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삶

서라벌 인구가 100만…삼국유사는 사실일까- 이기봉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대도시 경주의 탄생…이기봉|푸른역사

“신라의 전성기엔 경중(京中)에 17만8936호, 1360방, 55리와 35개의 금입택(金入宅)이 있었다.”(삼국유사 진한조)
가구당 5~6명이 살았다치면 전성기 신라의 왕경엔 90만~120만명에 이르는 인구가 살았다는 얘기다.

하지만 그렇게 믿는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말이 나왔으니까 망정이지 우리 고대사를 복원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같은 엄연한 기록을 ‘그럴 리 없다’고 폄훼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조선의 한양도 기껏해야 4만~5만명이 살고 있었는데, 신라에 무슨 90만명이냐는 것이었다. 연구자들은 암묵적으로 신라전체의 인구를 250만명(50만~60만호)으로 추산해왔다. 그렇다면 전체인구의 30~36%가 왕경에 살았다는데 어불성설이라는 것이었다.

과연 그럴까. 지리학자인 저자는 별다른 근거도 없이 중국측 자료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만을 신봉하는 자세를 못마땅하게 여긴다. 저자는 묻는다.

“그렇다면 일본 에도시대에 도쿄인구가 100만명이 넘었다는 것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조선시대 한양인구도 얼마 안되는데 하물며 신라왕경이 100만명이 넘었을까 하는 아주 단세포적인 선입견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고대~현재, 서양~동양에 이르기까지의 인구변천과정을 열거하면서 신라의 인구수를 파악한다. 결론은 신라 전성기때의 전체인구는 114만호, 약 570만명. 그렇다면 이 많은 인구가 어떻게 살았을까. 저자는 발로 뛰기 시작한다.

울산~경주를 통한 식량조달시스템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 금성은 대릉원 일대의 남쪽에 있었다는 결론을 내린 것,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분석한 신라의 전투상황을 복원한다. 전성기 신라를 읽으려면 왕경인 경주를 보아야 하기에 왕경의 탄생과 사회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탐구했다. 지리학과 역사학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보면 이 연구서는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평가할 수 있겠다.

1만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