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여동생 청연군주를 아십니까.’ 정조(재위 1776~1800)는 비정한 아버지(영조)의 명에 따라 뒤주에 갇혀 비명횡사한 사도세자(1735~1762)와 동갑내기 부인인 혜경궁 홍씨(1735~1815)의 아들이다. 그런 정조에게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두 살, 네 살 터울의 여동생이 둘 있었으니 청연군주(1754~1821)와 청선군주(1756~1802)이다. 할아버지인 영조 임금도 42살이 되어 낳은 아들(사도세자)이 본 손자(정조)와 손녀(청연·청선군주)가 얼마나 귀여웠을까.
정조의 여동생이자 사도세자의 딸인 청연군주가 입은 명주저고리. 국가민속문화재 53호이다.|세종대박물관 소장
<영조실록>은 “영조(1694~1776·재위 1724~1776)가 72살 때인 1765년(영조 41년) 4월 가뭄 끝에 내린 단비를 맞아 경기 지역을 돌고 돌아오던 길에 청연군주의 집을 찾았다”고 썼다. 그해 윤 2월 청연군주는 광산 김씨 가문인 김상익(1721~1781)의 아들 김두성(?~1811·훗날 김기성으로 개명)과 혼인해서 하가한 바 있다. 임금인 할아버지가 시집간지 두 달 된 손녀의 집을 찾을 정도로 귀여움을 독차지한 했다는 뜻이다. ‘군주(郡主)’는 왕세자(사도세자)의 적실녀에게 내린 외명부 정2품의 봉작이었다. 만약 왕세자의 서녀(庶女)라면 현주(縣主)라 해서 정3품의 봉작을 내린다.
1964년 경기 광주 세촌면 암동리의 청연군주와 김두성의 부부합장묘를 이장하던 중 150여점의 의복을 포함해서 모두 200여점에 이르는 부장품이 출토됐다. 이 부장품들은 훗날 국립중앙박물관과 단국대 석주선기념 박물관, 고려대박물관 등에 분산 소장됐다.
1906년 순종이 황태자 시절 동궁비(훗날 순정효황후가 입었던 원삼으로 추정되는 ‘동궁비 원삼’. |세종대박물관 제공
그런데 그렇게 흩어진 청연군주의 의복이 세종대박물관에도 소장되어 있었다. 그것이 국가민속문화재 53호인 ‘토황색 명주저고리’이다. 안보연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센터 연구사는 “세종대박물관 소장품이 청연군주의 복식이라는 명확한 기록은 없지만 세종대 박물관 소장품과 다른 기관의 청연군주 복식을 비교할 때 색상변화와 보존상태가 똑같다”고 밝혔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3일 “청연군주의 ‘명주저고리’ 외에도 조선말기 동궁비가 입었던 동궁비 원삼(국가민속문화재 제48호)과 전(傳) 왕비 당의(唐衣·예복·국가민속문화재 제103호), 고종의 후궁인 광화당 귀인 이씨(1885~1967년)의 원삼(圓衫·국가민속문화재 제52호) 등의 보존처리를 마쳤다”고 밝혔다. 문화재보존센터는 이러한 왕실복식 유물의 보존처리 전과정과 유물 소장 경위, 문화재관리 이력을 정리한 보고서(<직물보존 Ⅰ-Insight for Textile Conservation>)를 발간했다.
순종비의 것으로 추정되는 ‘전(傳) 왕비 당의’. 금사를 넣어 봉황을 시문한 직물을 사용했다.|세종대박물관 소장
이중 ‘동궁비 원삼’은 1906년 순종이 황태자 시절, 두 번째 가례인 병오가례를 올렸을 당시 동궁비(훗날 순정효황후·1894~1966년)가 입었던 원삼으로 추정된다, ‘전(傳) 왕비 당의’ 역시 순종비의 것으로 두 벌의 당의를 함께 끼워 만들었다. 모두 금사(金絲·금실)를 넣어 봉황을 시문한 직물을 사용했다. 오조룡보(五爪龍補)가 가슴, 등, 양 어깨에 달려있어 유물로서 가치가 높은 것들이다. ‘오조룡보’는 왕과 왕비의 옷에 덧붙인 원형의 장식품이다. 발톱이 다섯 개인 용을 수놓았다. 안보연 연구사는 “왕실 복식의 약한 부분을 보강하고, 구김과 직물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맞춤형 충전재를 직접 제작하여 복원했다”고 덧붙였다.
순종비의 것으로 추정되는 ‘전(傳) 왕비 당의’. 금사를 넣어 봉황을 시문한 직물을 사용했다.|세종대박물관 소장
또한 이번 보고서에는 복원과정 전체와 왕실 복식 연구의 핵심이 되는 금사(金絲, 금실)의 성분 분석 결과를 담았다. 이밖에 명부(命婦·봉작받은 부인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예복인 ‘원삼’의 금(金) 장식 문양의 형성 배경에 대한 전문가 논고와 함께, 부록으로 미국 브루클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삼과 당의, 활옷을 조사한 내용도 실었다. 이번 보고서는 특히 상세한 사진을 통해 국내외 전문가가 참고할 수 있도록 국문과 함께 영문 설명을 기술해 왕실 복식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경향신문 선임기자
'사래자 思來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조실록이 센가, 승정원일기가 최고인가…난형난제의 경쟁 (0) | 2020.02.26 |
---|---|
132년전의 '도자기 외교'…백자와 청자를 주고받은 프랑스 대통령과 고종 임금 (0) | 2020.02.10 |
짝퉁? 창조적 모방?…고구려풍 베낀 신라귀족 귀고리 포항서 발견 (0) | 2020.01.28 |
"1500년전 마을별 세금 할당량"…경산 소월리 출토 목간의 정체 (0) | 2020.01.20 |
한성-웅진-사비에 이어 또하나의 '익산백제'도 있다-3만점 유물 모은 국립익산박물관 개관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