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312)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무대야, 양동이에서 삼립빵봉지까지…무자비한 가야고분 도굴 흔적 ‘빨간 고무대야와 고무양동이, 그리고 삼립빵 봉지까지….’ 28일 경남 창녕 교동·송현동 고분군 내에서 도굴의 화를 입지않은 63호분 덮개돌 개방행사를 현장취재하던 기자의 눈을 찌푸리게 한 장면이 있었다.제비뽑기로 TV 기자들을 위한 공개가 시작돼 신문기자들은 차례를 기다리던 차에 63호분 위에 조성된 39호분 발굴성과를 양숙자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으로부터 듣고 있었다. 5세기 후반 무덤으로 보이는 39호분은 교동·송현동 고분 250여기 중 세번째로 규모가 큰 무덤이다.창녕 교동 송현동 고분군 중 39호분애서 눈에 띈 빨간 고무대야와 고무양동이….무자비한 도굴으 흔적이다.창녕|이기환 선임기자 450~500년 사이 가야연맹의 소국 중 하나인 비화가야를 다스린 39호분의 주인공은 약 50년 가량 .. 1500년 만에 뜯어낸 미도굴 가야고분…유물이 와르르 지난달 20일 경남 창녕 교동·송현동 고분군 중에서 63호분의 덮개돌을 확인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발굴단원의 심장이 떨렸다. 무덤을 밀봉한 점질토, 그리고 그 점질토를 걷어내자 길이 2m의 평평한 돌 7개가 무덤을 덮고 있었다. 어떤 도굴구덩이도 보이지 않았다. 짐작은 했지만 과연 1500년 이상 도굴의 화를 입지않은 싱싱한 고분이 분명했다.28일 현장공개한 창녕 교동 송현동 고분 63호분 모습. 덮개돌을 들어올리자 토기류와 무구류, 피장자와 순장자 공간이 드러났다. 1500년만에 드러난 생생한 현장이다. 창녕|권도현 기자 “우선 휴대폰으로 무덤 내부를 들여다 봅시다.” 7개의 덮개돌 사이를 메워놓은 잔돌들을 걷어내자 틈이 생겼고, 그 틈 사이로 휴대폰을 밀어넣어 사진을 연신 찍어댔다.“무덤 안은 어두웠.. 꿈 속에까지 나타난 '충주 고구려비'…"영락 7년(397년) 명문 읽어냈다" ‘영락7년세재정유(永樂七年歲在丁酉)’ 1979년 충북 중원(충주)에서 발견된 충주 고구려비(국보 제205호)는 고구려 광개토대왕 시대에 세운 제2의 광개토대왕비라는 근거자료가 제시됐다. 고광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충주고구려비 발견 40주년을 맞아 지난 22일 동북아역사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린 고구려비 학술회의 발표문(‘충주 고구려비 판독문 재검토’)애서 “충주 고구려비문을 최첨단 기법, 즉 3D 스캐닝 데이터와 RTI 촬영으로 판독한 결과 맨 첫머리 제액에서 ‘397년(광개토대왕 영락 7년)’을 의미하는 연호(영락 7년) 등 8자를 읽어냈다”고 밝혔다. 고광의 연구위원이 읽어낸 글자들. 영락 7년, 즉 397년 광개토대왕 7년에 일어난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동북아역사재단 제공■대박사는 안오고 소박사.. '가공인물 아니다' 선화공주를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이유 필자는 10년 전인 2009년 1월 19일에 벌어진 ‘난리법석’을 잊을 수 없다. ‘미륵사, 선화공주와 무관하다’ ‘백제 무왕의 왕후 사택씨가 창건’ ‘서동요 설화 재검토 필요’ 등이 신문 제목으로 쏟아진 날이니 말이다. 그럴 만도 했다. 그 날 ‘미륵사지 서석탑(국보 제11호)의 해체 보수과정에서 석탑의 조성 이력을 밝히는 명문 금제사리봉안기가 확인됐다’는 제목으로 전해진 전북 익산 미륵사발 발굴자료는 두 눈을 의심케했다.“백제 왕후인…좌평 사택적덕의 딸이…깨끗한 재물을 희사해서 가람을 세우시고…기해년(639년) 정월 29일 사리를 받들어 맞이했다.”2009년 미륵사 서탑에서 나온 명문사리기. 서탑을 조성한 이가 좌평 사택적덕의 딸이자 백제왕후인 ‘사택씨’였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에 등장하는 ‘서동.. 1500년전 영산강 유역을 다스린 40대 여성, 그녀는 누구인가 영산강 유역인 전남 나주의 다시면 복암리 너른 들에는 흥미로운 고분이 늘어서 있다. 예전에는 칠조산(七造山)이라고 해서 고분이 7기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3기는 1960~70년대 경지정리로 삭평되어 이제 4기만 남았다.1995년 이른바 복암리 고분 가운데 3호분에 대한 복원계획이 수립되어 발굴이 시작됐다. 3호분은 어느 종가의 선산이었는데, 주변 경작으로 계속 봉분 유실되자 복원계획을 세운 것이다. 영산강유역을 다스린 40대 여성 지도자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위). 신발 안에는 사람의 발뼈(사진 아래의 왼쪽)와 파리 번데기 껍질(오른쪽)이 보였다. ■도굴되지 않은 싱싱한 고분그런데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만 하던 중 심상치않은 일들이 벌어졌다. 무덤 주위를 두른 주구(周溝·묘역을 구분하거나 배수, 혹.. ②66쪽 중 18쪽 없는 <훈민정음 상주본>, <간송본>과의 비교? 어림없는 소리다 ‘훈민정음 상주본의 가치가 1조원? 어림없는 소리다.’ 언젠가부터 2008년 경북 상주에서 확인된 (이하 )의 가치가 1조원이라는 수식어가 늘 붙어다닌다. 그러나 이 상주본을 직접 봤거나 깊게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어림도 없는 소리”라고 고개를 내젓는다. 어떤 이는 “이 과연 문화재적인 가치가 있는지 의심스랍다”고까지 한다. 그렇다면 왜 ‘=1조원’이라는 수식어가 붙었고, 왜 전문가들은 ‘문화유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보고 있는 것일까. 2008년 나타난 . 총 66쪽 가운데 18쪽이 없어서 ‘불완전한 진본’이라 평가된다. 66쪽 중 4쪽이 없는 과는 비교가 안된다는 것이다.|경향신문 자료사진 ■출현하자 마자 소유권 분쟁때는 바야흐로 이 출현한지(1940년) 68년 만인 2008년 7월 30일 엄청난.. ①'반갑도다! 훈민정음의 나타남이여!' <간송본>의 출현에 외솔의 외침 최근 문화재위원회는 (간송본)을 보관할 간송미술관 보호각의 청사진을 조건부 가결했다. 2021년 완공될 보호각에 들어설 문화유산은 국보 12건, 보물 32건, 시도지정문화재 4건 등이다. 이중 최고의 문화유산은 뭐니뭐니해도 간송 전형필(1906~1962)이 일제강점기인 1940년 우여곡절 끝에 확보한 국보 제70호인 이다. 보호각 설립 계획안의 가결을 계기로 훈민정음 해례본의 가치를 알아보고 최근 말썽을 빚고 있는 과 을 2회에 걸쳐 비교해보고자 한다. ①은 간송본의 출현에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가 “반갑도다!”라 감탄사를 외친 이유, ②는 과 과의 비교가 어림없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어찌 뜻하였으랴. 수개월전 (훈민정음) 원본(이하 해례본)은 경북의 어떤 고가에서 발견되어 시내 모씨의 소유로.. "너의 목덜미가 좋고' 천재시인 이상이 썼다는 연서는 여성이 여성에게 보낸 편지였다 “나는 진정 네가 조타(좋다). 웬일인지 모루겟다(모르겠다). 네 적은 입이 조코 목들미(목덜미)가 조코 볼따구니도 조타….” 2014년 7월 제목만으로도 단박에 주목을 끄는 기사가 보도됐다. 당시 25살이던 이상(1910~1937)이 당시 23살 소설가였던 최정희(1912~1990)에게 보냈다는 핑크빛 연서였다.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을 이끈 시인이자 소설가 이상(1910~1937)이 23살 젊은 이혼녀이자 동료소설가에게 보낸 러브레터가 처음 발견됐다’는 것도 핫뉴스일텐데, ‘네 입과 목덜미까지 좋다’는 편지 내용까지 일거에 대중의 시선을 빼앗을만한 소식이었다, 이상이 최정희에게 보낸 연서로 소개된 편지. 그러나 편지 끝부분의 서명이 ‘이상(李箱)’이라 했지만 이상이 아니라 이제(李弟)이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