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60)
보물 제2000호가 된 김홍도의 작품은? 1962년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국보와 보물이 지정되기 시작한 이래 56년만에 보물 제2000호가 탄생했다. 문화재청이 4일 보물로 지정한 유형문화재 4건의 등재번호는 제1998~2001호이다.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과 대구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이 보물 제1998호와 제1999호이고,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는 보물 제2000호, ‘자치통감 권129~132’는 보물 제2001호가 됐다. 보물 제2000호로 지정된 김홍도의 ‘삼공불환도’. 4m가 넘는 김홍도의 말년 대작이다. 순조 임금의 천연두 쾌차를 기념해서 ‘유후 한공’의 의뢰를 받은 김홍도가 그린 병풍 4점 중 하나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이중 보물 제2000호의 ‘행운’을 누린 김홍도(1745~1806 이후)의 ‘삼공불환도(三公不換圖..
‘신라의 미소’, 되찾은지 46년만에 보물된 사연 1930년대 초 경주 야마구치(山口) 의원에서 공중의로 일하고 있던 다나카 도시노부(田中敏信·1908~1993)가 흥미로운 소식을 들었다. 경북 경주 사정동 영묘사 터(현재 사적 제15호 흥륜사지)에서 독특한 와당인 수막새 한 점이 발견됐고, 일본인 골동품상인 구리하라(栗原)에게 넘어갔다는 것이었다. 목조건축에서 지붕의 기왓골 끝에 얹는 수막새의 무늬는 대개가 연꽃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수막새는 사람의 얼굴이 그려져 있었다. 당시 26살의 청년의사 다나카는 구리하라 가게로 달려가 주저 없이 100원을 주고 구입했다. ‘신라의 미소’로 일컬어진 경주 출토 ‘얼굴무늬 수막새’. 7세기 작품이다. 여인의 웃는 얼굴을 조각한 독특한 와당이다. |국립경주박뭀관 소장 1934년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과 학술지인..
'평화시대의 핫플레이스' 비무장지대는 유네스코 세계복합유산이다 “비무장지대(DMZ)의 난개발을 막고 평화구역으로 만들기 위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지난 7일 도종환 문화체육부장관은 48개국 주한외교단과 함께 판문점과 비무장지대 일대를 방문한 행사에서 “비무장지대가 한국인은 물론 세계인들을 위한 평화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비무장지대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도 장관은 “70여 년 동안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온대림과 야생동물 등 생태자원을 갖춰 관광잠재력이 높다”면서 “이런 생태문화의 보고를 자본의 논리로 잘못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경기 연천 동이리에 있는 유엔군 화장터. 등록문화재 제408호이다. 주로 영국군의 시신을 화장했던 곳이다. ■비무장지대는 생태의 보고만은 아니다 유네..
제자(왕건)와 스승(희랑)의 만남, 남북한 공동의 ‘금속활자…대고려전에 어떤 북한유물 오나 제자(왕건)와 스승(희랑)의 만남, 남북한 공동의 ‘금속활자…대고려전에 어떤 북한유물 오나 “고려 태조 왕건상과 스승 희랑대사상의 만남, 남북한 공동으로 발굴한 금속활자 ‘단(전·전)’자의 전시…. 이것이 이뤄진다면 12월 19일 열릴 대고려전의 고갱이가 되겠지요.”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자주적인 통일국가를 이룬 고려의 건국 1100년을 맞아 박물관이 준비중인 ‘대고려-그 찬란한 도전’ 특별전에 ‘왕건상과 금속활자 단’의 출품을 학수고대했다. 그 바람이 성사될 가능성이 커졌다. 2016년 4차핵실험, 개성공단 가동 중단 등으로 남북한 공동발굴 사업이 무산된 이후 북한이 단독으로 개성 만월대에서 찾아낸 금속활자 4점. 물이름 ‘칙’, 지게미 ‘조’, 이름 ‘명’, 밝을 ‘명’ 자로 해석됐다. 국립중앙박..
'립스틱 짙게 바른' 석굴암 부처님과 창령사 오백나한 ‘당신의 마음을 닮은 얼굴’. 국립춘천박물관이 8월28~11월25일 사이에 개최하는 ‘창령사터 오백나한’ 특별전의 제목이다. 무엇이 나의 마음과 닮았다는건지 박물관 전시실 입구에 들어서면 금방 느낄 수 있다. 전시실에 일렬로 전시해놓은 나한상들을 바라보는 순간 무장해제된다. 어디선가 보았던 친척이나 친구, 이웃집 사람의 얼굴 같은 느낌…. 나한상을 볼 때마다 이 나한상과 꼭 닮은 누군가를 찾게된다. 그 뿐인가. 나와 비슷한, 아니 나보다 ‘조금’ 못생긴 것 같은 나한상과 꼭 사진을 찍고 싶어진다. 전시회가 끝날 무렵엔 각 나한상과 찍은 수십장의 사진 파일이 남았다. 그러나 필자의 마음을 붙잡은 모델이 있었으니 바로 ‘립스틱 짙게 바른’ 나한상이었다. 김상태 국립춘천박물관장에게 물어보니 ‘립스틱’ 바른 나..
피부 조직까지 붙은 머리띠 두른 인골의 정체 몽골 북서쪽 알타이 산악 지역 고분에서 아직까지도 피부조직이 남아있는 1700~2000년전 인골이 출토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6월15일부터 7월24일까지 몽골과학아카데미 역사고고학연구소와 몽골 시베트 하이르한(해발 2500m) 유적 파지릭 고분을 공동발굴한 결과 선비시기 무덤 4기 중 1기에서 신장 165~170cm 가량으로 반듯이 누운 미라가 의복과 함께 발견됐다고 밝혔다. 파지릭 고분에서 확인된 선비 시기(기원후 1~3세기) 인골. 머리에 띠를 두른 모습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미라는 몸통과 얼굴 피부조직 일부가 남아있었으며, 머리는 끈을 두르고 있었다. 연대측정 결과 미라는 기원후 1세기로 확인되었다. 상의가 그대로 남아있는 의복은 앞섶이 교차한 형태의 긴소매이다. 짧은 상의 형태로 보..
'금속활자를 찾아라!' 남북한 공동의 ‘황성옛터 만월대’ 프로젝트 ‘깨달음(證道)의 뜻을 밝힌다는 뜻의 라는 책이 있다. 문헌상 금속활자로 간행된 최초의 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책의 발문을 보면 고려 무인정권의 실세인 최이(?~1249)가 “이 책이 제대로 유통되지 않으니 주자본(鑄字本·금속활자본)으로 판각한다. 기해년(1239년)”이라고 기록했다. 2015년 11월 남북한 공동발굴단이 개성 만월대에서 찾아낸 고려 금속활자. 만월대 서부건축군 최남단 지역 신봉문터 서쪽 255m 지점에서 출토됐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책의 목판본만 전해지고 있다. 이라는 책도 있었다. 나라의 제도와 법규를 정할 때 참고했던 책이다. 이규보의 에 “(1234~1241년 사이) 강화도에서 28부를 금속활자로 찍었다”고 했다. 그러나 은 그저 기록만 존재할 뿐이다. 현전하는 세계 ..
'무덤의 주인공'을 덧붙인 조선왕릉 조선왕릉 중에 정릉과 온릉·희릉·태릉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의 제11대 임금인 중종(재위 1506∼1544)의 무덤이 정릉(靖陵)이고, 온릉·희릉·태릉은 중종의 세 부인인 단경왕후(온릉)와 장경왕후(희릉), 문정왕후(태릉)의 무덤이다. 중종이 세 부인 중 어느 한 분과도 합장되지 않은 사연이 있다. 중종 반정에 반대하던 아버지(신수근)이 피살되어 중종 즉위후 단 8일만에 반정세력에 의해 폐위된 단경왕후 신씨와는 무덤을 같이 쓸 수 없었다. 중종의 무덤은 2번째 부인인 장경왕후의 무덤(서삼릉 희릉)에 조성됐다. 그러나 정권을 틀어쥔 제3부인 문정왕후는 남편을 독차지하려고 중종릉을 강남의 봉은사 곁(정릉)으로 옮겼다. 그러나 문정왕후의 능으로 낙점된 곳이 낮은 침수지대였던 탓에 정작 자신은 남편 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