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사람들은 악기 하나, 노래 하나에도 심원한 뜻을 새겼다.
삼국사기 잡지 ‘악(樂)’편에서 현금(玄琴·거문고)을 설명한 내용을 보자.
“금의 길이 석자 여섯 치 여섯 푼은 366일을 상징하는 것이고, 너비 여섯 치는 천지와 사방을 뜻하며 위가 둥글고 아래가 네모난 것은 하늘과 땅을 본받은 것이다.”
가야금도 마찬가지. “가야금은 중국 악부의 쟁(箏)을 본떠 만들었는데, 열두 줄은 사시(四時), 기둥의 높이 3촌은 삼재(三才), 즉 天·地·人을 뜻하는 것이다.”
가야국 악사인 우륵이 가실왕의 명을 받아 12곡을 지었다. 그 후 우륵은 가야가 어지럽게 되자 신라(진흥왕)에 투항했다.
진흥왕은 주지·계고·만덕을 보내 우륵의 업을 전수받게 했다. 그런데 세 사람이 우륵의 12곡을 전해 듣고는 “이것은 번잡하고 음란하니, 바르다고 할 수 없다”며 5곡으로 축약했다. 처음에는 분기탱천했던 우륵은 5곡을 듣고는 눈물을 흘리며 탄식했다.
“즐거우면서도 무절제하지 않고 슬프면서도 비통하지 않으니 바르다고 할만 하다. 너희는 왕 앞에서 그것을 연주하라.”
왕이 기뻐하자 신하들이 간언했다.
“이것은 가야에서 나라를 망친 음악이니 취하면 안됩니다.”
이는 음악을 나라의 흥망과 연결시킨 옛 사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훗날 "(동이족이 세운) 은나라 사람이었다"고 고백한 공자 역시 동이족 출신 답게 음주가무에 능했다.
공자는 시쳇말로 ‘만능 뮤지션’이었다. 거문고를 뜯고, 경(磬·돌이나 옥조각으로 만든 타악기)도 치며, 노래도 잘 불렀으니까. 공자왈.
“감정이 소리에 나타나 그 소리가 율려(律呂)를 이루게 되면 그것을 가락이라고 한다. 다스려진 세상의 가락은 편안하고 즐겁고 화평하지만 어지러운 세상의 가락은 슬프고 시름겹고 그 백성은 고달프다.”
공자가 거문고를 배울 때의 일. 거문고 선생인 사양자(師襄子)가 5번을 가르치고, 그 때마다 “이제 됐으니 새로운 것을 배우라”고 했지만 공자는 “아직 때가 아니다”라며 고개를 내저었다. 한참 뒤에야 공자가 말했다.
“이제 노래를 지은 이의 풍모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심오한 사상, 낙관적 성격, 원대한 안목을 가진 사람이니 분명 이 곡을 지은 이는 주(周)나라 문왕(文王)일 것입니다.”
사양자가 감탄했다.
“맞습니다. 우리가 학습한 것이 바로 ‘문왕조(文王操)’입니다.”
자신을 알아주지 않은 세태에 괴로워하던 공자가 경을 연주하고 있었다. 그러자 밖에서 듣고 있던 사람이 말했다.
“깊은 생각에 빠졌구나. 경을 연주하는 이여. 세상에 자기를 알아주는 이가 없으면 그것으로 그만이지.”
1992년 광주 신창동 유적에서 악기 한 점이 출토됐다. 현악기였다.
우선 이 현악기가 경산 임당 목관묘에서 나온 길이 67㎝, 너비 27㎝인 악기와 크기는 다소 다르지만 모양새는 거의 똑같다. 신창동 현악기는 10현(絃)으로 복원되며 전체길이 77.2㎝, 너비 28.4㎝이다.
이런 형태의 악기가 기원 전 후에 한반도 남부에서만 유행했을 것이 분명하다. 당시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사였던 조현종은 "이 악기의 이름을 우리만의 독특한 한금(韓琴)으로 붙이면 어떨까 싶다”고 말했다.
출토된 악기도 단순한 음주가무를 즐기기 위한 도구는 아니었을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낸 이건무는 "옛 기록 등으로 미뤄보아 당대 지역 수장이 단순한 악기 이상의 기능을 담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리와 곡조는 정확해야 하는 데 이는 지배자의 엄격한 영(令)과 통할 수 있다는 것. 그는 “악기에는 음률이 있듯, 권력자가 지역을 다스릴 때 규율과 법률을 필요로 하지 않느냐”면서 악기와 통치기법의 관련성을 환기시켰다.
공자에 따르면 음란하고 말초적인 요즘의 음악은 나라를 어지럽히고 백성을 고단하게 만드는 말세의 음악인 것이다. 경향신문 논설위원
'흔적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시황 시대 '개그콘서트'와 김제동 (2) | 2016.10.21 |
---|---|
히틀러 생가와 중앙청 철거 (0) | 2016.10.19 |
얼음창고에 27개월간 안치된 백제왕비 (0) | 2016.09.30 |
무령왕릉 발굴, 고대사의 블랙박스를 열었지만… (0) | 2016.09.22 |
'밀정' 속 독립투사 김시현의 이승만 암살미수 사건 (35) | 2016.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