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167)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무도 눈치못챈 세종의 ‘숨겨진 업적’…‘신의 한수’ 될 줄이야 실물로 보이지 않았던 세종대왕 업적의 편린이 얼마전 서울 도심 공평동에서 쏟아져 나왔습니다. 금속활자 ‘갑인자’는 물론, 종합 자동 물시계인 옥루(자격루)와 해시계·별시계 겸용인 일성정시의 등 세종이 심혈을 기울인 국책사업의 결과물이 모습을 드러낸 겁니다. 따지고 보면 세종대왕의 업적이 한둘입니까. 훈민정음 창제와 해시계·물시계·측우기 등 과학기술 장려, 대마도 정벌과 4군6진 개척, 그리고 편찬 등 손으로 꼽을 수 없죠. 더 있죠. 요즘 주목받고 있는 금속활자(경자자·갑인자)의 개발도 빼놓을 수 없겠네요. 그런데 ‘숨겨진 세종대왕의 업적’이 한가지 더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만약 세종의 이 업적이 없었다면 아마 고려·조선의 역사는 송두리째 사라졌을 겁니다. 대체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신의 한수가 .. 그리스제 투구, 동유럽제 칼은 왜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됐나 ‘그리스제 청동투구’, ‘동유럽제 황금보검’, ‘중국제(낙랑) 황금 띠고리’…. 거론한 문화재들은 외국산이 분명하죠. 그런데 셋 다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국보(띠고리)와 보물(청동투구·황금보검)입니다. 좀 이상하다는 분도 있을 겁니다. 아니 한국의 국보·보물이라면 국내산이거나 한국인이 제작한 문화재라야 자격이 있는 게 아닐까요. 그러나 문화재보호법이 규정한 ‘국보·유물’의 개념은 그렇지 않습니다. 문화재보호법 23조는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지정할 수 있다’면서 ‘보물 중에서 인류 문화의 관점에서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을…국보로 지정할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어떻습니까. ‘한국산’이라는 단서가 없죠. 한마디로 당대의 해외명품이거나, 혹은 그 유물의 특별한 상징성이 인정되면 외제라도.. 바둑 간첩에 녹아난 ‘비운의 끝판왕’…개로왕의 가짜묘가 무령왕릉 위에? 일제강점기부터 쭉 ‘송산리고분군’이라 했는데요. 요 며칠전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사적)으로 이름이 바뀐 곳이 있죠. 그러나 이 기사에서는 아직 익숙한 명칭인 송산리고분군이라 하겠습니다. 송산리고분군은 백제가 한성시대(기원전 18~기원후 475)를 마감하고, 쫓겨 내려온 이후 웅진시대(475~538)에 조성된 왕릉묘역입니다. ■정체불명의 유구 일제강점기 자료에는 이곳에 29기 이상의 고분이 존재한 것으로 표시했는데요. 최근에 지하물리탐사 등의 첨단기법으로 분석해보니 자그만치 40여기의 백제고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죠. 웅진시대의 임금이라면 문주왕(재위 475~477)-삼근왕(477~479)-동성왕(479~501)-무령왕(501~523)-성왕(523~554, 538년 사비로 천도) 등 .. 1763년 조선 외교관 오사카 피살사건…고구마 종자에 묻혔다 여러분은 역사 공부할 때 조엄(1719~1777)이라는 분을 배웠죠. 그 분의 혁혁한 공은 조선통신사(사절단)를 이끌고 일본을 다녀오는 길에 고구마 종자를 도입했다는 거죠. 아시다시피 고구마는 대표적인 구황작물이었죠. 좋지않은 기상조건에서도 수확할 수 있어서 초근목피에 시달리던 백성들의 허기진 배를 채울 수 있는 작물이었죠. 바로 이 조엄이라는 분이 계미년인 1763년(영조 39년) 일본을 다녀온 사절단의 명칭을 ‘계미통신사’라고 하는데요. 고구마 종자 도입은 바로 이 ‘계미통신사의 업적’이라 할 수 있죠. 그러나 이 계미통신사의 여정이 파란만장, 그 자체였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 않죠. 일본이 외교 결례를 반복하고, 고질적인 역사왜곡을 자행하더니 결국 비극적인 사건이 터지고 말거든요. 방문 중인 조선 .. 87년만에 싹 지워진 국보 ‘1호’ 숭례문 타이틀…일제 잔재 ‘말끔’ 며칠 전 제가 국보 청동거울인 정문경을 지정번호(국보 141호)로 찾으려다가 적잖이 당황했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문화재 검색란에서 ‘지정번호’로 찾을 수 있는 항목이 자취를 감춰버렸기 때문입니다. 그냥 ‘정문경’을 입력했더니 그제서야 ‘국보 141호 였던’ 숭실대박물관 소장 ‘정문경’이 검색되었습니다. ■59년 만인가, 87년 만인가 다시 정신을 차리고 지정문화재 검색란을 살펴보니 ‘국보 1호=숭례문’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보물 1호=흥인지문’ ‘사적 1호=포석정’도 없었습니다. 그저 ‘국보 숭례문’, ‘보물 흥인지문’. ‘사적 포석정’으로만 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그제서야 지난 2월에 쓴 기사를 떠올렸습니다. 문화재청이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문화재 지정번호 제도’를 대폭 개선.. 선조의 언론 탄압…'100일 천하'로 끝난 조선 최초의 신문 2017년 1월이었습니다. 경북 영천 은해사 부주지였던 지봉스님(현 용화사 주지)이 한 인터넷 고서 경매사이트를 검색하다가 출품된 어떤 고서에 시선이 꽂혔습니다. 스님은 영천역사문화박물관장직도 겸하고 있거든요. 스님이 본 책은 성리학을 집대성한 이었는데요. ■책표지에 인성왕후의 흔적이… 그러나 책의 표지는 이미 낡아서 떨어져 나갔고, 그래서 다른 종이를 붙여 딱딱하게 새 표제지를 만들어 놓았는데요. 이 종이에 쓰여진 글자들이 심상치 않았습니다. 그중 ‘공의전’이라는 글귀가 눈에 확 들어왔습니다. ‘공의전’은 조선조 인종(재위 1544~1545)의 부인인 인성왕후 박씨(1514~1577)를 가리킵니다. 공의전은 지봉 스님도 잘 아는 인물이었습니다. 남편인 인종의 태실(태를 묻은 곳)이 바로 영천 은해사 뒷.. 60대 의열단원은 왜 이승만에게 방아쇠를 당겼나…암살 미수사건 전모 지난 2016년 개봉된 영화 ‘밀정’을 기억하십니까. 영화에는 무장독립운동 단체인 의열단원들이 중국에서 서울로 폭탄을 반입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1923년 실제로 일어난 ‘황옥 경부 사건’이라 합니다. 조선인 출신 일본 경찰인 황옥(1885~?)은 의열단원 김시현(1883~1966) 등과 중국에서 서울로 폭탄을 반입합니다. 영화에서 ‘황옥’ 역은 송강호씨가, ‘김시현’역은 공유씨가 맡아 열연했습니다. ■할아버지 테러조직 그런데 말입니다. 2015년 5월 깜짝 놀랄만한 사진 한 장이 공개됩니다. 사진은 미국 뉴저지에 거주하는 수집가(김태진 국제지도수집가협회 한국대표)가 미군 첩보부대(CIC)가 소장한 사진을 공개한 건데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6월 25일에 찍힌 사진입니다. 한국전쟁 발발 2주년.. 도난당한 안평대군·안중근 유물…돌아오지 않는 국보 보물들 지난주에는 우체국 국제특송과 공항검색대 등을 이용해서 해외로 문화재 밀반출을 시도하던 피의자들이 적발됐습니다. 덕분에 문화재 4종 92점을 찾아냈는데요. 울산에서는 보덕사에서 도난된 불상 한 구를 회수했습니다. 결국 지난 한 주에 문화재 관련 회수사건이 두 건이나 있었네요. 이번 주엔 이 도난문화재의 회수 건을 계기로 지금까지 감쪽같이 사라져 돌아오지 않는 국보와 보물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진품명품의 명암 1995년 시작되어 지금까지 방영되는 장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KBS의 ‘TV쇼 진품명품’입니다. 문화재의 가치를 대중에게 쉽게 알려주기 위해 재미삼아 감정가를 붙인, 이름 그대로 ‘문화재 쇼’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1996년 방영된 45회에서 아주 흥미로운 숫자가 전광판에 찍혔습니다. 중종반..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