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72)
바둑 간첩, 한성백제를 멸망시켰다 오는 3월9일부터 역사적인 바둑대결이 펼쳐집니다. 구글이 개발한 바둑 프로그램인 '알파고'와 이세돌 9단 간의 5번기입니다. 이미 1990년대 후반 체스 세계챔피언을 무릎꿇린 인공지능은 이제 경우의 수가 무한대라는 바둑에서 입신, 즉 신의 경지라는 9단, 그것도 세계최정상급 기사인 이세돌 9단에게 도전장을 내민 것입니다. 인공지능, 즉 컴퓨터가 경우의 수가 10의 180제곱, 즉 무한대라는 바둑에서 인간에게 도전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인간의 감정, 직관, 통찰력이 집중되는 바둑에서조차 승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마음을 들여다보겠다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번 대국에서 이세돌 9단을 열렬히 응원하는 이유입니다. 인간의 마음마저 컴퓨터에게 빼앗긴다는 게 끔찍하지 않습니까.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
동래전투, 끔찍한 아비규환의 현장 지금으로부터 1424년 전 이맘 때 조선에서는 큰 변란이 일어났습니다. 바로 임진왜란이었습니다. 당시 1592년 4월13일 30만명으로 무장한 왜병 가운데 선봉대 2만이 700척에 분승해서 부산 앞바다에 도착했습니다. 부산첨사 정발이 부산진전투에서 중과부적으로 전사했고, 왜병은 파죽지세로 동래성을 포위했습니다. 당시 동래부사는 송상현이었습니다. 송상현은 백성들과 함께 성 안으로 들어가 죽기를 각오하고 싸웠습니다. 항복을 권하는 왜병에게 송상현 부사는 “네놈들하고 싸워 죽기는 쉽지만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戰死易 假道難)”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백성들과 함께 전사하고 맙니다. 그 중에는 제 몸만 지키려고 빠져나온 자들도 물론 있었습니다. 이것이 동래성 전투입니다. 이 싸움의 참상은 영조 때 동래읍성을 수축..
동래에서 확인한 왜병의 만행 지금으로부터 1424년 전 이맘 때 조선에서는 큰 변란이 일어났습니다. 바로 임진왜란이었습니다. 당시 1592년 4월13일 30만명으로 무장한 왜병 가운데 선봉대 2만이 700척에 분승해서 부산 앞바다에 도착했습니다. 부산첨사 정발이 부산진전투에서 중과부적으로 전사했고, 왜병은 파죽지세로 동래성을 포위했습니다. 당시 동래부사는 송상현이었습니다. 송상현은 백성들과 함께 성 안으로 들어가 죽기를 각오하고 싸웠습니다. 항복을 권하는 왜병에게 송상현 부사는 “네놈들하고 싸워 죽기는 쉽지만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戰死易 假道難)”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백성들과 함께 전사하고 맙니다. 그 중에는 제 몸만 지키려고 빠져나온 자들도 물론 있었습니다. 이것이 동래성 전투입니다. 이 싸움의 참상은 영조 때 동래읍성을 수축..
삐라, 적의 마음을 쏘는 종이폭탄 요즘 북한이 뿌린 삐라가 서울시내 한복판까지 떨어지고 있습니다. 50대 이상 사람들이라면 어릴적에 한 번 쯤은 비라를 주워보았을 것입니다. 삐라를 파출소가 갖다주면 연필 같은 학용품을 주었지요. 옛날 생각이 납니다. 역사서에 등장하는 삐라는 어지러웠던 신라 말기 진성여왕 때 서라벌 시내 한복판에 떨어진 것이 처음이었습니다. ‘진성여왕이여! 신라여! 망하리라!’하며 저주했던 삐라였습니다. 그후 47년만에 정말로 신라는 망했습니다. 한국전쟁 때도 삐라는 마치 눈처럼 뿌려졌습니다. 미군은 25억~40억장의 삐라를 뿌렸다고 합니다. 전쟁 후에도 삐라의 제작기법은 체제유지를 위한 대중홍보수단으로 사랑받았습니다. 물론 남북한 모두 상대방을 겨냥한 냉전의 수단으로 삐라를 활용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삐라는 왜 그렇..
'필리오케'와 교회의 1000년 분열 1054년 7월16일 교황 레오 9세가 파견한 사절단이 콘스탄티노플의 하기아 대성당에 들이닥쳤다. 사절단을 이끈 훔베르토 추기경은 케로라리우스 총대주교좌가 보는 앞에서 중앙 제단 위에 파문교서를 올려놓고는 외쳤다. “하느님께서 심판하실지어다(Videt Deus et judicet).” 파문 당한 케로라리우스 역시 “이단자여, 주님의 포도밭의 파괴자”라고 받아쳐 교황사절단을 맞파문했다. 로마가톨릭 교회와 동방정교회의 대분열이 시작된 것이다. 사실 동서 교회의 분열은 395년 로마제국이 콘스탄티노플을 기반으로 한 동로마와 로마를 축으로 한 서로마로 갈라지면서 잉태됐다. 교황 다마수스 1세(366~384)는 라틴어를 공식언어로 지정해버렸다. 그러나 동방교회는 서방의 압박에도 희랍어를 고수했다. 동서방 교회간 ..
박제가, '조선은 똥덩어리'라 셀프디스한 까닭 실사구시, 이용후생의 실학자 초정 박제가는 무던히도 '중국타령'을 해댔습니다. 그의 에는 중국을 배우자는 뜻의 '학중국(學中國)'이라는 표현이 20번도 더 나옵니다. 박제가가 말하는 중국이란 당시 조선 사대부가 오랑캐라 폄훼했던 '청나라'였습니다. 박제가는 대체 왜 중국, 즉 청나라의 문물을 배우자고 노래를 불렀을까요. 반면 박제가는 조선을 똥투성이의 더럽고 지저분한 나라라 손가락질했습니다. 박제가, 그 분은 왜 그토록 자신이 태어난 조선이라는 나라를 '셀프디스'했을까요. 그가 조선의 버팀목이라 하는 사대부를 왜 그토록 '조선의 좀벌레'라 비난했을까요. 박제가는 아예 조선말을 금하고 중국어를 공용어로 채택해야 한다는 망언에 가까운 주장을 폅니다. 왜 그는 그토록 중국어를 신줏단지 모시듯 하면서 중국어를 ..
모기박멸? 패배가 뻔한 싸움이다 다산 정약용도 모기 때문에 어지간히 괴로웠나보다. ‘얄미운 모기(憎蚊)’이라는 시까지 남겼다. 다산은 “호랑이와 뱀이 다가와도 코를 골 수 있지만 모기 한마리가 왱 하면 기가 질려 간담이 서늘해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부리를 박아 피를 빨면 족하지(揷자전血斯足矣) 어찌하여 뼈속까지 독기를 불어넣느냐(吹毒次骨又胡然)”고 책망했다. 조선 후기 문신인 윤기(1741~1826) 역시 ‘모기에 시달리며(苦蚊)’라는 시에서 “하느님이 어찌 너를 살려두겠느냐(天帝胡寧忍汝生)”고 저주를 퍼부었다. 모기가 얼마나 귀찮고 무서운 존재였으면 ‘견문발검(見蚊拔劍)’이란 고사성어까지 생겼겠는가. 모기는 사람의 피부를 찌르면서 혈액의 응고를 막으려고 히루딘이란 타액을 주입한다. 이 타액 성분 때문에 가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이..
신라는 고구려의 속국이었다(하) “옛 기록을 보면 의미심장한 일화가 많아요.” 고고학자 조유전 선생이 빛바랜 책을 하나 건넨다. 1979년 중원고구려비 발견 직후 단국대가 만든 학술지 ‘사학지(史學志) 제13집’이다. 당대를 풍미했던 학계원로들의 발표논문이 수록돼 있다. 30년 남짓 지난 지금, 당시의 논문들을 능가할 만한 연구가 진전되고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기자의 눈에 띈 것은 1979년 6월9일 7시간 동안 펼쳐진 중원고구려비 학술좌담회 내용이다. 중원고구려비문의 해석문 ■“대박사는 없고 소박사만 왔나봐” 이병도·이기백·변태섭·임창순·김철준·김광수·진홍섭·최영희·황수영·정영호 등 학자들이 막 발견된 중원고구려비문을 해독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잘 보이지도 않는 글자와, 잘 연결되지 않은 문장을 두고 고뇌에 찬 해석을 하고..