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45)
1500년전 신라에서도 '이모티콘', '인터넷 줄임말' 유행했다 ‘무표정인듯, 심각한듯, 말하는 듯…. 어찌보면 뾰루퉁한 듯, 잔뜩 화낸 듯….’ 문화재청이 얼마전 경북 경산에서 출토된 ‘사람 얼굴 모양 도기(토기) 항아리’를 활용한 그림말(이모니콘) 24종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개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및 트위터 등에서 쓸 수 있답니다. 이 ‘얼굴 항아리’는 각기 다른 표정의 세 얼굴을 드러낸 독특한 모습으로 출토되었는데요. 문화재청 공식 SNS는 유물이 출토된 2019년 말부터 프로필 이미지로 활용해왔답니다. ‘문화유산이 어렵고 지루하다’는 고정 관념을 없애려는 의지가 반영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잘 들여다보면 이 ‘얼굴 항아리’는 세 얼굴로만 볼 수 없습니다. 항아리를 살살 돌리면 얼굴과 얼굴 사이에도 ‘또 다른 표정의 얼굴’이 보입니다...
이것이 1500년전 신라판 ‘이모티콘’…‘인터넷 줄임말’도 유행했었다 ‘무표정인듯, 심각한듯, 말하는 듯…. 어찌보면 뾰루퉁한 듯, 잔뜩 화낸 듯….’ 문화재청이 얼마전 경북 경산에서 출토된 ‘사람 얼굴 모양 도기(토기) 항아리’를 활용한 그림말(이모니콘) 24종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개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및 트위터 등에서 쓸 수 있답니다. 이 ‘얼굴 항아리’는 각기 다른 표정의 세 얼굴을 드러낸 독특한 모습으로 출토되었는데요. 문화재청 공식 SNS는 유물이 출토된 2019년 말부터 프로필 이미지로 활용해왔답니다. ‘문화유산이 어렵고 지루하다’는 고정 관념을 없애려는 의지가 반영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잘 들여다보면 이 ‘얼굴 항아리’는 세 얼굴로만 볼 수 없습니다. 항아리를 살살 돌리면 얼굴과 얼굴 사이에도 ‘또 다른 표정의 얼굴’이 보입니다...
'난 신일본인!' 외쳤던 이봉창, 그는 왜 일제의 '대역죄인'이 되었나 얼마전 보물로 지정된 유물 가운데 ‘이봉창 의사 선서문’이 특히 제 눈에 띄었습니다. ‘나는 적성(진심)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야 한인 애국단의 일원이 되야 적국의 수괴를 도륙하기로 맹서하나이다. 대한민국 십삼년 십이월 십삼일 선서인 이봉창. 한인애국단앞.’ 이미 보물로 지정된 윤봉길 의사(1908~1932)의 선서문과 내용이 비슷한 문서인데요. 물론 다른 문구가 있어요. 이봉창 의사(1901~1932)는 ‘적국의 수괴(일왕)’, 윤봉길 의사는 ‘적의 장교(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일본 상하이 주둔군 사령관)’ 등 도륙의 대상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런데 ‘이봉창 의사 선서문의 보물 지정’ 보도자료를 보면 고개를 갸웃 거릴 만한 사진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어릴 적부터 교과서는 물론 각종..
"분(화장품)과 바늘 보내오"…조선시대 '츤데레' 군인 남편이 보낸 선물 “분(화장품)하고 바늘 6개를 사서 보내네…” 최근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예고한 ‘나신걸 한글편지’의 내용 중 한 구절이다. 이 편지(1490년 무렵 작성)는 훈민정음이 반포(1446년)된지 40여년 만에 쓰여진,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라는 점에서 일단 ‘보물’로 지정하고자 한 것이다. 어려운 원문을 최초로 판독·연구한 배영환 제주대 교수와, 최근 한글편지와 관련된 글을 쓰고 있는 백두현 경북대 명예교수의 도움말로 풀어본다. ■남편이 보낸 ‘분과 바늘’ 이 편지는 함경도에서 하급 군관으로 군무 중이던 나신걸(1461~1524)이 1490년(성종 21) 무렵 회덕(대전)의 아내 신창 맹씨에게 보낸 사연을 담고 있다. 편지는 함경도 군관으로 발령받아 임지로 떠나는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하면서 시작된다. “영안도..
19세기 세계적인 'K컬처' 풍속화가…김홍도도, 신윤복도 아니었다 18~19세기 풍속화가 하면 어떤 작가가 떠오르나요. 단원 김홍도(1745~?), 혜원 신윤복(1758~?) 같은 분들을 떠올리시겠죠. 그럼 기산 김준근(생몰연대 미상)이라는 풍속화가는 아시나요. 전혀 모르시겠다구요. 그러나 반전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기산 김준근은 19세기 말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한국의 대표 풍속화가입니다. 기산의 그림은 유럽 878점, 북미 138점, 아시아 480점, 개인소장 104점 등 전세계에 무려 1600점 정도 퍼져있습니다. 한마디로 19세기를 풍미한 ‘K-컬쳐 작가’라 할 수 있죠. 주요 소장처를 볼까요.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 독일 함부르크 로텐바움 박물관·뮌헨 오대륙 박물관, 오스트리아 빈 세계문화박물관, 네덜란드 라이덴 국립박물관, 영국 영국박물관·도..
창경원 소풍 도시락용 돌판…1~14세기 고구려·조선 합작 천문도였다. 한국의 국보 가운데 유독 다가가기 어려운 문화유산이 몇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천상열차분야지도’입니다. 이 문화유산이 ‘천상행 열차 노선을 그린 지도’였다면 얼마나 쉬울까요. 그렇지 않으니까 문제죠. 국립고궁박물관이 27일부터 새롭게 단장한 ‘과학문화’ 상설 전시장의 문을 열었는데요. 전시장에는 조선 왕실 과학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유산 45건을 전시해놓았네요. 이 가운데 압권은 역시 (국보)와 (보물), 등 3점입니다. 여기서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풀어봅시다. 한마디로 말하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석각(돌에 새긴) 천문도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품 중 국보 ‘각석(刻石)’은 1395년(태조 3)에 돌에 새긴 천문도이고, 보물 ‘복각’은 그 천문도를 숙종 연간(17세기 말)에 다..
풀포기의 기적…진흥왕순수비 한 글자(典) 읽어냈다 “기적적으로 ‘전(典)’자’를 읽었습니다.” 박홍국 위덕대 연구교수가 12월31일 발행되는 학술지( 29호, 한국목간학회)에 실릴 따끈따끈한 논문 한 편(‘파주 감악산 고비에 남은 명문’)을 보내왔다. 내용인즉은 경기 파주 감악산(해발 675m) 정상에 서있는 비석을 면밀하게 살펴본 결과 맨 밑바닥에서 ‘법 전(典)’자를 읽어냈다는 것이었다. 아니, 겨우 딱 한자를 읽어낸게 뭐 그리 대단한 거냐고 의문을 품은 독자들이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이것이 어떤 의미를 던져주는지 살펴볼까 한다. ■조선시대 때도 판독 불가였던 비석 요즘 출렁다리로 유명해진 적성 감악산 정상 위에는 수상한 비석 한 기가 떡하니 서 있었다. 이름하여 ‘감악산비’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이 비석의 정체를 두고 설왕설래했던 것 같다. 1..
‘조선 미라’, 결국 ‘문화재’ 대접 못받았다…‘중요출토자료’에 그친 이유 미라 하면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왕)인 투탕카멘(재위 기원전 1361∼기원전 1352)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죠. 9살의 어린 나이로 등극한 뒤 불과 9년 만인 18살에 죽는 바람에 별다른 업적은 기록되지 않은 군주죠. 그러나 1922년 영국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1874~1939)에 의해 그의 미라가 발견됨으로써 일약 유명세를 탔죠. 그런데 이집트 미라는 모든 장기를 제거하고 방부 처리하는 인위적인 과정을 거쳤죠. 한마디로 ‘인공미라’입니다. ■얼음인간 외치가 나타났다 그러나 1991년 9월 알프스의 빙하지대에서 유럽은 물론 전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자연 미라’가 발견됩니다. 독일인 등산객 부부가 알프스 빙하지대인 외츠탈에서 반쯤 녹아있던 빙하에 엎어져 있던 시신을 본 겁니다. 분석결과 기원전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