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60)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려의 장인 '동똥'이 제작한 개성 만월대 기와 ‘동똥이, 혜문 스님, 성광 스님….’ 2007~2015년 사이 남북공동조사단이 7차에 걸쳐 개성 만월대에서 발굴한 명문자료는 240점 정도이다. 그중 수키와(86점)와 암키와(133점), 수막새(11점), 암막새(1점) 등 제작지와 제작자를 나타내는 명문기와가 대부분이다.이 가운데 특히 눈에 띄는 명문은 기와제작자 중 한사람인 듯한 ‘동똥(冬 叱밑에 同)’의 존재이다. 2015년 남북공동 조사단의 개성 만월대 제 7차발굴에서 찾아낸 명문기와. 월개요에서 ‘동똥’이라는 기와장인이 제작한 기와라는 의미이다. 사진은 글자를 도드라지게 처리한 모습. 전경효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무관은 지난 10일 경주에서 열리는 ‘신라왕경과 고려 개경’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논문(‘신라 월성과 고려궁성 출토유물의 명문비교’)에.. 조선시대 감찰반과 청와대 감찰반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공직기강이 도마 위에 오르자 청와대는 지난달 대책을 내놨습니다. 민정수석실 반부패비서관실 산하 특별감찰반 이름을 공직감찰반으로 바꾸고 감찰반의 인적구성을 다양화하는 등의 개선책을 마련했습니다. 청와대가 민정수석실에 특별감찰반을 만든 이유가 무엇일까요. 광화문 날개에 설치된 동십가각. 조선시대 감찰이 이곳에서 궁궐을 출입하는 관리들을 감시했다.기자가 ‘대통령 비서실 직제령’ 제7조(감찰반)를 찾아보니 “1)대통령이 임명하는 행정부 소속 고위 공직자, 2)대통령이 임명하는 공공기관·단체 등의 장 및 임원, 3)대통령의 친족 및 대통령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에 대한 감찰업무를 수행한다”고 했습니다. 임명 한 뒤에도 감찰할 필요가 있지만 새로운 인재를 임명하기 전에도 흠결 있는 인물인지 아.. "누가 가야를 철의 왕국이라 했나. 철의 나라는 신라였다" 언젠가부터 ‘가야=철의 왕국’이라는 등식은 공리처럼 여겨졌다. 그 근거는 3세기 역사서인 ‘동이전·한조’의 ‘나라(國)에서 철(鐵)이 생산된다(出)’는 기사였다. 즉 “한(韓·마한)과 ‘예(濊)’, 왜(倭)가 모두 이곳의 철을 가져갔고, 또 2군(낙랑·대방군)에도 공급했다”는 것이다. 특히 “시장에서 중국의 돈을 사용하듯 모두 철을 거래수단으로 삼는다”는 내용은 ‘철의 왕국’이 아니면 쓸 수 없는 기록으로 여겨졌다.그러나 ‘동이전’의 내용을 뜯어보면 한가지 이상한 점을 느낄 수 있다. 울산박물관이 진시중인 ‘달천철광(광산)’ 코너 전시품. 기원전 1~기원후 3세기 토기들이 발굴됐고, 이중에는 왜와의 교역사실을 일러주는 야요이 토기편이 조사됐다.|이도학 교수 촬영 제공■헷갈리는 는 알려지다시피 중국 서진의.. 가야인들은 왜 봄철 밤하늘에 뜬 남두육성을 새겨넣었을까 5~6세기 아라가야인들은 왜 남두육성을 무덤방 덮개돌에 새겨 넣었을까. 지난해 12월 18일 아라가야 왕릉급 고분인 함안 말이산 13호분(사적 제515호)에서는 전갈자리와 궁수(사수)자리 등의 별자리 125개가 새겨진 덮개돌이 확인됐다. 더욱 특이한 것은 별자리가 새겨진 구덩식 돌덧널 무덤방의 벽면이 붉게 채색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신라 부부조각상에 새겨진 북두칠성과 남두육성. 고대인들은 북두칠성을 죽음을, 남두육성을 삶을 주관하는 별자리로 여겼다.|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전갈자리와 궁수자리의 내력 덮개돌에서 확인된 별자리 중 전갈자리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오리온과 관계가 깊다. 사냥꾼인 오리온은 “나보다 더 강한 자가 없다”고 떠버리고 다녔는데 이 말을 듣고 화가 난 제우스의 부인 헤라가 오리온을 죽.. '임금의 눈과 귀'였던 조선시대 감찰, '사회적 매장권'을 갖고 있었다 “규정(糾正·감찰)은 백관을 살펴서 왕의 ‘귀와 눈’(耳目)이 되고, 모든 제사와 조회로부터 전곡과 출납에 이르기까지 모두 감찰 단속하는 것이니 품계는 낮아도 책임은 중합니다.”1388년(고려 우왕 14년) 고려말 대사헌 조준이 우왕에게 올린 시무책에 아주 특별한 직분이 소개된다. 바로 규정, 다른 말로 감찰이라는 직분이다. 대사헌 조준은 감찰을 ‘임금의 눈과 귀(耳目之臣)’라 표현하고 있다.고려~조선시대의 사헌부는 사간원과 함께 양사(兩司)가 되어 시정의 득실을 논하고 관리들의 비행을 규탄하며 풍속을 바로잡고, 임금의 잘잘못을 따지는 관서였다. 서거정(1420~1488)의 ‘사헌부·제명기’를 보면 사헌부의 추상같은 역할을 짐작할 수 있다. 사헌부 감찰들의 모임을 그린 ‘총마계회도’(보물 제1722호)... "공산성 갑옷 명문은 '당나라제' 확인하는 보증서다" 2011년과 2014년 공주 공산성에서 출토된 옻칠 갑옷은 백제산이 아니라 당나라 제품이며, 이 갑옷에 명광개(明光鎧)라는 이름을 붙일 수 없다는 견해가 나왔다. 이태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학술지 제24호에 실은 논문(‘공산성 출토 칠갑 명문 재고’)에서 그동안 학계에서 주장해온 ‘공주 옻칠갑옷=백제제작설’을 반박했다. 공산성 출토 갑옷에서 보이는 명문들. 645년 제작된 것이라는 데는 모두 동의하지만 백제 제작설과 당나라 제작설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이태희 연구사 제공 이 갑옷에서는 지금까지 제작연대를 짐작할 수 있는 ‘행정관십(行貞觀十)’과 ‘구년사월이십이일(九年四月二十二日)’ 명문과 함께 ‘이○은(李○銀)’, 왕무감(王武監), 대구전(大口典), 참군사(參軍事), ‘○작배융부’(○作陪戎副),.. 44년째 '이중국적' 국보 백자 168호…원나라냐 조선이냐 (가)-‘백자 유리홍 매화 국화무늬 병(白磁釉裏紅梅菊文甁), 중국 원나라 시대, 국보 제168호…’(국립중앙박물관) (나)-‘백자 동화매국문 병(白磁 銅畵梅菊文 甁), 조선시대, 국보 제168호….’(문화재청) 국보 제168호로 지정된 유물은 당연히 하나일텐데 국립중앙박물관과 문화재청의 유물소개는 완전히 다르다. 우선 유물 명칭부터 그렇다. 박물관은 ‘유약 밑에 붉은 그림이 있는 매화와 국화무늬 백자 병’이라 해서 ‘백자 유리홍(釉里紅) 매화 국화무늬 병’으로 이름 붙였다. 그러나 문화재청 유물검색란은 ‘붉은 색을 내려고 발색제로 동(銅)을 사용한 백자 병’이라 해서 ‘백자 동화 매국문 병’으로 표기했다.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의 상반된 유물설명. 이렇게 이름부터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재 기관마다 다르.. 보물로 지정예고된 현대적 디자인의 가야 금동관 지금 보면 현대적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는 ‘경북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 등 가야문화권에서 나온 유물 3건이 보물로 지정예고됐다. 문화재청은 지난 19일 발굴경위와 출토지가 확실하고 함께 출토된 유물에 의해 5세기 대가야 시기에 제작된 사실이 확인된 지산동 32호분 금동관과 ‘부산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 및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 등을 보물로 지정예고했다고 밝혔다. 이들 가야 유물 3건은 ‘철의 왕국’으로 알려진 가야의 금속제련기술과 금속공예 기법을 웅변해주는 문화재들이다.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 매우 심플한 디자인을 자랑한다. 신라 백제에 비해 금속공예기술이 뒤진 탓이라 하지만 오히려 현대적 관점에서는 매우 세련된 작품이라는 평을 받는다. |문화재청 제..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