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146)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님들이 묻어놓고 도망갔다"고?…'신라의 미소' 출토지에 무슨 일? “절과 절들은 별처럼 벌여 있고, 탑과 탑들은 기러기 행렬인양 늘어섰다.(寺寺星張塔塔안行)” 서라벌을 중심으로 번성한 신라 불교의 위용을 표현할 때 흔히 이 ‘원종흥법 염촉멸신’조의 멋들어진 구절을 인용합니다. 그렇게 ‘별처럼, 기러기처럼’ 늘어선 사찰 가운데서도 ‘빅3’(통일기 이전)가 있죠. 흥륜사(527~544)와 영묘사(536년), 황룡사(553~566) 등입니다. 아무래도 그 중에는 황룡사가 대중적으로는 가장 유명하죠. 누란의 위기에 빠진 신라 왕조를 불심에 기대 지키려고 높이 80m가 넘는 9층 목탑을 세운 스토리가 심금을 울리고요. 무엇보다 절터와 함께 목탑터가 남아있으니 보는 이들마다 상상의 나래를 펼 수가 있습니다. ■왕까지 출가한 흥륜사 그러나 흥륜사와 영묘사 역시 둘째, 셋째 가라면 .. 1500년전 인골 DNA 분석했더니 출산 중 숨진 산모와 태아였다 먼저 대략 1500년 전 어린이·청소년·성인 남녀의 얼굴 좀 보시고 이야기를 나누죠. 근자에 영남지역에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는 연구과제가 있습니다. 경북 경산 임당유적(임당동·조영동·부적리)에서 나온 인골 및 동물뼈 연구입니다. 2019년부터 10년 장기 계획으로 연구·활용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며칠전 ‘임당유적 출토 인골의 최신 연구성과와 과제’라는 제목의 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그중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해온 얼굴 복원 프로젝트의 성과물이 눈에 띄더군요. 귀족 여성(2019)-여성 순장자 및 귀족 남성(이상 2020)에 이어 순장 청소년(2021)과 순장 어린이(2022)까지 복원했습니다. 머리뼈 분석과 얼굴 근육층과 형태소 형성, 피부층 완성 등의 기법으로 되살려놓고 있는 겁니다. .. ‘조선판 전국노래자랑’과 18세기 가왕의 ‘게릴라콘서트’ 국내 최장수 프로그램이 뭔줄 아시죠. 1980년 11월 정규 편성된 KBS ‘전국노래자랑’입니다. ‘전국노래자랑’은 ‘최장수’ 타이틀도 갖고 있지만 이른바 ‘시민 참여형 오디션 프로그램’의 원조라 할 수 있다는데요.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오디션 프로그램’의 비조(鼻祖)가 따로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557년전 전국노래자랑 1466년(세조 12) 윤3월14일자 을 볼까요. 세조는 이 무렵 중창된 평창 상원사의 낙성식에 참석할 겸 금강산을 비롯한 강원도 지역을 방문하고 있었는데요. 강릉에 거둥한 세조가 특별한 영을 내립니다. “농가를 잘 부르는 농민들을 모아 장막 안에서 노래를 부르도록 했다”는 겁니다. 은 이때의 경연에서 1등을 차지한 자는 강원도 양양의 관노 ‘동구리’였다고 전했습니다... ‘사형수' 들끓고 ‘당뇨합병증’ 시달린 세종이 내민 ‘비장의 카드’는? 세자(문종)는 반드시 나같은 임금이 되어야 한다.’ 세자를 당신 같은 성군으로 키우려 했던 세종대왕의 노심초사가 서려있는 경복궁 전각이 있습니다. 오는 8월31일 마무리를 목표로 복원공사 중인 ‘계조당’입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가 ‘계조당 복원’을 기념해서 조선의 왕세자가 국왕이 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강좌를 개설했는데요. 그렇다면 ‘계조당’은 왕세자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얘기가 되겠네요. 맞습니다. ‘계조(繼照)’ 명칭은 ‘사방에 비치는 광명을 계승하여 비춰준다(以繼明照于四方)’는 ‘이괘·삼전’의 구절에서 따왔습니다. 따라서 ‘계조’은 왕위계승을 뜻합니다. ‘계조당’의 복원은 고종 연간에 재건하고(1866), 25년 뒤 보수된(1891) 전각을 모델로 삼고 있습니다. ■세종 코스프레한 고종 계조당.. ‘경배하라! 남근' 19금 장면…조각난 1600년전 신라토우 붙였더니 ‘경배하라 남근’. 첫마디부터 무슨 뚱단지 같은 소리냐고 할 겁니다. 10월9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이 개최중인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특별전을 살펴보던 저의 시선을 잡아끈 유물이 셋이나 되었습니다. 모두 1926년 경주 황남동에서 출토된 토우(흙인형) 장식 뚜껑(5세기)이었는데요. 그중 하나는 지름이 10.5㎝ 정도되는 뚜껑이었는데요. 글쎄 그 위에 남근이 떡하니 서있고, 주변 사람들이 그 남근을 향해 엎드려 절하고 있었습니다. 또 한 점은 적나라하게 사랑을 나누는 남녀를 향해 역시 ‘예(禮)’를 표하는 사람들을 표현한 도기 뚜껑이었습니다. 마치 ‘경배하라! 남근’, ‘경배하라! 사랑’을 표현한 것 같았습니다. 두 토우 옆에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도드라지게 강조한 뚜껑도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사랑을 .. ‘1413년 코끼리 유배사건’의 비극…단식투쟁과 눈물로 호소했지만 요즘들어 부쩍 ‘판다’ 관련 뉴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며칠전 중국이 태국에 외교선물로 보낸 판다(린후이·林惠)가 돌연사했다는 소식이 들렸는데요. 그런데 이 판다의 죽음 때문에 태국이 중국측에 보상금 6억원 가량을 지불해야 한다는 군요. 얼마전에는 일본 도쿄(東京) 우에노(上野) 동물원에서 태어난 암컷 판다 샹샹(香香)이 5살이 되자 중국으로 되돌아갔답니다. 지난달(4월)에는 2003년 미국 멤피스 동물원으로 대여된 판다 ‘야야(아아)’ 역시 중국에 반환되었습니다. 남의 일이 아니죠. 국내에도 2016년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방한 때 외교선물로 받은 판다 부부가 있죠. 러바오(樂寶·수컷)와 아이바오(愛寶·암컷)입니다. 그 부부 사이가 낳은 판다가 푸바오(福寶)이구요. 그런데 푸바오는 4살이 되는 내년(.. ‘순종을 사육 동물로 전시하라’…이토 히로부미의 ‘창경원’ 프로젝트 최근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가 ‘창경궁 명칭 환원 40주년’을 맞아 올 연말까지 다채로운 행사를 벌인다고 발표했습니다. 아마도 50대 이상의 세대에게는 이 소식이 색다른 감회로 다가왔을 겁니다. 저만 해도 20대 초반까지는 ‘창경원’이었구요. 엄마가 싸준 도시락을 들고 소풍 가서 사자며, 호랑이며, 하마며, 기린같은 여러 진귀한 동물을 봤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다가 동·식물을 서울대공원에 옮긴 뒤인 1983년 12월 비로소 ‘창경궁’의 명칭을 되찾게 되었죠. 원래는 ‘궁’이었는데, 일제강점 초창기(1911년) ‘동식물을 키우는 동산’인 ‘원(苑)’으로 명칭이 바뀌었죠. 그러나 해방 이후 40년 가까이 ‘창경원’ 이름을 답습했던 것도 퍽이나 기막힌 일입니다. %3C/p|CDM|1.3|{"originWidth.. "소주가 조선의 운명을 바꿨다"…세종도 '임금도 못막는다' 인정했다 “나라의 장래를 생각하기는커녕 제 한 몸도 돌보지 못한다는 말인가.(縱不能以國家爲念 獨不顧一身之性命乎)” 1433년(세종 15) 10월28일이었습니다. 세종이 술(酒)의 폐해와 훈계를 담은 글을 발표합니다. “술은 몸과 마음을 해친다. 술 때문에 부모의 봉양을 버리고, 남녀의 분별을 문란하게 한다. 나라를 잃고 집을 패망하게 만들며, 성품을 파괴시키고 생명을 잃게 한다…” 세종은 이 교서를 족자로 만들어 서울을 물론 전국의 관청에 걸어두게 했습니다. ■“임금이 막는다고 술을 끊겠냐.” 세종이 특히 개인과 나라를 망칠 술로 지목한 것은 바로 ‘소주’였습니다. 7개월전인 3월23일 이조판서 허조(1369~1439)가 세종에게 소주의 폐해를 열거하면서 ‘금주령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는데요. “예부터 술 때문.. 이전 1 2 3 4 5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