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60)
양복점 주인이 찾아낸 대한제국 최후의 문관대례복 그동안 실물을 확인하지 못했던 대한제국 마지막 서구식 문관대례복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근대복식사 전공자인 이경미 한경대 교수(의류산업학과)는 10일 “1980년대부터 한국맞춤양복협회에 전시된 복식을 조사한 결과, 대한제국이 1906년 12월 칙령 개정 이후 제작한 문관대례복(국가의 의식 때 착용한 옷)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1906년 12월12일 고종황제의 칙령 제75호 ‘문관대례복 제식’의 개정에 따라 제작된 대한제국 마지막 대례복. 이전에 비해 앞면의 금색표장이 사라졌지만 뒷면의 칼라와 어깨, 등, 호주머니, 소매 등에 무궁화를 장식했다.|한국맞춤양복협회 제공 대한제국은 국제외교무대에 진출하기 위해 1900년 4월 17일 서양식 문관대례복에 대한 규정을 처음 만들었다. 이후 1904∼1905년 칙..
‘천재’ 세종 vs ‘둔재’ 김득신의 독서왕 대결 “(세종은) 책을 100번씩 반복해서 읽었다. 과 같은 책들은 200번 읽었다. 몸이 아파도 마찬가지였다. 보다 못한 아버지(태종)가 환관을 시켜 책을 다 거두어갔다. 그런데 한 권이 병풍 사이에 남아 있었다. 세종은 이 책을 1100번 읽었다.”( ‘세종조고사본말’) ■세종의 ‘자뻑’, ‘나보다 책 많이 읽은 자 나오라그래!’ 역대로 가장 많은 독서량을 자랑한 군주는 역시 만고의 성군인 세종대왕을 꼽을 수 있다. 서거정(1420~1488)의 수필집인 를 인용한 은 ‘독서계의 레전드=세종’의 일화를 전한다. 백곡 김득신이 78살 때 쓴 글씨. 당나라 이백의 한시다. ‘9월9일 중양절 용산에 올라 술을 마시니 산 국화가 쫓겨난 신하를 비웃는 듯하네. 취기에 얼핏 바람에 날리는 모자를 보고 춤추며 달을 보노..
화려한 색채의 공주 대통사…백제 장인이 묻힌 '아차' 실수 단청 흔적 백제 최고(最古)의 사찰인 대통사터로 지목된 충남 공주 반죽동 한옥부지에서 사찰을 화려한 단청으로 칠한 흔적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지난 3~4월 이곳에서 ‘대통(大通)’이라는 명문기와 등 2만 여 편의 유물을 발굴한 조원창 한얼문화유산연구원장은 “수습된 지두문(손가락으로 그린 무늬) 암막새의 뒷면에서 가로 방향의 붉은 칠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대통사터에서 확인된 암막새. 뒷면에 백제의 단청기술자가 실수로 묻힌 붉은 칠의 흔적이 역력하게 보인다.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조 원장은 오는 7일 열리는 ‘공주 대통사지 성격규명과 향후 조사 및 활용방안’ 학술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발굴조사 성과를 발표한다. 조 원장은 이것이 “암막새가 시설되는 연함(連含)을 단청하는 과정에서 묻은 흔적으로 추정된다..
'정인지 성삼문 신숙주 vs 예겸' 한 중 시문배틀의 승자는 누구였을까 “(명나라 사신) 예겸이 정인지에게 ‘그대와 나누는 하룻밤 대화가 10년 동안 글을 읽어서 얻는 소득보다 낫습니다’라 했다.”() “예겸이 두 선비(신숙주·성삼문)을 사랑하여 형제의 의를 맺고 시를 계속 주고받았다. 예겸이 귀국할 때는 눈물을 닦으며 이별했다.”() “(안평대군의) 글씨는 보통 솜씨가 아니다. 이 사람을 만나보고 싶다.”( 1450년(세종 32년) 윤 1월1일 명나라 사신 예겸(1415~1479)이 조선을 방문했다. 막 즉위한 명나라 경태제(재위 1449~1457)의 등극조서를 조선에 반포하기 위함이었다. 조선땅을 밟은 예겸은 당대 세종대왕이 직접 키운 집현전 학사들인 정인지·신숙주·성삼문 등과 치열한 ‘시문 배틀’을 벌였고, 그렇게 겨룬 시문 37편을 골라 두루마리 시권으로 엮었다. 길..
'생존학자를 돌아가신…'으로 쓴 유홍준의 문화유산답사기 전량 회수 최근 출간된 유홍준의 (창비)에 오류가 발견돼 출판사 측이 뒤늦게 회수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원로미술사학자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77)은 28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며칠 전 출판사에서 큰 결례를 했다고 전화가 왔다”며 “이미 인쇄된 책은 전부 폐기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책에서 문제가 된 부분은 ‘문경 봉암사’ 편에서 강 원장의 평가를 인용하는 대목으로, “돌아가신 강우방 교수”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다. “(경북 문경) 봉암사에 다녀온 후 나는 돌아가신 강우방 선생을 만날 일이 있어서 얘기 끝에 봉암사에 다녀왓다고 햇ㅆ더니 강선생님 하시는 말씀이 ‘그게 절이야? 다 망가졌어. 나는 다시능 안갈 거야’라고 한탄어린 푸념을….” 강 원장은 “멀쩡히 산 사람을 두고 죽었다고 하니 내가 오래..
공노(孔奴)…백제인의 익살 담긴 공주 공산성 옻칠갑옷 낙서인가 ‘공노(孔奴)…’. 2011년 10월 공주 공산성을 발굴중이던 공주대박물관 조사단은 가죽에 옻칠한 갑옷(칠피갑옷) 미늘편과 함께 이 갑옷의 연대를 알 수 있는 명문을 확인했다. 특히 ‘행정관십(行貞觀十)’과 ‘구년사월이십이일(九年四月二十二日)’ 명문은 결정적이었다. ‘정관’은 당나라 태종의 연호(627~649)이며, 정관 19년이면 645년, 즉 의자왕 5년에 해당된다. 복원과정에서 드러난 공노(孔奴) 명문. 고급스러운 갑옷에 장난스럽게 거친 글씨로 표현했다. |이현숙 국립공주대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의 발표문에서 이와함께 지금 막 쓴 것 같은 생생한 글자들이 잇달아 보였다. 왕무감(王武監), 대구전(大口典) 등의 문자가 나타났고, 참군사(參軍事), ‘○작배융부’(○作陪戎副), ‘○인이행좌’(○人二行左) ‘근..
‘고양이집사’ 숙종의 퍼스트캣 ‘김손’ 스토리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은 스스로 ‘집사’라 낮추고, 고양이를 ‘주인님’이라 한단다. 한없이 애교를 부리는 강아지와 달리 고양이는 스스로를 주인과 동격이거나 아니면 자기 집을 관리하는 집사 취급한다고 해서 일컫는 말이다. 가히 ‘지금은 냥이의 전성시대’인 듯 싶다. 문재인 대통령이 키우는 고양이 ‘찡찡이’는 유기묘에서 일약 ‘퍼스트캣’의 반열에 올랐다. 그러나 ‘찡찡이’가 첫번째 퍼스트캣은 아니다. 지금으로부터 340여년전 조선조 숙종(재위 1674~1720)에게 퍼스트캣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김손(金孫) 혹은 ‘김묘(金猫)’였다. 이하곤의 ‘서궁묘사’에 등장하는 숙종과 김손 이야기. 숙종이 죽자 고양이 김손이 빈전을 우러러 통곡했으며 수십일간 곡기를 끊고는 결국 굶어죽었다는 내용이다. ■“수 틀리면 쿨하게..
"단 4초, 경주 동궁에 화재진압 '골든타임용' 소화전 있었다" “단 4초, 경주 동궁에 화재진압 ‘골든타임’ 위한 ‘방화수로’ 있었다” “통일신라 시대에 화재진압용 골든타임에 대처한 최첨단 시설이 조성돼있었다. 신라시대 골든타임은 4초였다.” 신라 동궁과 월지(안압지)는 삼국통일 직후인 679년(문무왕 19년) 조성된 궁원이다. 이 궁원에서는 1975~79년 사이 대대적인 발굴조사 끝에 3만점이 넘는 유물과 30곳의 건물터 등이 출토되고 노출된 바 있다. 그런데 이 곳에서는 발굴조사 이전에도 총연장 107m 가량의 화강암제 석조수로가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실체에 대한 연구가 전무했다. 전문가들은 이 수로가 단순한 낙수처리용이나 경관용 등으로 볼 뿐이었다. 수로 조성된 부분(검은 선). 동궁내 화재가 발생할 때 바로 곁에 조성된 방화수로를 통해 불을 끄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