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

(131)
끔찍한 '고양이 집사' 숙종 임금의 달콤 살벌한 두 얼굴 고양이는 주인을 자기 자신과 동격이나 심지어는 자기 집을 관리하는 집사 취급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을 ‘집사’라 하고, 주인은 고양이를 ‘주인님’이라 한다죠. 재미있는 건 약 250년 전의 저작인 이익(1681~1763)의 은 바로 그러한 고양이의 습성을 적나라하게 표현합니다.고양이를 잘 그려 변묘(卞猫)라는 별명을 얻은 변상벽의 ‘묘작도’. 고목 위의 참새들을 향하여 나무를 기어오르다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는 고양이와, 웅크리고 앉은 채 고개를 돌려 그를 올려다보는 고양이를 소재로 다루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숙종의 퍼스트캣 ‘김손(김묘)’“고양이는 여러 해를 길들였다 해도 하루 아침만 제 비위에 틀리면 주인도 아는 체하지 않고 가버린다.”제가 고양이 집사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는데..
"저 자 땜에 담뱃대를 뺄까"…명재상 채제공을 충격에 빠뜨린 두 학생의 비아냥 역사를 이야기로 만나보는 이기환의 ‘Hi-story’입니다. 지난주 1618년(광해군 10년) 무렵 조선에 들어온 담배가 요원의 불길처럼 퍼졌다고 했는데요. 최초의 흡연가인 계곡 장유(1587~1636)라는 분을 소개해드렸지만 이 분은 새발의 피라고 했죠. 누구냐. 다름아닌 조선의 중흥군주라는 정조(재위 1776~1800)를 꼽을 수 있습니다. 혜원 신윤복의 ‘연못가의 여인’. 기녀가 한 손엔 장죽을 다른 한 손엔 생황을 들고 연꽃을 감상하고 있다. 담배는 시름을 달래주는 묘약으로도 알려졌다.|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담배가 얼마나 중독성이 강했냐 하면 담배 전래 후 50년 정도가 지난 1668년(현종 9년)의 기록인 헨드릭 하멜(1630~1692)의 ‘부록·조선국기’는 “조선의 아이들은 4, 5세만 되면 담..
"감히 어전에서 담배를"…야단 맞은 조선 최초의 애연가, "꼴보기 싫다" 이기환의 ‘하이 스토리(Hi-story)’, 이번 주 이야기는 담배입니다. 그것도 ‘감히 어전에서 담배를 뻑뻑 피운 간큰 신하’ 이야기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계곡 장유(1587~1638)을 아십니까. 이정구(1564~1635)·신흠(1566~1628)·이식(1584~1647) 등과 함께 조선 중기의 4대 문장가로 이름을 떨친 분입니다. 신윤복의 ‘연소답청’. 철없는 양반들이 기녀들을 말에 태운 채 말에게 담배를 붙여 대령하고 있다.|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그런데 우리나라 담배 역사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분이 계신데 바로 이 장유입니다. 왜냐면 등 각종 문헌을 보면 담배가 들어온 것이 1618년(광해군 10년) 무렵인데, 조선에서 가장 먼저 피운 사람이 바로 장유랍니다. 장유는 자신의 에서 조선에서 담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