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26)
(16) 청주 신봉동 유적 下 ㆍ철강제국 백제를 낳은 鐵기술의 산실 “속이 확 트이네.” 햇살이 따가웠던 9월. 청주 신봉동 유적을 떠난 조유전 관장(토지박물관)과 기자는 차용걸 교수(충북대)와 함께 북쪽 평야지대를 달렸다. 한 3㎞쯤 시원한 바람을 맞고 달렸을까. 눈길을 왼쪽으로 돌리는 순간 차 교수가 외친다. “저기가 바로 정북동 토성입니다.” 이런 곳에 토성이라니. 금강 최대의 지류인 미호천과 무심천이 합류하는 이른바 까치내의 상류 너른 평야지대에 조금은 생뚱맞은 자세, 즉 사각형 형태로 조성된 평지토성이다. 강(미호천)과 접해 있고, 조성된 해자(垓子)와 입지조건…. 청주에 있는 풍납토성 성을 둘러보던 기자는 왠지 소름이 돋는다. “이거 풍납토성, 육계토성과 비슷한 입지가 아닌가요?” 한강변에 붙어있는 풍납토성은 물론, 임진강..
(15)청주 신봉동 유적 上 ㆍ도굴로 짓밟힌 무덤서 만난 ‘철강강국 백제’ “허허, 술 덕분이네.” “말하자면 그렇습니다.” 조유전 관장(토지박물관)과 차용걸 교수(충북대)가 껄껄 웃는다. 두 사람은 1982년의 일을 떠올리는 것이다. 한성백제의 최전성기 때 조성된 청주 신봉동 유적 발굴현장. 도굴의 참화 속에서도 백제 철기군의 위용을 엿볼 수 있는 철제 무기류가 대거 출토됐다. | 충북대박물관 제공 ‘숙취 덕분에’ 발견해낸 백제의 역사 그해, 그러니까 1982년 3월21일 일요일 아침. 차용걸 교수의 머리가 지끈지끈했다. 속도 영 메스꺼웠다. 전날 마신 술이 덜 깼기 때문이었다. 대학(충남대 사학과) 동창생인 심정보(한밭대 교수)·성하규(대전여상 교사) 등과 청주지역 답사에 나서기로 한 날. “원래는 청주 상당산성(백제시대 때 초..
(14)국보 205호 중원고구려비 下 중원 | 이기환선임기자 ㆍ돌에 새겨진 “신라는 고구려의 속국이었다” “옛 기록을 보면 의미심장한 일화가 많아요.” 조유전 관장(토지박물관)이 빛바랜 책을 하나 건넨다. 1979년 중원고구려비 발견 직후 단국대가 만든 학술지 ‘사학지(史學志) 제13집’이다. 당대를 풍미했던 학계원로들의 발표논문이 수록돼 있다. 30년 남짓 지난 지금, 당시의 논문들을 능가할 만한 연구가 진전되고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기자의 눈에 띈 것은 1979년 6월9일 7시간 동안 펼쳐진 중원고구려비 학술좌담회 내용이다. 충북 충주시 가금면 입석마을의 중원 고구려비 전각. 관광객들이 국내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비를 살펴보고 있다. “대박사는 없고 소박사만 왔나봐” 이병도·이기백·변태섭·임창순·김철준·김광수·진홍섭·최영희·황수영..
(13) 국보 205호 중원 고구려비 上 중원 | 이기환 선임기자 lkh@kyungh ㆍ향토사학회가 발견한 ‘충청도의 광개토대왕비’ “중원 고구려비를 말할 때 절대 잊어서는 안될 사람들이 있어요.” 조유전 토지박물관장이 지목한 사람들은 바로 ‘예성동호회’라는 향토연구회 사람들이다. “이 분들이 아니었다면 그 중요한 국보(중원 고구려비·국보 205호)와 보물(봉황리마애불상군·보물 1401호)을 찾지 못했을 거야. 그뿐인가. 고려 광종이 954년 어머니 신명순성왕후를 기려 지은 숭선사의 위치를 알려주는 명문도 확인했잖아.” 예성동호회라. 이 모임은 1978년 당시 충주지청 유창종 검사와 장준식 현 충청대 교수 등이 만들었다. ■ 예성동호회의 개가 당시에는 문화재 축에도 끼지 못했던 기와를 주우러 다녔고, 모임의 이름도 없었다. 그러나 1979년 9..
(12)발끝에 걸린 신라 적성비 ㆍ1500년전 사회상 오롯이 담긴 진흥왕의 포고문 1978년 1월6일. 정영호 교수가 이끄는 단국대조사단이 충북 단양을 찾았다. 온달의 유적을 찾고, 죽령을 중심으로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를 밝히는 학술조사를 벌이기 위함이었다. 조사단이 찾아가려고 한 곳은 단양 읍내 뒷산인 성재산(해발 323m·적성산성)이었다. 신발 흙을 털다가 발견한 단양 신라적성비(국보 제198호). 진흥왕 때 죽령을 넘어 국력을 신장시킨 6세기 중반의 역사를 웅변해준다. 유명한 이사부와 무력(김유신의 할아버지)의 이름이 확인되고, 거칠부로 추정되는 인물의 이름과 직책도 보인다. 단양 | 이기환 선임기자 오후 2시. 조사단은 간밤에 내린 눈이 하얗게 뒤덮은 산에 올랐다. 정영호 교수의 회고담. “성 안에는 옛날 식의 기와편과 토기편이..
(11)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의 청동기마을 ㆍ흐르는 강물따라 문명이 어우러지다 “무릇 나흘을 걸었는데도 하늘과 해를 볼 수 없도다.” 택리지(擇里志)를 쓴 이중환(1690~1756년)은 강원도 정선 땅을 걸으면서 혀를 내둘렀다. 요즘에야 도로가 뻥 뚫려 있지만 예전에는 “산 첩첩 하늘 한 뼘”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두메산골이었다. 아우라지 고인돌에서 청동기시대 인골이 출토되는 모습이다. 서양인의 염기서열을 지닌 인골이라 해서 주목을 끌었지만, 아직은 정확한 분석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다. ■ ‘산 첩첩 하늘 한 뼘’ 이고 산 사람들 비가 부슬부슬 내리던 7월 어느 날. 기자는 조유전 토지박물관장, 이재 한국국방문화재연구원장 등과 함께 아우라지를 찾았다. 아우라지라. 태백산에서 출발, 정선 임계 쪽으로 굽이치는 골지천과, 평창 발왕산에서 발원한 물..
서울시의 무지와 안하무인' “이렇게 안하무인일 수가….” 26일 문화재위원회 사적 및 근대문화유산 분과회의가 열린 국립고궁박물관 회의실. 백발이 성성한 문화재위원들이 서울시의 시청사 철거 사실에 입을 모아 분노했다. 문화유산 정책을 담당하는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기자에게 짙은 절망감을 뱉어냈다. “이거 정말 못해먹을 노릇이네요.” 특히 이날 문화재위원회가 사적 가지정 결정을 내리자 김효수 서울시 주택국장은 “문화재위원회가 일부 강경 세력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고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발언했다. 이 대목에 이르자 문화재위원들은 귀를 의심했다. “정말입니까? 21명이나 되는 문화재위원들이 만장일치로 결정 내린 것인데 우리를 두고 일부 강경세력 운운했다고요?” 어떤 사안이 벌어질 때마다 편을 가르고 좌우·흑백논리로 ‘무슨 세력 운..
(10)나주 복암리 下 - 마한의 수수께끼 결국 마한은 8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유지해온 고대국가라는 말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백제와는 다른 문화를 유지했다고 백제와는 전혀 다른 정치체, 즉 고대국가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백제라는 존재는 무엇인가. 800년간이나 정치체를 유지했다면 왜 마한과 관련된 역사기록은 없을까.’ 차근차근 풀어보자. 마한에 대한 기존의 통설을 살펴보자. ■ 마한의 역사가 800년이라고? “마한은 BC 2세기 무렵 한반도 중서부에 자리잡았다. 그런데 백제가 고대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점차 흡수됐으며, 4세기 후반에는 영산강 유역에 남아있던 잔여세력까지도 백제에 통합되었다.” 이 통설은 두계 이병도가 일본서기에 나온 반설화적 기록을 해석한 이후 구축됐다. “(왜가) 침미다례(枕彌多禮·전남 지방의 마한 소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