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77) 썸네일형 리스트형 닭의 항변, ‘닭대가리를 모독하지 마라’ 흔히 머리 나쁜 사람을 흔히 ‘새대가리’ ‘닭대가리’라 놀립니다. 서양인들도 ‘Birdbrain’이라 손가락질 합니다. 그러나 한가지 아셔야 합니다. 적어도 한국인들이 새와 닭을 폄훼한다면 그것은 누워 침뱉기격이라는 사실을…. 생각해보십시요. 혁거세(신라)·주몽(고구려)·수로(가야) 등이 모두 난생신화의 주인공들이 아닙니까. 따지고보면 동이계는 원래 새를 숭상하는 종족이었습니다. 닭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박혁거세가 태어난 우물이 바로 계정(鷄井·나정)이고, 부인 알영은 같은 날 계룡(鷄龍)의 왼쪽 갈비에서 태어났습니다. 알영의 입술은 닭부리 같았답니다. 경주 김씨를 비롯한 신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는 어떻습니까. 김알지가 태어난 숲에서 흰닭의 울음소리가 들렸습니다. 그래서 신라를 닭의 .. 왕릉의 저주, "잠을 깨우는 자는 죽으리라" 1973년 여름 경주 천마총을 한창 발굴하고 있을 때였다. 전국이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고 민심마저 흉흉했다. 경주에서는 멀쩡한 신라왕릉을 발굴하는 바람에 하늘이 노했다는 유언비어가 돌았다. 그 때문에 비가 내리지 않고 가뭄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급기야 경주 김씨 종친회 노인들이 발굴현장을 방문해 발굴조사를 중단하라고 법석을 떨었다. 어떤 노인은 현장에 드러누웠다. 시민들 사이에는 “데모라도 해서 발굴을 막자”는 여론도 비등했다. 왕릉을 발굴하면 액이 따른다는 속설 때문이었다. 그러던 7월26일 오후 왕릉의 흙더미 사이에서 눈부신 금빛유물이 나타났다. 1,500여 년간의 긴 잠을 깬 순금제 신라금관이 자태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런데 기괴한 일이 벌어졌다. 1973년 7월26일 출토된 천마총 금관... 김기춘의 파부침주와 허균의 유민가외 ‘근검협동(勤儉協同) 총화유신(總和維新)’. 1974년 1월 1일자 신문에 실린 박정희 대통령의 신년휘호다. 한해의 국정방향을 사자성어로 정리한 대통령의 각오가 담겨있다. 그런데 바로 신년휘호 사진 옆의 대통령 신년사 기사가 살풍경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유신체제를 부정하는 일체의 불온한 언동과 개헌서명운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엄중히 경고한다’는 신년사가 떡하니 실렸다. 1974년 1월1일자 매일경제 1면.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근검협동, 총화유신'이라는 신년휘호를 남겼다. 한편으로는 "유신체제를 부정하는 일체의 불온한 언동과, 이른바 개헌청원서명운동을 즉각 중지하라'고 경고했다. 대통령이 되기도 전인 1962(혁명완수)~79년(총화전진)까지 빼놓지않고 신년휘호를 발표했지만 매양 이런 식이다. 유비무환.. 근초고왕의 한성백제, 그 최후의 순간 475년 9월이었습니다. 고구려·백제·신라 3국 가운데 가장 먼저 전성기를 구가한 백제가 한성시대를 마감합니다. 그런데 그 최후의 순간은 너무도 비참합니다. 임금인 개로왕은 백제에서 죄를 짓고 고구려로 도망간 배신자에게 잡혀 아차성까지 끌려온 뒤 목이 잘립니다. 개로왕은 사로잡히기 전 아들인 문주(왕)에게 “너는 후일을 도모하라”는 당부를 남깁니다. 이로써 중국사서에 따르면 중국 요서지방에까지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왜왕에게 칠지도까지 하사하는 등 국력을 떨쳤던 한성백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립니다. 그후 1400년 이상 한성백제는 잊혀진 왕국이 됩니다.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때 역사의 편린이 얼핏 드러났지만 그것으로 그만이었습니다. 강고한 식민사관의 영향력 아래 한성백제의 왕성이 ‘그럴리 없다’는.. '쇼윈도 부부' 원앙의 수난시대 [여적]‘쇼윈도 부부’ 원앙의 수난 원앙계(鴛鴦契)라는 말이 있다. 송나라 강왕 때(재위 기원전 329~286)까지 유래가 올라간다. 설화집인 에 따르면 강왕의 시종 중에 한빙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런데 한빙의 부인인 하씨는 절세미인이었다. 강왕은 하씨 부인에게 눈독을 들여 결국 강제로 빼앗았다. 그러나 한빙과 하씨 부인은 서로를 잊지 못했다. 한방이 스스로 목숨을 끊자 아내 하씨도 “제발 남편과 합장시켜달라”는 유언을 남긴채 자결했다. 하지만 질투심이 발동한 강왕은 훗날 두 남녀를 합장시키지 않았다. 마주 보는 곳에 무덤을 만들었다. ‘너희 사랑은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하룻밤 사이 두 무덤에서 커다란 나무 두 그루가 자라더니 급기야 뿌리와 가지가 엉켜붙었다. 또 원앙 한 쌍이 나무 .. "돌수저라도 물어라" 흙수저 부모의 외침 신분사회를 상징하는 ‘수저론’은 서양의 산물이다. 영어 ‘은수저를 물고 태어난(born with a silver spoon in his mouth)’에서 유래했다. 1700년 이전까지 사람들은 개인 수저를 들고 다니며 밥을 먹었다. 은수저는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멤버십의 표현 쯤으로 치부됐다. 훗날 상류계층임을 인증하는 여권과 운전면허, 신용카드의 구실까지 했다. 록밴드 CCR이 발표한 1969년 작 '‘Fortunate Son’. '행운아' 혹은 '신의 아들' 쯤으로 번역된다. 가사 중 '은수저'가 나오는데 특권층의 자녀를 가리킨다. 1969년 미국의 록밴드 CCR이 발표한 ‘Fortunate Son’의 가사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금수저 흙수저’를 연상시킨다. ‘어떤 이는 날 때부터 은수저를 들고 .. ②‘석촌동 3호분의 주인공은 근초고왕인가’ 최근 서울 송파구 석촌동 고분에서 한성백제 시대 적석총이 확인됐습니다. 새삼 40여 년 전 ‘야만의 시간’을 되짚어봅니다. 1983년 개발의 광풍 속에서 포클레인 삽날에 백제인골이 찍혀나간 참상이 벌어졌습니다. 이런 천인공노할 참상을 고발하고, 온몸으로 유적을 지켜낸 소장학자가 있었습니다. 만약 그가 없었다면 지금의 석촌동 고분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을 겁니다. 당연히 한성백제 493년의 역사도 파괴되었을 겁니다. 더불어 최근의 발굴성과를 토대로 백제의 최전성기인 한성백제 시대를 되짚어보려 합니다. 백제 시조 온조왕이 지금의 송파구, 즉 예전의 광주평원에 둥지를 튼 이유는 무엇일까, 형인 비류는 지금의 인천(미추홀)에 도읍을 정했다가 실패로 돌아갔다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또하나, 한성백제의 도읍지는.. ①포클레인 삽날에 찍힌 석촌동 백제왕릉 최근 서울 송파구 석촌동 고분에서 한성백제 시대 적석총이 확인됐습니다. 새삼 40여 년 전 ‘야만의 시간’을 되짚어봅니다. 1983년 개발의 광풍 속에서 포클레인 삽날에 백제인골이 찍혀나간 참상이 벌어졌습니다. 이런 천인공노할 참상을 고발하고, 온몸으로 유적을 지켜낸 소장학자가 있었습니다. 만약 그가 없었다면 지금의 석촌동 고분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을 겁니다. 당연히 한성백제 493년의 역사도 파괴되었을 겁니다. 더불어 최근의 발굴성과를 토대로 백제의 최전성기인 한성백제 시대를 되짚어보려 합니다. 백제 시조 온조왕이 지금의 송파구, 즉 예전의 광주평원에 둥지를 튼 이유는 무엇일까, 형인 비류는 지금의 인천(미추홀)에 도읍을 정했다가 실패로 돌아갔다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또하나, 한성백제의 도읍지는..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 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