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

(146)
발굴자도 울었던 동래성 전투현장…1592년 4월15일 무슨 일이? 햇수로 35년간 기자생활을 해온 저의 뇌리에 끔찍한 기억으로 남는 기사가 있습니다. 400여년전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에서 벌어진 끔찍한 참상을 기사로 작성할 때였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소름이 돋습니다. 2005년 4월 15일 부산 지하철 3호선 수안동 전철역사 예정지를 지나던 당시 경남문화재연구원 정의도 학예실장(현 한국문물연구원장)이 급히 차를 세웠습니다. 동래읍성과 불과 50m 떨어진 곳이었기에 전문가의 입회조사가 필요했기 때문에 나선 겁니다. 조사결과 과연 수상한 유구의 흔적이 보였습니다. ■지하철 공사장에서 발견된 유구의 정체는 당시 발굴실무를 담당한 안성현 경남문화재연구원 조사팀장(현 중부고고학연구소 근무)는 “처음엔 이 유구가 해자(성을 보호하려고 조성한 도랑 혹은 연못)일 것이라고는 상상도 ..
이것이 1400년전 신라인의 ‘지문’, 1800년전 백제인의 ‘족적’이다. 범죄사건이 일어났을 때 수사요원들이 가장 먼저 챙기는 것이 있습니다. 지문과 족적입니다. 지문은 심지어 일란성 쌍둥이끼리도 다르다고 하며, 같은 지문을 가질 확률이 640억분의 1이라고 합니다.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1835~1910)은 “유일하게 지워지지 않는 서명은 사람의 지문”이라고 했답니다. 신발 발자국인 족적 또한 신원을 파악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됩니다. 신발의 크기와 보폭으로 키와 연령대를 가늠하고 신발의 종류와 찍힌 족적의 방향, 걸음걸이 등을 파악해서 용의자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아니 역사 고고학 이야기 하면서 왜 뜬금없이 지문과 족적을 들먹이냐구요 ■남근처럼 보였던 흙인형이… 이유가 있습니다. 1800년 전과, 1300~1400년 전의 지문과 족적이 실제로 고고학 발굴로 확인된 이야..
'전하, 바다귀신 소개합니다'…임진왜란 참전한 '흑귀노' 용병 요즘 코로나 19 때문에 전시회가 개최되는 경우가 많이 생겼는데요. 문화재청 세종대왕유적관리소에서는 27일부터 6월27일까지 ‘효공과 하멜 이야기’ 기획전시를 연다고 합니다. 전시는 ‘북벌 의지를 다졌던 효종과 조선에 억류된 네덜란드인 하멜이 무기개량 등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내용으로 구성했다고 합니다. 덕분이겠지만 조선 땅에 표류한 외국인 중 가장 유명한 이가 네덜란드인인 헨드릭 하멜(1630~1692)이라는 걸 부인할 수 없습니다. ■네덜란드인끼리 목놓아 울었다 하지만 하멜 말고도 상당수 외국인이 낯선 땅 조선에 표착해서 이런저런 에피소드를 남겼습니다. 1653년(효종 4) 8월6일자 을 볼까요.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가 나와있습니다. “예전에 조선에 온 박연이 금방 표류한 자들(하멜 일행)을 만나보..
책 1억번 읽은 '조선의 둔재'…세종도 울고 갈 '독서왕'이 됐다 최근 충북 증평군에서 색다른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독서왕김득신문학관’이 준비한 ‘느리지만 끝내 이루었던 길 독서왕 김득신’ 특별전인데요. 김득신의 유물인 과 이 충북도지정문화재가 된 것을 기념해서 7월11일까지 열립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여기서 말하는 김득신은 ‘야묘도추’ 등을 그린 풍속화가 김득신(1754~1822)이 아닙니다. 그 분과 동명이인이자 조선 중기의 시인인 백곡 김득신(1604~1684)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 백곡 김득신은 천하의 책벌레로 알려진 세종대왕(재위 1418~1450)도 울고 갈 지독한 독서왕이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더욱이 김득신은 어려서부터 둔재로 소문났던 사람입니다. 그런 분이 어떻게 ‘세종을 능가하는’ 독서왕이 됐을까요. ■세종의 ‘자뻑’…나..
당신이 길가에서 우연히 국보 문화재를 찾는다면…보상금은 얼마? 문화재 담당기자이던 저는 가끔 현장답사를 다니다가 헛된 꿈을 꿀 때가 있습니다. 만약 역사를 바꿀만한 명문비석을 발견하거나 유물을 찾아낸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지표면을 샅샅이 뒤지기도 하고, 수풀을 더듬어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저같은 사람의 눈에 쉽게 걸리겠습니까. 그래도 포기할 수 없습니다. 알고보면 역사·고고학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반 시민들이 역사에 길이 빛날 문화유산을 발견했고, 그 분들 중 일부는 그 대가로 소정의 보·포상금도 받았으니까요. ■신라 국보 비석 트리오의 발견 스토리 대표적인 케이스가 있죠. 2009년 5월11일의 일이었는데요.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 주민 김모씨는 자기 집 앞 도로공사 현장을 지나다가 크고 평평한 돌에 시선이 꽂혔답니다. 화분받침대로 제..
실명 공개된 ‘신라 최대의 세습재벌’ 김유신의 황금저택 기이 진한조에 매우 흥미로운 기록이 보입니다. “신라 전성기 서울(경주)에는 17만8936호가 있었고…. 금입택(金入宅)이 35개(실제로는 39곳)에 이르렀다”는 겁니다. 4인 1가구 기준으로 따져볼 때 전성기 경주의 인구가 70만명을 훌쩍 넘었다는 것도 그렇지만, ‘금이 들어간’ 호화저택, 즉 금입택(金入宅)이 35곳(39곳)에 달했다는 것 또한 대단하지 않습니까. ■신라판 호화저택 공개 그런데 는 이 기사를 쓰면서 ‘금입택’, 즉 호화저택의 명단을 공개합니다. 그런데 그중에 특히 눈에 띄는 ‘금입택’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바로 김유신 가문의 종가인 ‘재매정택(財買井宅)’입니다. 먼저 한번 생각해봅시다. ‘금이 무시로 들어간다’는 뜻인 ‘금입택’은 과연 어떤 집을 가리키는 표현일까요. 의 편찬자는 ‘금..
한국도 '약탈문화재 보유국'이지만 …오타니 유물, 반환은 글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라는 기관이 있습니다. 해외에 흩어진 한국문화재의 환수를 추진하고, 또한 제대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재청 산하기관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 재단의 홈페이지 화면을 보면 ‘193136’이라는 숫자가 떠있습니다. 이것은 22개국에 흩어져있는 한국 문화재의 숫자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아마도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숱한 문화유산을 빼앗긴 역사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의미이자, 언젠가는 되찾아야 할 문화유산이라는 다짐과 각오를 담았을 것입니다. ■약탈문화재를 소장한 국립중앙박물관 그런데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대한민국 땅에도 ‘남에게서 빼앗은 약탈문화재’가 있답니다. 그것이 대한민국 대표 박물관인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360여건 1500여점의 중앙아시아 문화재입니다...
이곳이 1500년전 무령왕비의 장례식장이었네…‘유지’서 27개월 2021년은 한국 고고학사에 매우 뜻깊은 해라 할 수 있습니다. 백제 무령왕릉이 발굴된 지 딱 50년이 지난 해이기 때문입니다. 삼국시대 고분 중 도굴이 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주인공을 알 수 있는 첫번째 고분이 현현했습니다. 게다가 올해는 고구려의 침략으로 임금(개로왕)이 죽임을 당한 뒤 공주로 천도한 뒤에 국력을 가다듬고는 마침내 ‘다시 강국이 되었다’는 역사서의 표현인 ‘갱위강국(更爲强國)’을 선언(521년)한 지 1500주년이 되는 해라네요. 당연히 잔칫상을 받아야 하겠네요. 아닌게 아니라 문화재청과 공주시는 올해 무령왕릉 발굴 50년과 백제 ‘갱위강국’ 선언 1500년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를 벌인다네요. 그런데 한가지 이의를 제기해야겠습니다. 아무리 무덤 주인공이 무령왕이기로소니 남편과 함께 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