자기를 고종에게 선물하기로 결정했다. 봉헌 사실을 전해들은 고종은 매우 기뻐했다. 봉헌식은 1888년(고종 25년) 5월 매우 중요한 국가행사로 거행됐다. 이때 받은 선물이 프랑스 국립세브르도자기 제작소의 명품인 ‘클로디옹의 꽃병’과 ‘살라민의 꽃병’ 등이다.
1888년 조선의 왕에게 도자기를 보낸 국립세브르도자기제작소의 기록.|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이중 ‘살라민의 꽃병’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도자기 제작사인 프랑스 국립 세브르 도자기 제작소 현지 조사를 통해 이 꽃병이 카르디 대통령이 1888년 고종에게 선물한 도자기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 꽃병에는 ‘1878년 작품’이라는 제작연도가 표시돼 있다. 프랑스가 자랑하는 명품 도자기를 본 고종은 감탄사를 연발했다.
“나는 프랑스의 예술작품이 유명하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었지만 이처럼 아름다운 것은 처음 보았다. 그렇지만 당신네 나라가 생산한 도자기이기에 이렇게 훌륭한 도자기를 보고 놀라지는 않는다.”
받고만 있을 수 없었던 고종이 답례품으로 결정한 선물은 역시 고려청자 대접 두 점 등 조선 문화 유물이었다. 고종은 1888년 11월 쯤 플랑시 공사를 통해 선물을 전달했다. 플랑시는 “조선의 왕이 프랑스 대통령에게 다양한 선물을 보냈다”면서 “그중 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청자대접 두 점은 앵무새문양과 모란당초문이 시문 장식된 최상품”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카르디 대통령은 “고려청자의 소장처는 세브르박물관이 적당하다”는 플랑시의 권고를 수용했다. 그런데 고종이 카르디에게 보낸 선물은 청자 대접 2점 뿐이 아니었던 것 같다. “다양한 선물을 보냈다”는 플랑시의 언급이 그것을 말해준다.
고종이 카르디 프랑스 대통령에게 선물한 청자 대접. 12세기말 ~13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세브르박물관 소장
지난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해외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밝혀낸 유물이 바로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이 소장한 너비 24㎝, 폭 16㎝의 타원형 수반(水盤·물을 담아 꽃을 꽂거나 괴석 따위를 넣어 두는 그릇)이다. 수반에는 금가루로 뒤덮인 고목이 꽂혔고, 뻗어 나간 가지에는 얇은 나무판을 오려 초록빛으로 물들인 잎들이 달렸다. 고목 주위에는 옥을 깎아 만든 난초와 교질(미립자가 기체 또는 액체 중에 응집하거나 분산된 상태)로 만든 꽃이 보인다. 이 장식품은 카르디 대통령의 아들이 1954년 기메박물관에 기증했다.
문화재청 소속 국립고궁박물관은 소장품 중 근대기 서양에서 들어온 생활 유물들과 왕이나 관리 얼굴을 그린 왕실 회화 유물 등을 정리한 <서양식 생활유물>과 <궁중서화 Ⅱ> 등 2좀의 도록을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이 가운데 ‘살라민 꽃병’은 도록을 발간하면서 ‘대형 꽃무늬화병’으로 이름을 바꿨다.
신재근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도록발간을 위해 2016년부터 시작된 해외조사 과정에서 이 화병의 존재를 새롭게 밝혀냈다”고 전했다. <서양식 생활유물> 도록에서는 ‘대형 꽃무늬 화병’ 뿐 아니라 근대기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에서 썼던 서양식 식기와 장식용품, 욕실용품, 주방도구 등을 소개했다. 서양식 생활유물 중에는 식기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식기류 유물은 프랑스의 필리뷔나 일본의 노리다케와 같은 유명 도자기 회사에서 주로 제작되었다. 욕실용품이나 주방도구들은 영국, 독일, 스웨덴, 미국 제품 등이 다양하게 확인된다. 근대기 국제 교류 양상을 생생하게 확인해 볼 수 있다.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이 소장한 타원형 ‘수반’. 고종이 카르노 대통령에게 선물한 것이다. 너비 24㎝, 폭 16㎝의 타원형 수반(水盤·물을 담아 꽃을 꽂거나 괴석 따위를 넣어 두는 그릇)이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소장
<궁중서화 Ⅱ> 도록에서는 ‘태조어진’을 포함한 왕의 초상화인 어진이나 관리를 그린 초상화 등 왕실 회화를 묶어 정리했다. 이들 그림 중 상당수는 한국전쟁 당시 부산으로 옮겨졌다가 화재 피해를 입은 것들이다. 즉 1954년 12월26일 아침 부산 동광동 판자촌에서 일어난 불은 조선시대 임금의 초상화 및 친필글씨 등 4000여점의 유물을 보관하던 부산 국악원 건물로 삽시간에 옮겨붙었다. 이 화재로 4000여점 중 3500여점이 잿더미가 되었다. 반만 탔거나 재활용할 수 있는 유물은 단 546점에 불과했다.
이때 영조 어진(연잉군 시절 1점 포함) 2점, 철종 어진 1점, 익종(순조의 세자) 어진 1점, 그리고 초본 상태인 고종 어진 몇 점과 순종 어진 2점만 남게 됐다. 그것도 ‘철종 어진’처럼 남아있는 어진도 상당부분 불탔다. 이번 도록에는 화재 피해를 입은 어진 18점이 수록됐다. 이중 11점은 국립고궁박물관이 보존처리 과정을 마친 뒤 도록을 통해 처음으로 공개됐다.
지병목 국립고궁박물관장은 “지금 도록에 실린 서양식 식기와 욕실용품, 주방도구 일부는 박물관 ‘대한제국실’에서 상설전시하고 있다”면서 “어진 모사본과 ‘고종의 친형 이재면’의 초상화 등은 ‘조선의 국왕 전시실’에서 공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선임기자
'사래자 思來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보 잃어버린 매국노 아들의 한마디..."돈 안되는 어보 때문에 골프놀이 못해?" (2) | 2020.03.01 |
---|---|
왕조실록이 센가, 승정원일기가 최고인가…난형난제의 경쟁 (0) | 2020.02.26 |
정조의 친여동생 청연군주가 입은 명주저고리 복원됐다 (0) | 2020.02.04 |
짝퉁? 창조적 모방?…고구려풍 베낀 신라귀족 귀고리 포항서 발견 (0) | 2020.01.28 |
"1500년전 마을별 세금 할당량"…경산 소월리 출토 목간의 정체 (0) | 2020.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