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팟 캐스트-흔적의 역사

(312)
평양 기생이 신라 금관을 쓴 까닭 1926년 10월 10일 경주 노서동의 고분 발굴장에서 감탄사가 터졌습니다. 스웨덴의 아돌프 구스타프 황태자(재위 1950~73)의 목소리였습니다. 일제는 당시 일본을 방문 중이던 황태자 부부를 위해 이벤트를 펼쳤습니다. 마침 경주에서 봉황이 장식된 금관이 발견된 것에 착안한 것입니다. 일제는 유물 일체를 노출시켜 놓고 황태자 부부에게 발굴의 피날레를 장식하도록 한 것입니다. 경주를 방문한 구스타프 황태자는 일제가 반쯤 노출해놓은 금제 허리띠와 금제 장식 등을 조심스레 수습했습니다. 일제는 금관까지 황태자가 수습하도록 부탁했습니다. 황태자가 금관을 들어올리자 환성과 박수가 터졌습니다. 일제는 스웨덴의 한문 명칭인 서전(瑞典)의 ‘서(瑞)’와 봉황의 ‘봉(鳳)’자를 따서 ‘서봉총’이라 이름 붙였습니다. 그..
대장금, 장덕, 애종…조선의 여의사 열전 팟캐스트 15회 주제는 ‘대장금’입니다. 대장금으로 대표되는 조선 시대 최고의 커리어 우먼들의 이야기, 즉 입니다. 조선에서 여자의사가 탄생한 배경이 재미있습니다. 태종·세종 때의 일인데, “남자 의사가 (진맥을 한다면서) 여인들의 살을 주무르게 되니 망측스럽다”는 상소가 올라왔습니다. 남자의사의 손길이 무서워 병을 감추고, 심지어는 목숨을 잃는 아녀자가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전국 8도의 10~15살 관기들 가운데 영리한 여자아이들을 뽑아 서울로 유학시켰습니다. 이들은 3년간 혹독한 의학공부를 한 끝에 의녀가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의녀 가운데 대장금은 군계일학이었습니다. 사극 에도 묘사됐듯이 사실상 중종 임금의 주치의 노릇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종 임금은 남자의사들을 내치고 대장금을 비롯한 의녀..
세종대왕은 성군이 아니었다 팟 캐스트 14회는 세종대왕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만고의 성군’이나 ‘해동의 요순’이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감히 ‘세종은 성군이 아니었다’는 주제로 이야기할까 합니다. 물론 세종대왕의 업적은 필설로 다할 수 없습니다. 백성을 긍휼히 생각하는 세종의 마음씨 역시 실록에 나와있는 그대로입니다. 죄인들의 귀휴제도를 만들었고, 관노비들의 출산휴가를 늘렸으며, 심지어는 그 남편들에게도 출산휴가를 주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상상이나 하십니까. 세종시대에 관노비의 남편에게 30일 간의 출산·육아휴가를 주었다는 사실을…. 더욱이 형을 살고 있는 죄인들의 목욕관리까지 신경을 쓸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세종대왕의 치세에 가려진 반전의 역사도 있습니다. 그 시대에 있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다른 것도 아닌, ‘실록’을 ..
조선판 4대강 공사의 허와 실 팟 캐스트 12회는 ‘고려·조선판 4대강 공사가 남긴 교훈’입니다. 고려·조선에 무슨 4대강 공사냐구요. 물론 4대강 공사를 벌인 것은 아니고, 4대강 공사의 과정을 쏙 빼닮은, 그러나 결과는 전혀 다른 국책사업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그것이 바로 운하공사입니다. 고려·조선 때 국가재정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는 바로 세곡(세금으로 받은 곡식)을 서울(개경 혹은 한양)으로 옮기는 것이었습니다. 도로사정이 좋지 않던 육로로는 어려운 일이었기에 주로 해로, 즉 조운선을 이용해서 옮겼습니다. 그러나 문제가 있었습니다. 고려·조선 때 안흥량으로 일컬어졌던 지역, 즉 지금의 충청도 태안 앞바다가 가장 큰 고비였습니다. 안흥량 해역은 물살이 험하기로 악명이 높은 곳이었습니다. 그러니 조운선들이 번번이 침몰하고 선원들이..
역사속 패션피플과 성형미인 이번 주 이기환의 팟캐스트 ‘흔적의 역사’ 11번째 이야기는 ‘역사속 패션피플과 성형미인’입니다. 요즘 겨울철을 두고 ‘성형의 계절’이라 합니다. 그 뿐입니까. 우리나라는 어느새 ‘성형 강국’이 되었고, 성형관광의 메카로 발돋움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최근의 트렌드일까요? 아닙니다. 원래 성형은 동이족의 전유물이었답니다. 증거가 있냐구요? 있습니다. 그것도 움직일 수 없는 고고학 증거들입니다. 이번 팟캐스트에서 한번 성명해드리겠습니다. 동이족은 성형 민족이라 할만 합니다. 이번 팟캐스트에서 또 하나 궁금해 하실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옛날 사람들의 미의 기준은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역사속 패셔니스타’는 누가 있었을까. 그렇습니다.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 즉 지금으로부터 2500년전부터 ‘개미허리’ 여인..
고려 조선을 뒤흔든 환관 이야기 10번째 팟캐스트입니다. 이번 주는 '우리 역사 속의 환관 이야기'입니다. 신라본기 흥덕왕조에 처음 환관의 기록이 보입니다. 사실 우리 역사를 훑어보면 중국처럼 환관을 대량으로 양성하고 기용하고 그러지는 않았습니다. 궁형이나 자궁(스스로 거세)을 통해 환관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답니다. 다만 어릴 때 개(犬)에 물려 고자가 된 케이스가 훗날 환관이 되었다고 하네요. 물론 조선 초기에는 명나라 황제의 조칙에 따라 환관을 만들어 중국에 보내는 경우가 있엇다고 하지만…. 우리 역사 속에서도 나라를 위기에 빠뜨린 환관들이 심심찮게 있었습니다. 고려 의종 때 환관 정함은 사치향락과 황음에 빠진 의종을 대신해 권력을 마음껏 주물렀습니다. 오죽했으면 “나라의 권세가 모두 고자(정함)에게 있구나!”하는 한탄이 개경거..
환관 조고, 황제의 문고리를 잡다. “폐하는 어립니다. 조정에서 대신들과 정사를 논하면 폐하의 단점만 보일 겁니다. 이제부터는 폐하의 말씀을 다른 사람들이 듣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기원전 209년 환관 조고가 허수아비 황제(진 2세 호해)에게 수근댔다. “천자를 ‘짐(朕)’이라 부르는 이유를 아느냐”는 것. 짐(朕)이란 단어는 ‘징조’ ‘조짐’의 뜻이어서 무슨 일인지 아직 모른다는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즉 천자의 일을 그 누구도 알아서는 안된다는 게 조고의 수근거림이었다. 무슨 뜻이냐. 한마디로 조고는 황제와 다른 대신들과의 소통을 완전히 막아버린 것이다. 진 2세는 늘 구중궁궐에 쳐박혀 있었고, 모든 국사는 환관 조고의 수중에 떨어졌다. ■황제의 어차와 옥쇄를 수중에 환관 조고의 일화가 바로 ‘문고리 정치’의 가장 악명높은 사례가..
문고리 권력의 원조, 환관 정치의 정체 이번주 팟캐스트 9회는 ‘환관’ 이야기입니다. ‘문고리 권력의 원조…. 환관 그들을 위한 변명’ 입니다. 중요 부위를 스스로 자르거나, 혹은 형벌을 받아 잘린 남성들의 박탈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겁니다. 라는 불후의 역사서를 쓴 사마천도 궁형을 당한 뒤 ‘치욕’이라는 낱말을 19번이나 쓰면서 괴로워했답니다. 사마천은 “궁형을 당하는 것보다 더 엄청난 치욕은 없다. 하루에도 창자가 9번 끊어지는 것 같다”고 괴로워했답니다. 사마천이야 강제로 잘렸다지만 환관이 되려고 스스로 자른 남성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들은 왜 사마천의 말마따나 ‘몸이 망가져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다’는 치욕을 감수하면서까지 죽음을 무릅쓰고 잘라야 했을까요. 명나라 공식역사서를 보면 명확한 이유가 나옵니다. “환관은 황제의 배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