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

(156)
지독한 ‘빨간펜 정신’…‘역신의 수괴가 편찬한' 실록도 버리지 않았다 “‘빨간펜(주묵사) 정신’을 잊지 마세요.” 강원 평창에 설립된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에 ‘오대산 사고본 실록과 의궤’가 상설 전시된다는 자료를 받고 단박에 ‘빨간펜’이 떠올랐습니다. 우선 ‘오대산 사고본’ 실록이 뭔지 잠깐 소개해보죠. 실록은 태조~철종까지 25대 472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일어난 순서대로 서술하는 방식)로 기록한 책이죠. 책은 춘추관(서울)·정족산(강화)·태백산(봉화)·적상산(무주)·오대산(평창) 등 ‘5대 사고’에 한 부씩 보관했습니다. 이중 오대산 사고본은 1913년 일본 도쿄대(東京大)로 반출됐다가 1923년 간토(關東) 대지진으로 대부분 불타 없어졌고요. 용케 살아남은 75책(···)이 국립조선왕조실록 박물관에 상설 전시된 겁니다. ■‘빨간펜’(붉은 먹글씨)의 ..
“환향녀라 손가락질? 남자들이나 잘하세요”…병자호란 여인들의 절규 ‘환향녀, 화냥년….’ 왜 다짜고짜 욕지거리로 시작하냐고 하시겠네요. 그러나 단순한 욕이 아닙니다. 요즘 장안에 화제를 뿌리고 있는 MBC 드라마 ‘연인’을 보면 금방 이해할 겁니다. 병자호란 후 청나라로 끌려간 여주인공(길채)이 온갖 고초를 겪고 고향으로 돌아왔죠. 그러나 남편은 다른 여인을 부인으로 삼고 임신까지 시킨 뒤였습니다. 돌아온 부인과 맞딱드린 남편의 말이 기막힙니다. “부인은 그곳에서 무슨 일이 없었겠죠?”하고 묻습니다. 동네 사람들도 길채를 보고 “오랑캐에게 더럽혀진 몸. 뻔뻔스럽게…낯도 참 두껍다”고 손가락질합니다. 드라마이다 보니까 좀 과장이 섞이지 않았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외려 드라마에서 다 담을 수 없을 정도로 기막힌 사연들이 역사서에 나와있어요. 사실 ‘환향녀’도, ‘화냥년..
백제 마지막왕이 의자왕?…아니다. 32대 풍왕이 있다 ‘660년? 663년?’ 백제는 언제 멸망했을까요. 무슨 뜬금없는 질문이냐구요? 660년이라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배우지 않았냐구요. 그러나 과연 660년이 맞을까요. 663년설도 제법 설득력이 있거든요. 그 뿐이 아닙니다. 또하나 착안점이 있습니다. 백제의 독립 투쟁이 기록상 672년까지 이어진다는 겁니다. 마침 올해(2023년)가 백제금동대향로가 발굴된지 30년이 지난 때잖습니까. 게다가 며칠전에 부여 가림성에서 백제~통일신라시대 유구가 확인되었다는 발굴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501년(동성왕 23) 축조된 백제성이 함락된 뒤 신라가 차지·운용했다는 이야기죠. 또 10월20일 세종시 운주산 기슭에서 의미심장한 행사가 벌어졌는데요. 660년 이후 3년간 벌어진 ‘백제부흥운동’에 참전했다가 목숨을 바친 백..
거적때기 둘러쓰고, 제자리 잃고…광화문 '해치'의 기구한 팔자 왕범이, 해치…. 아무리 봐도 동물인 것 같은데 감이 확 와닿지는 않습니다. 예, 동물은 맞습니다. 하지만 분명 차이는 있습니다. 왕범이는 ‘실존’이고, 해치는 ‘상상’의 동물이라는 겁니다. 같은 점도 있습니다. 이 두 ‘실존’ 및 ‘상상’의 동물이 한때(왕범이) 혹은 지금(해치) 서울시의 공식마스코트입니다. ‘왕범이’는 1998년 2월~2008년 5월 사이 서울의 마스코트였답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에서 따왔습니다. ‘왕’하면 떠오르는 한국의 으뜸 도시라는 이미지를, ‘호랑이’의 순우리말인 ‘범’에 붙인 겁니다. 그런데 오세훈 시장 시절인 2008년 5월 ‘왕범이’가 상상의 동물인 ‘해치’로 전격 교체되는데요. 당시 오시장은 싱가포르의 머라이언, 베를린의 곰처럼 해치를 서울 하면..
중국 건국의 100대 영웅 정율성은 한중우호의 상징? 경계인? 빨갱이? 중국의 3대 음악가로 꼽히는 정율성. 전라도 광주 출신인 그는 중국의 대표군가인 ‘중국인민해방군군가’를 작곡했다. |정찬구 정율성 선생기념사업회 이사장·광주문화재재단 제공 ‘정율성(1914~1976)’이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원래 이름은 ‘부은’이었는데요. ‘선율로 성취하겠다’는 뜻을 담아 ‘율성(律成)’으로 바꾸었답니다. 음악가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 이름이죠. 그런데 이 ‘정율성’이 요즘 ‘색깔론’의 중심인물이 되었습니다. 국가보훈부가 광주광역시가 추진중인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사업’에 제동을 건겁니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정율성이 6·25전쟁 당시 북한군과 중공군의 사기를 북돋운 ‘팔로군 행진곡’과 ‘조선인민군 행진곡’ 등 군가를 작곡했고, 직접 남침에 참여해 대한민국 체제를 위협하는데 앞장..
‘헤어스타일 보니’…“백제금동대향로 5악사는 여성 전문 악단이었다” 위대한 발견은 어느날 불쑥 예고없이 찾아온 손님 같습니다. 그러나 곱씹어보면 그것은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1971년 7월5일 송산리 6호분 배수로 공사중 인부의 삽날에 부딪친 것은 다름아닌 무령왕릉의 모서리 벽돌이었죠. 무령왕릉 발굴의 이면에는 소름돋는 에피소드가 있답니다. 일제강점기 공주 지역을 돌며 마구잡이로 파헤친 공주고보 교사 가루베 지온(輕部慈恩·1897~1970)의 이야기인데요. 그 가루베가 1931~33년 사이에 송산리 6호분을 무단 발굴했습니다. 그런데 가루베는 ‘송산리 6호분=무령왕릉’으로 오판했답니다. 6호분 바로 뒤에 구릉(진짜 무령왕릉)을 6호분의 수호신(현무)로 여겨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가루베가 이 진짜 무령왕릉을 멋대로 파헤쳤다면 ..
대체 '사경'이 뭐길래…화장실 갔다오면 '향수 목욕' 해야 했을까 “‘사경(寫經)’ 제작 전에 대소변을 보거나 누워 자거나 식사를 한 경우 향수로 목욕한 뒤 작업장에 들어가야 한다…” ‘사경’은 불경을 베껴 쓴 ‘경전’인데요. 754년(신라 경덕왕 13)에 제작된 가장 오래된 사경(·국보)에는 작업장에 들어가기 전에 치러야 할 경건한 의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초장부터 이상하죠. 이런 규정이라면 화장실도 마음대로 드나들 수 없었겠네요. 또하나 인용할만한 기사가 에 있더군요. 유학자 최승로(927~989)가 982년(성종1) 올린 ‘시무28조’ 중 한 대목인데요. “신라 말 사경과 불상 모두 금·은을 사용해서 사치가 도를 넘었고 마침내 멸망에 이르렀습니다…그 관습이 사라지지 않고 있으니 반드시 그 폐단을 혁파해야 합니다.” 최승로의 언급이 심상치 않죠. ‘사경 제작’을 신..
남근형·구구단·신세한탄·가요·망부가…백제 '빅5' 목간 열전 종이가 발명(혹은 개량 또는 완성)된 것은 기원후 105년 무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종이는 오랫동안 폭넓게 쓰이지는 못했습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듯 나무(혹은 대나무)를 활용한 목간(혹은 죽간)이 보편적인 서사자료였습니다. 아닌게 아니라 ‘책(冊)’이라는 한자는 목(죽)간을 매단 모습의 상형문자에서 비롯됐죠. ‘전(典)’자는 책을 들고 있는 모습이죠. 사실 경제성과 내구성 측면에서 목(죽)간은 종이에 견줘 몇 수는 위였습니다. 왜냐. 목간은 주로 습기가 많은 우물이나 연못, 저수지, 배수지 같은 곳에서 집중 출토됩니다. 나무는 산소가 차단된 물 속에서 좀처럼 부식하지 않기 때문에 수백 수천년 동안 보존될 수 있거든요. ■‘구구단·남근형’ 목간의 정체 해방 이후 지금까지 확인된 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