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167)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의 화약은 왜 '똥천지' 길가의 흙에서 뽑아냈을까 ‘화약(火藥)은 원래 약(藥)이었다’는 말은 그렇다칩시다. ‘화약이 똥에서 나왔다’는 게 무슨 소리일까요. 국립진주박물관이 3월 22일까지 ‘화력조선’을 주제로 조선무기 특별전을 열고 있는데요. 그런데 발간을 앞두고 있는 특별전 도록 원고를 받아본 제 눈길을 끈 소재가 몇 있었습니다. 먼저 ‘화약(火藥)’이 당초에는 ‘약(藥)’으로 쓰였다는 게 눈에 띄더라구요. 화약은 9~10세기 무렵부터 중국 송나라 때부터 무기로 활용되었는데요. 그러나 그 이전에도 화약은 제조되었답니다. 화약은 염초(초석 혹은 질산칼륨·KNO3)와 숯, 유황을 혼합해서 만들죠. ■약재로 쓰인 화약 화약은 도교사상이 유행한 중국 한나라와 위진남북조 시대에 연단술(煉丹術)의 하나로 사용되었는데요. 연단술은 금단(광물로 만든 약)을 조제·.. 동굴 속 한줄기 빛을 따라갔더니 신라 진흥왕의 낙서가 보였네 2015년 12월 6일 일요일 오전 11시 무렵이었습니다. 모처럼 가족여행 중이던 박홍국 위덕대 박물관장은 울진 성류굴에 잠시 들렀습니다. 목적지인 봉화에 도착해서 점심을 먹기에는 너무 일러서 따뜻한 동굴에서 시간을 보내려 했던 겁니다. 그런데 동굴로 막 들어서려던 박관장의 눈이 번쩍 뜨였습니다. 동굴의 왼쪽 벽면에서 심상치않은 글자들이 보인겁니다. ‘癸亥(계해)’로 시작되는 명문이었는데요. 박관장은 울진군 학예연구사인 심현용씨에게 발견사실을 신고했습니다. 곧 본격조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사실 동굴 입구의 벽면에서는 이미 조선 후기(1857년)에 새겨놓은 명문이 발견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그 명문과 불과 1m도 채 안되는 곳에 ‘삼국시대 명문’이 새겨져 있다는 것은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박홍국 관장의 .. 조선이 '고요한 아침, 은자의 나라'라고?…분통 터진 미국인 독립투사 서양에서는 ‘조선’을 어떻게 알고 있었습니까. ‘고요한 아침의 나라’니, ‘은자(은둔)의 나라’니 하는 표현이 유명하죠. 그러나 지금부터 120~130년 전에 이런 표현들이 조선(대한제국)을 왜곡하고 비하하는 것이라고 맹비난한 분이 계십니다. 그 분이 바로 호머 헐버트 박사(1863~1949)입니다. 헐버트가 힘을 주어 비판한 인물이 바로 (1882년)의 저자 윌리엄 그리피스(1843~1928)였습니다. 그리피스라면 조선을 서양에 알린 아주 유명한 동양학자이고, 국내에서도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 이야기를 할 때마다 단골로 인용되는 인물이죠. ■조선이 왜 은둔의 나라인가 그러나 1886년(고종 23) 육영공원(왕립영어학교) 교수로 입국한 이래 조선을 제2의 조국으로 삼았던 헐버트가 보기에 그리피스는 문외.. 조선 호랑이 멸종의 원흉…임진왜란 출병 '가토 기요마사'였다 최근 국립민속박물관이 ‘호랑이 사전’을 발간했습니다. 이름하여 인데요. 단군신화에서부터 2018년 평창올림픽 마스코트까지 호랑이 관련 내용을 전부 수록하고 있습니다. 흐르는 세월에 둔감한 편인 저는 왜 뜬금없는 ‘호랑이 사전’이냐 생각했는데, 가만 보니 돌아오는 새해가 임인년 호랑이해더군요. 그래서 ‘호랑이 사전’이 출간된 김에 호랑이 이야기를 해보려구요. ■“우리나라는 호담국” 호랑이는 예부터 힘과 용맹을 겸비한 영험한 동물로 사랑받았죠. 때로는 친근하고, 때로는 해학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했죠. 육당 최남선(1890~1957)은 “우리나라는 호담국(虎談國)”이라면서 “호랑이 이야기로만 나 같은 책을 꾸밀 수 있고, 안데르센이나 그림(야콥·빌헬름) 형제가 될 수 있다”고 평했습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과.. 덕수궁 '대안문'이 '대한문' 된 까닭…일제 밀정 배정자 때문? 지금 서울 시내 덕수궁을 찾거나 혹은 지나치는 분들은 ‘공사중’임을 알리는 높다란 펜스를 보시게 될 텐데요. 대한제국의 황궁 정문인 대한문의 면모를 되찾는다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일제강점기에 사라진 대한문 월대(궁궐이나 전각 등 주요 건물 앞에 설치하는 기단)를 재현하는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당초에는 재현공사가 올해 안으로 끝낼 예정이었는데요. 알아보니까 공사일정이 다소 늦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재현공사를 위한 사전 발굴 조사에서 조선 시대 유구가 확인된 건데요. 원래 이곳은 궁궐이기 전에는 남이의 역모사건에 연루된 조영달의 집터였는데요. 역모사건으로 집이 몰수된 뒤 영응대군(세종의 여덟째 아들·1434~1467)의 부인에게 돌아갔다가 성종(재위 1469~1494)의 형인 월산대군(1454~148.. 경복궁 향원정이 '왕의 휴식처'라고?...명성황후의 눈물 담은 연못이다 얼마전 왕과 왕비의 휴식처인 경복궁 향원정과 취향교가 3년만에 복원·공개됐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도하 각 언론은 ‘이곳이 고종이 거닐던 왕의 휴식처’이라는 이구동성의 제목으로 일제히 소개했습니다. 복원의 전 과정을 풀어준 친절한 기사와 함께 단풍으로 물든 정취어린 늦가을 향원정의 사진과 영상이 봇물을 이뤘습니다. 해체 및 복원과정에서 1881년과 84년 벌채된 목재가 확인되면서 향원정의 조성시기가 1885년 무렵으로 추정됐습니다. 또 정자 안을 따뜻하게 데웠을 온돌시설의 전모도 파악했답니다. 기울어지고 침하되는 위험한 상태였기에 완전해체 후 복원이라는 결정을 내렸다네요. 무엇보다 공간이 협소한 섬에서 작업이다 보니까 크레인 없이 모든 공사를 사람 손으로 해야 했답니다. ■왕의 휴식처에서 첫 선보인 빙족.. 영영 미궁에 빠진 선화공주...서동왕자 곁에 묻힌 왕비는 누구? 얼마전 전북 익산 쌍릉에서 심상치않은 용도의 대형건물지 2동이 확인됐습니다. 쌍릉과 연접한 구릉의 동쪽에서 찾았는데요. 30m 안팎에 이르는 대형건물지 2동의 흔적이었습니다. 기둥을 이용한 건물 안에서는 역시 벼루조각, 대형 토기편, 인장이 찍힌 기와 등이 보였습니다. 그런데 80~117평 정도의 만만치 않은 건물터에는 부뚜막 시설은 없었습니다. 발굴단은 그래서 이 건물 2동은 일반거주시설이 아니라 쌍릉과 연관된 제사시설이 아닐까 추정했습니다. 그렇다면 이곳에 묻힌 무덤 주인공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 분은 누구일까요. 부모인 무왕(재위 600~641) 부부를 기리는 아들(의자왕)일 수도 있겠네요. 의자왕(641~660)은 효자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증자(춘추시대 유학자)에 빗대 ‘해동의 증자’라는 칭송을.. 극한의 최고 경쟁률 50000대1…조선시대 과거시험의 비밀 바야흐로 대학입시의 계절이 다가왔습니다. 대학진학을 위한 수능시험을 마친 수험생과 수험생 부모들이 그야말로 살떨리는 겨울을 맞이하시겠죠. 입시철을 맞아 조선시대 과거시험장으로 시간여행을 떠나보겠습니다. 과거시험 하면 가장 극적인 이틀이 떠오르네요. 지금으로부터 221년 전인 1800년(정조 24) 3월21~22일의 일입니다. 당시 왕세자(순조)의 책봉을 기념하는 특별시험(경과·慶科)이 창경궁 춘당대에서 열렸는데요. 첫날(21일)엔 초시가, 둘째날(22일)에는 인일제(人日製·유생들을 대상으로 치른 특별과거)가 잇달아 열렸습니다. 그런데 이 이틀간의 시험에 응시한 수험생이 얼마나 되는 지 아십니까. 자그만치 21만5417명이었답니다. “21일의 경과는 3곳으로 나누어 치렀는데 총 응시자는 11만1838명에 ..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