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73)
“꽃에 미친 ‘김 군’, 18세기 화폭에 꽃박람회 펼친 그 화가” 화폭 위 꽃박람회 최근 공개된 ‘꽃 두루마리’ 그림. 괴석과 함께 16종류의 사철 꽃이 표현되어 있다. 꽃박람회 같은 느낌이다. |기계 유씨 후손 소장·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제공 “표암(강세황)의 화제(畵題·그림 위에 쓴 시와 글)가 있습니다. 한번 보십시오.” 얼마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이 ‘조선시대 꽃그림 전시’를 위해 정은진 영남대 교수(한문교육과)에게 두루마리 그림(기계 유씨 후손 소장)의 검토를 의뢰했다. 가로 4m80, 세로 75㎝인 비단 위에 그린 꽃그림이었다. 그림 위에 표암 강세황(1713~1791)과 단원 김홍도(1745~1806?)의 아들인 긍원 김양기(1792?~1842?)의 글이 쓰여 있었다. 당대 예술계의 대부였던 ‘표암’의 글이 있었기에 표암 연구자인 정은진 교수가 작품을 검토..
‘죽어도 못보내!", "원한다면 보내!"…문화재 수출논쟁 ‘죽어도 못 보내. 내가 어떻게 널 보내…’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남성 4인조 그룹인 2AM이 2010년 발표했으니 벌써 13년 된 곡입니다. 뜬금없이 웬 노래로 시작하느냐고 할테지만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한국 문화유산의 해외 전시 및 수출을 생각하면 자연스레 이 노래가 떠오르기 때문이죠. ■‘죽어도 못보낼 문화재’ 단적인 예가 있습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축구대회를 기념하는 ‘한·일 문화재상호 국보전’이 개최될 예정이었는데요. 그때 문화재위원회가 출품 예정이었던 ‘백제 금동대향로’(국보)와 ‘영조 어진’(보물)의 반출을 불허했습니다. “백제 예술의 정수인 금동대향로를 내보낼 필요가 없고, 일왕의 유물이 해외에 나가지 않는데 굳이 영조의 초상화가 해외에, 그것도 일본에 출품될 이유도 없다”고..
‘조선은 똥!덩!어!리!’...박제가는 왜 ‘중국어공용론’까지 설파했을까 ‘대련(對聯)’이라는 서예의 형식이 있습니다. 새해 맞이나 집안의 경조사, 장수축하 등을 알리는 글귀를 한 쌍으로 만들어 문기둥이나 문짝에 붙이는 것을 뜻합니다. 중국에서는 명·청 시대를 거치면서 대중화했답니다. 조선의 ‘대련’은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작품이 유명하죠. 이 ‘대련’을 조선에 처음 도입한 이가 바로 초정 박제가(1750~1805)로 알려져 있는데요. 초정은 북학파 실학자로 유명하지만 뛰어난 문장가이자 시·서·화로도 명성을 떨친 분입니다. 하지만 정작 초정이 도입했다는 ‘대련’ 글씨는 거의 찾을 수 없었습니다. ■첫 공개된 ‘박차수=박제가’의 서예 그런데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가 눈이 번쩍 뜨이는 작품(개인 소장)을 저에게 보여주었는데요. 그것은 박제가의 직함과..
'폭군' 궁예 ‘끌고가 도륙하라’했다”…1100년전 비석 탁본 읽어보니 전남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탁본. 불교중앙박물관이 뜬 선명한 탁본을 판독한 결과 대봉국왕 궁예가 선각대사를 직접 국문하고 무참하게 실해하는 내용이 생생하게 실려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불교중앙박물관 제공·하일식 연세대 교수 판독 ‘불변(不變)의 기록, 10년의 두드림’. 얼마전 문화재청과 불교중앙박물관이 개최한 학술대회의 명칭이다. 대체 무엇이 ‘불변의 기록’이고, 또 무엇을 ‘10년간 두드렸다’는 걸까. ‘불변의 기록’이란 금속이나 돌로 만든 유물에 새겨(써) 넣은 명문(글씨)인 ‘금석문’을 가리킨다. 이 금석문은 당대 사람들이 직접 남긴 생생 기록물이라는 점에서 필설로 다할 수 없는 1차 사료의 가치를 갖는다. ‘두드림’은 ‘탁본’을 뜻한다. 비면에 종이를 대고 그 위에 먹 방망이를 톡톡 두들겨..
"700년전 침몰한 신안보물선…수출금지품 800만개 실은 밀수선" 30, 50, 70, 700, 900, 1500. 무슨 숫자조합일까요. 올해(2023년)에 유독 많이 붙은 ‘~주년’의 수식어입니다. 백제금동대향로 발굴 30주년과, 천마총 발굴 50주년이고요.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입니다. 을 쓴 송나라 사신 서긍의 고려 방문(1123년) 900주년이 됩니다. 백제 무령왕의 장례식(523년)이 거행된지 1500주년이고요. 그런데 얼마 전에 올해가 또하나의 ‘~주년’이었다는 사실을 알린 행사가 열렸더라고요. 그것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신안 보물선’이 1323년(충숙왕 10) 원나라 경원(저장성 닝보·浙江省 寧波)을 출발한 지 700주년이 된 해라는 겁니다. 얼마전(11일) 고려대에서 ‘신안선 출항 700주년 국제 심포지엄’이 열렸답니다. 새삼 ‘신안 보물선’ 인양 ..
'고려판 세종대왕'이었던 현종…도무지 비판거리가 '1'도 없었다 '고려판 세종대왕’, ‘도무지 비판할 거리를 찾을 수 없는 군주’…. 아니 고려 역사에 이런 임금이 계셨단 말입니까. 그렇습니다. 제가 붙인 수사가 아니구요. 에 분명하게 나오는 표현이구요. 고려의 뒤를 이은 조선조에서도 “국난에 빠진 고려를 중흥시킨 영명한 군주”라며 롤모델로 삼은 분입니다. 올해들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분이죠. 바로 고려 현종(992~1031, 재위 1009~1031)입니다. 시쳇말로 ‘비판할 거리가 1도 없는 고려판 세종대왕’이라는 극찬을 받고 있습니다. 마침 KBS 대하 드라마인 ‘고려·거란전쟁’이 바로 이 고려 현종시대를 다루고 있는데요. 역사적인 사실에 입각한 정통사극이어서 저도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드라마’ 말고요. 고려는 이후 오로지 현종의 후손이 고려 왕계를..
‘대방태수 장무이’…식민사관의 악령을 일깨운 인물이다. 그러나… ‘장무이(張撫夷)’라는 인물이 있다. 1700여년전 황해도 사리원에서 살았던 사람이다. 그런데 그가 일제강점기 잠자고 있던 ‘식민사학의 악령을 깨운 인물’로 지목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이가 드물다. 물론 ‘장무이’ 본인은 그런 누명을 뒤집어쓸 줄 상상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마침 열린 최근 제47회 한국고고학대회에서 ‘장무이묘’를 주제로 최신 연구성과가 발표되었다. 이 참에 ‘장무이’와 ‘장무이묘’와 관련된 사연을 풀어보고자 한다. 세키노 다다시가 1911년 황해도 봉산군 문정면 태봉리(현 구봉리)에서 발견한 ‘장무이묘’. ‘대방태수 장무이’ 가 새겨진 벽돌이 여러점 쏟아져 나왔다.|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대동강변에서 확인된 벽돌무덤의 정체 1909년 10월의 평양 대동강변으로 시공간을 옮겨보자. 당시 통감..
지독한 ‘빨간펜 정신’…‘역신의 수괴가 편찬한' 실록도 버리지 않았다 “‘빨간펜(주묵사) 정신’을 잊지 마세요.” 강원 평창에 설립된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에 ‘오대산 사고본 실록과 의궤’가 상설 전시된다는 자료를 받고 단박에 ‘빨간펜’이 떠올랐습니다. 우선 ‘오대산 사고본’ 실록이 뭔지 잠깐 소개해보죠. 실록은 태조~철종까지 25대 472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일어난 순서대로 서술하는 방식)로 기록한 책이죠. 책은 춘추관(서울)·정족산(강화)·태백산(봉화)·적상산(무주)·오대산(평창) 등 ‘5대 사고’에 한 부씩 보관했습니다. 이중 오대산 사고본은 1913년 일본 도쿄대(東京大)로 반출됐다가 1923년 간토(關東) 대지진으로 대부분 불타 없어졌고요. 용케 살아남은 75책(···)이 국립조선왕조실록 박물관에 상설 전시된 겁니다. ■‘빨간펜’(붉은 먹글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